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2 no.3 = no.120, 2007년, pp.355 - 367  

권영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팀) ,  권원태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팀) ,  부경온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팀) ,  최영은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임업 뿐 아니라 농업, 수산업, 보건 등 여러 분야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사회 경제 전분야에 걸쳐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대책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미래 기후가 어떻게 변할것인지 미리 전망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와다의 기후 지역 구분 기준(최한월 평균기온이 $18^{\circ}C$ 이하이면서 월평균기온 $10^{\circ}C$ 이상인 달이 8-12개월)을 적용하여 아열대 기후 지역을 정의하고 A1B 시나리오에 근거한 아열대 기후구의 변화를 전망하기 위하여 기온 관측 자료와 모델 시나리오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열대 기후에 관한 트레와다의 정의를 적용하여 현재 아열대 기후구와 미래 아열대 기후구의 변화를 전망해 본 결과 현재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부 지역(부산, 통영, 거제, 여수, 완도, 목포)에 해당하던 것이 2100년에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지 주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열대 기후에 포함된다. 즉, 현재의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한 도서지역은 물론, 동해안으로는 속초, 서해안으로는 강화에 이르기까지 해안 지역을 모두 포함하며, 서울, 인천, 수원 등 대도시 지역도 아열대 기후 지역에 포함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global warming has been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agriculture, fisheries and health, it is essential to project more accurate future climate for an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and adaptation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oundary changes in th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구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미래 기후 전망은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및 적응 부문에 가장 필수적인 정보이며, 기후 변화에 적응 대책을 세워야 하는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열대 기후 지역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부합되는 기후 학적 기준을 선정하여 현재의 아열대 기후 지역을 구분하고, 미래 아열대 기후 지역의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이에 위에서 언급한 기준 중에서 현재 육상 및 해양 생태계의 분포 특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트레와다의 기준을 이용하여 아열대 기후 지역을 정의하고자 한다.
  • 이에 위에서 언급한 기준 중에서 현재 육상 및 해양 생태계의 분포 특성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트레와다의 기준을 이용하여 아열대 기후 지역을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아열대 기후 지역의 변화 패턴을 전망하기 위하여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A1B 시나리오 자료를 2011 년부터 30년 단위로 2100년까지 지도화하여 변화 추세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열대 기후에 관한 트레와다의 정의를 적용하여 현재 아열대 기후구와 미래 아열대 기후구의 변화를 전망해 보았다. 그 결과 현재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부 지역에 해당하던 아열대 기후 지역이 2071-2100년에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역을 제외하고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하여 충청북도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권원태, 2005, '기후변화의 과학적 현황과 전망,' 한국기상학회지, 41(2), 325-336 

  2. 기상연구소, 2002a,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 기상연구소 

  3. 기상연구소, 2002b, 슈퍼컴을 활용한 예보능력 향상연구/ 대기-해양-해빙 결합모델 활용 체계 구축, 기상연구소 

  4. 기상연구소, 2003, 기후변화협약 대응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I), 기상연구소 

  5. 기상연구소, 2004, 기후변화협약 대응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II), 기상연구소 

  6. 기상연구소, 2005,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기발(I), 기상연구소 

  7. 기상연구소, 2006,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 용기술 기발 (II), 기상연구소 

  8. 김연옥, 1987, 기후학개론, 정익사, 191-224 

  9. 박용하.전성우.최재용.정휘철.김정원, 2000,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 평가 및 대응방안 I: 산림 생태계 부문을 중심으로, 국립환경정책평가연구원, 44-50 

  10. 박종화.황강석.강영실, 2000, '한국 근해 겨울철 온난화 와 주요 어종의 어황 변화,' 한국수산자원학회지, 3, 77-87 

  11. 서형호, 2003, '기후변화가 원예작물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수를 중심으로),' 한국농림기상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131-137 

  12. 서형호.김점국, 2005, '기후변화가 과수 재배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림기상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103-106 

  13. 심교문.윤성호.정영상.이정택.황규홍, 2002, ' 최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가을 보리의 수량 구성요소 및 생육 단계 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1), 38-48 

  14.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2004, '최근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가을 보리 안전재배지대 구분,' 한국 농림기상학회지, 6(4), 218-234 

  15. 윤성호.임정남.이정택.심교문.황규홍, 2001,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20-237 

  16. 이승법.신경섭.조영순.손승희, 2003, '식물계절에 나타난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 대기, 13(1), 468-471 

  17. 이승호.이경미, 2003,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2(1), 85-99 

  18. 정재은.서희철.정유란.윤진일, 2006, '겨울기온 상승에 따른 낙엽과수의 휴면생태 변화,' 한국농림기 상학회지, 8(2), 116-124 

  19. 하장성.이승호.권원태, 2006, '우리나라 작물 분포와 기후와의 관계: 벼, 월동배추를 사례로,' 한국기상학회지, 39(5), 531-540 

  20. 日本氣像廳, 2004, 近年における世界の異常氣像と氣候變 動-その實態と見通し(VI) 

  21. Boo, K. O., Kwon, W. T., and Kim, J. K., 2004, Vegetation change in the regional surface cliamte over East Asia due to global warming using BIOME4, Il Nuovo Cimento, 27(4), 317-327 

  22. Boo, K. O., Kwon, W. T., and Baek, H. J., 2006, Change of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Korea using regional proje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01701, doi:10,1029/ 2005GL023378 

  23. Bright, D. R. and Mullen, S. L., 2002, The sensitivity of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outhwest monsoon boundary layer to the choice of PBL turbulence parameterization in MM5, Weather and Forecasting, 17, 99-114 

  24. Choi, Y., Jung, H. S., Nam, K. Y., and Kwon, W. T., 2003, Adjusting urban bias in the regional mean surface temperature series of South Korea, 1968-99,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5), 577-591 

  25. Creutzburg, N., 1950, Klima, Klimatypen und Klimakarten, Petermanns Geographische Mitteilungen, 94, 57-69 

  26. Carter, T. R., Hulme, M., and Lal, M., 1999, IPCC-TGCIA Guidelines on the Use of Scenario Data for Climate Impact and Adaptation Assessment, Version 1, IPCC, Task Group on Scenarios for Impact Assessment 

  27. Dudhia, J., 1993, A nonhydrostatic version of the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validation tests and simulation of an Atlantic cyclone and cold front, Monthly Weather Review, 121, 1493-1513 

  28. Easterling, W. E., Hurd, B. H., and Smith, J. B., 2004, Coping with Global Cliamte Change: The Role of Adaptation in the United States, Pew Center Report 

  29. Fu, C., Wang, S., Xiong, Z., Gutowski, W. J., Lee, D. K., Mcgregor, J. L., Sato, Y., Kato, H., Kim, J. W., and Suh, M. S., 2005, Regional climt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for Asia, Bulletin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DOI:10.1175/BAMS-86-2-257 

  30. Giorgi, F., 1990, Simulation of regional climate using a limited area model nested in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Climate, 11, 3204- 3229 

  31. Grell, G. A., Dudhia, J., and Stauffer, D. R., 1994, A Description of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 NCAR Mesoscale Model (MM5), NCAR Technical Note NCAR/TN-398 +STR 

  32. Hirakuchi, H. and Giorgi, F., 1995, Multiyear present-day and 2xCO2 simulations of monsoon-dominated cliamte over eastern Asia and Japan with a regional climate model nested in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 21105-21125 

  33. Houghton, J. T., Ding, Y., Griggs, D. J., Noquer, M., Van der Linden, P. J., Dai, X., Maskell, K., and Johnson, C. A.(eds.),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ge University Press 

  34. Janjic, J. S., 1994, The step-mountain Eta Coordinate model: further developments of the convection, viscous sublayer and turbulence closure schemes, Monthly Weather Review, 122, 927-945 

  35. Kalvova, J., Halenka, T., Bezpalcova, , K., and Nemesova, , I., 2003, Koppen climate types in observed and simulated climate, Studia Geophysica et Geodaetica, 47, 185-202 

  36. Minobe, S., 2000, Spatio-Temporal structure of the pentadecadal variability over the North Pacific, Progress in Oceanography, 47, 381-408 

  37. Mnchell, M. and Kienholz, J., 1997, A climatological analysis of the Koppen Dfa/Dfb boundary in Eastern North America, 1901-1990, Ohio Journal of Science, 97(3), 53-58 

  38. Oh, S. N., Kim, Y. H., and Hyun, M. S., 2004, Impact of urbanization on climate change in Korea, 1973- 2002,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0(6), 725-740 

  39. Strahler, A. N., 1975, Physical Geograph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40. Smith, T. M. and Reynolds, R. W., 2003, Extended reconstruction of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s based on COADS data (1854- 1997), Journal of Climate, 16, 1495-1510 

  41. Trewartha, G. T. and Horn, L., 1980, An Introduction to Climate, 5th Edition, McGraw-Hill, New York 

  42. Viner, D. and Mayer, L., 1994,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Impact Studies in the UK, Report, Contract No PECD 7/12/96, CRU, Norwich, University of East Angli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