$\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 전자기후지도를 이용한 미래 한반도 기후대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 of Climatic Zone Shifts over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8.5 Scenario using High-definition Digital Agro-climate Map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4, 2020년, pp.287 - 298  

윤은정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진희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문경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온난화로 기후변화 및 이상 기상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미래 기후 전망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 경향은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남해안에 국한되는 아열대 기후구는 점차 북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대의 이동은 작물재배지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농업기후 조건에서 작물 재배 적응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고해상도 기후 자료를 기반으로 현재-미래에 대한 기후대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년 기간(1981-2010)에 대해 제작된 남한과 북한의 통합된 고해상도 월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월 적산강수량을 확보 및 제작하였고, 쾨펜 기후대 구분 기준에 따라 한반도 기후대를 분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기상청의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30-270m 격자 해상도로 상세화 된 한반도 지역의 월 단위 기후 자료를 확보하여, 미래에 예상되는 기후대 변화를 전망하였다. RCP8.5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같은 기후 구분 기준을 적용한 결과, 한반도의 기온과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기후가 점차 단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남부지방에 나타나는 온대기후(C)는 점차 확대되어, 2071-2100년대에는 북한의 함경도와 평안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의 대부분이 온대기후(C)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반면 냉대 기후(D)는 서서히 북쪽으로 후퇴하여 한반도가 점점 온난 습윤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predicted that future climate warming will occur, and the subtropical climate zone currently confined to the south coast of Korea will gradually rise north. The shift of climate zone implies a change in area for cultivating crop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urrent and future status of 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 경향은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남해안에 국한되는 아열대 기후구는 점차 북상할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대의 이동은 작물재배지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농업기후조건에서 작물 재배 적응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우리나라의 고해상도 기후 자료를 기반으로 현재-미래에 대한 기후대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평년 기간(1981-2010)에 대해 제작된 남한과 북한의통합된 고해상도 월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월 적산강수량을 확보 및 제작하였고, 쾨펜 기후대 구분 기준에따라 한반도 기후대를 분류하였다.
  • 이들 기후 정보는 격자 별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수치 자료 형태로 GIS 프로그램을 이용한 병합 및 중첩 분석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연구에서는 평년 기간(1981-2010)에 대해 제작된 남한과 북한의 고해상도 일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 일 적산강수량을 확보하고, 남북한 기후도를 통합한 월 단위 기후 자료를 제작하였다.
  • 따라서 미래 북한의 기후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이로 인해 식생분포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새로운 정보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관련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까지 포함한 완전한 한반도 미래 기후대의 지리적 변동 정보를 전망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의 연속된 기후정보를 활용하여 현재평년(1981-2010) 기간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 대한 쾨펜 기후구분 기준에 따른 기후대를 분류하고, 기상청의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미래 기후대 변동 전망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ckerman, E. A. 1941: The Koppen classification of climates in North America.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31(1), 105-111. 

  2. Alvares, C. A., J. L. Stape, P. C. Sentelhas, M. Goncalves, J. Leonardo, and G. Sparovek, 2013: Koppen's climate classification map for Brazil. Meteorologische Zeitschrift 22, 711-728. 

  3. Chen, D., and Chen. H., 2013: Using the Koppen classification to quantify climate variation and change: an example for 1901-2010, Environmental Development 6, 69-79. 

  4. De Castro, M., Gallardo, C., Jylha, K., and Tuomenvirta, H., 2007: The use of a climate-type classification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effects in Europe from an ensemble of nine regional climate models. Climatic Change 81(1), 329-341. 

  5. Ha, Y. W., 2000: Barley. RDA crop experiment station, Guhmok published. 

  6. Choi, Y., Y. Kim, M. Kim, M. Park, S. Min, Y. A. Kwon, and M. K. Kim, 2018: The determination of detailed climate classification and future projec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high-resolution grid climate data and Trewartha climate classifica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3(4), 247-261. 

  7. Jeong, J. W., S. S. Kim, I. K Lee, N. H. So, and H. S. Ko, 2018: Negative Effect of Abnormal Climate on the Fruits Productivity - Focusing on the Special Weather Report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4), 305-312. 

  8. KMA, 2020: Korea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9. Kesseli, J. E., 1942: The climates of California according to the Koppen classification.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32(3), 476-480. 

  10. Kim, D. J., J. H. Kim, J. H. Roh, and J. I. Yun, 2012: Geographical migration of winter barley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RCP8.5 projected climat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161-169. 

  11. Kim. D. J., and J. H. Kim, 2019: Estimating the monthly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North Korea using the PRISM model and enhanced detailed terrai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366-372. 

  12. Kim, D. J., and J. I. Yun, 2011: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PRI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1), 35-40. 

  13. Kim, J. H., and J. I. Yun, 2015: Projections of future summer weather in Seoul and their impacts on urban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2), 182-189 

  14. Kim, Y., 1991: Introduction to climatology. Jungiksa Publishing Co., 191-238 (in Korean). 

  15. Kim, Y. S., K. M. Shim, M. P. Jung, I. T. Choi and K. K. Kang, 2017: Study on the Change of Climate Zone in South Korea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2) 37-42. 

  16. Kottek, M., J. Grieser, C. Beck, B. Rudolf, and F. Rubel, 2006: World Map of the Ko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5, 259-263. 

  17. Kwon, Y. A, T. W. Kwon, K. O. Boo, and Y. Choi, 2007: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3), 355-367. 

  18. Park, C. Y., Y. E. Choi, Y. A. Kwon, J. I. Kwon, and S. H. Lee, 2013: Studies on changes and future projections of subtropical climate zones and extreme temperature events over Sou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PRID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4), 600-614. 

  19. RDA, 2014: Projection of Potential Cultivation Region of Major Fruit Trees and Medicinal Plants Based on RCP Scenario. 

  20. Shin, S. H. and D. H. Bae, 2013: Future projections of Koppen climate shifts in the asia regions using A2 scenario.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3), 253-265. 

  21. Sanderson, M., 1999: The classification of climates from Pythagoras to Koeppen.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4), 669-674. 

  22. Wi, H., S. Kim, H. Kim, H. Yu, J. Park, Y. Song, A. Yang, and H. Yoo, 2015: A study of vegetation changes according to future climate change focus on crop of the warm temperate zone and crop of subarctic regions. The Journal of Applied Geography 32, 1-25 

  23. Yun, J. I., 2010: Agroclimatic maps augmented by a GIS technology.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6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