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2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 기후대의 변화 전망
Future Projections of Köppen Climate Shifts in the Asia Regions Using A2 Scenario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3, 2013년, pp.253 - 265  

신상훈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쾨펜의 기후대 구분법을 이용하여 현재 아시아 지역(경도 $55.6^{\circ}{\sim}149.3^{\circ}$, 위도 $-11.5^{\circ}{\sim}53.0^{\circ}$) 기후대를 분석하고, IPCC SRES A2 시나리 오상황에서의 기후대 변화를 전망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후대 구분의 기준이 되는 강수 및 기온자료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기후요소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2080년경에는 기준기간(1991~2010)에 비해 기온은 $4.0^{\circ}C$, 강수량은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간적으로는 기온의 경우 고위도 지역이 저위도 지역보다 기온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은 지역적 편중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후대 변화를 전망한 결과, 대체로 온난한 기후대의 면적은 증가한 반면, 한랭한 기후대의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기간 대비 2080년경에는 열대 기후대(A)의 경우 7.2%, 건조 기후대(B)는 1.9% 증가하였으며 온대 기후대(C), 냉대 기후대(D), 한대 기후대(E)는 각각 -2.4%, -4.9%, -1.8%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증가와 사막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climate zone applied by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the future climate zone projected by the A2 scenario in Asia region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ere also analyzed. As reg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아시아 지역의 관측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는 측면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의 영향을 강수·기온·식생의 상호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준기간(1991∼2010년)의 아시아 기후대를 구분하기에 앞서 구축된 기후자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기준기간 20년 동안의 연평균기온과 연강수량을 Fig. 2에 도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의 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의 관측 기상자료 및 기후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강수 및 기온의 시공간적 변동성과 이에 따른 식생의 변화를 쾨펜의 기후대 구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의 기후대 구분을 위해 NCDC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결측자료를 보정한 후 역거리 가중법을 이용하여 0.
  • 각 분석기간은 20년, 30년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으며 금회 연구에서 채택한 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의 관측소 (이란, 러시아)와 결측 개수가 해당 기간 동안에 보정할 수 없는 범위에 있는 것 들은 제외시켰다. 분석결과 자료기간 20년 이상의 관측소 수와 30년 이상의 관측소 수와의 차이가 325 개소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신뢰성 높은 기후대분석을 위해 자료기간 20년 이상의 관측소를 대상으로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대상 관측소별 기상자료의 이상치 또는 결측치에 대해서는 기온의 경우 결측일 전날과 다음날 자료를 평균하여 이용하였으며, 강우의 경우 인근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 중에서 IPCC AR4(Fourth Assessment Report)에 적용된 A2 온실가스배출시나리오의 ECHO-G 결과를 이용하였다. A2 온실가스배출시나리오는 높은 인구증가율, 높은 에너지 사용률, 토지피복의 빠른 변화와 점진적인 대안 기술의 개발 등을 가정한 것으로 CO2 농도가 2100년경 820 ppm까지 증가하고, 전구평균기온이 현재보다 4.6℃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시나리오이다. ECHOG 전구 시나리오로부터 아시아 지역규모의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 통계적 상세화 기법 중 하나인 Delta method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CC란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대 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IPCC, 2007).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가 전망한 21세기말 지구 평균기온 상승은 최대 몇 도인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대 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IPCC, 2007). 우리나라의 경우 20세기동안 기온은 전지구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1.
2010년, 2011년에 국내에서 관찰 된 이상기후는? 또한 필리핀에서는 1월에 3주간의 폭우로 홍수가 발생하여 58명이 사망하고 100만 명이 수해 피해를 입었다. 국내의 경우 2010년 9월에는 서울에 시간당 100 mm 이상의 집중호우로 광화문지역이 침수피해를 입었으며, 2011년 2월에는 동해시에 최심적설 102.9 cm 기록하였다. 또한 7월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서울 우면산과 강원 춘천 등에서 최악의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9월 중순에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염이 발생하였다. 이미 아시아 지역은 지구평균을 웃도는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정도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IPCC,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D.H., and Jung, I.W. (2008).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Methods and Results in Korean Water Resources. Technical Report, TR 2008-03, SWRRC (in Korean). 

  2.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a).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2644-2656. 

  3.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b). "Potential changes in Korean water resources estimated by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Vol. 35, pp. 213-226. 

  4. Bae, D.H., Jung, I.W., and Lee, B.J. (2007). "Outlook on Variation of Water Resources in Korea under SRES A2 Scenario."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12, pp. 921-930. 

  5. Bae, D.H., Jung, I.W., Lee, B.J., and Lee, M.H. (2011). "Future Korean Water Resources Projection Considering Uncertainty of GCMs an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5, pp. 389-406. 

  6. Beck, C., Grieser, J., Kottek, M., Rubel, F., and Rudolf, B. (2005). "Characterizing Global Climate Change by means of Koppen Climate Classification." Klimastatusbericht, pp. 139-149. 

  7. Chung, I.U., and Shin, S.H. (2011). "Observed Change of Climatic Regions and Desertification during the 20th Century." Climate Research (in Korean), Konkuk University Cilmate Research Institute, Vol. 6, No. 1, pp. 23-44. 

  8. Choi, Y. (2002).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 So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76, pp. 189-203. 

  9. Elsner, M.M., Cuo, L., Voisin, N., Deems, J.S., Hamlet, A.F., Vano, J.A., Mickelson, K.E.B., Lee, S.Y., and Lettenmaier, D.P. (2010). "Implications of 21st century climate change for the hydrology of Washington State." Climatic Change, Vol. 102, pp. 225-260. 

  10. FEU-US (2011).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od Production: A 2020 Perspective. 

  11. Fraedrich, K., Gerstengarbe, F.W., and Werner, P.C. (2001). "Climate shifts in the last century." Climatic Change, Vol. 50, pp. 405-417. 

  12. Fowler, H.J., Blenkinsop, S., and Tebaldi, C. (2007). "Linking climate change modelling to impact studies: recent advances in downscaling techniques for hydrological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pp. 1547-1578. 

  1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4. Jung, I.W., Bae, D.H., and Im, E.S. (2007).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I): Runoff Scenarios on Each Sub-basins." Journal of 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3, pp. 205-214. 

  15. Jung, I.W., Bae, D.H., and Kim, G.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3, pp. 359- 370. 

  16. Kalvova, J., Halenka, T., Bezpalcova, K., and Nemesova, I. (2002). "Koppen climatic types in observed and simulated climates." Stud. Geophys. Geod, Vol. 47, pp. 185-202. 

  17. Kim, M.J., Shin, J.H., Lee, H.S., and Kwon, W.T. (2008). "An Uncertainty Assessment of AOGCM and Future Projection over East Asia."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18, No. 4, pp. 507-524. 

  18. Kim, Y.O., Seo, Y.W., Lee, D.R., and Yoo, C. (2005). "Potential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a water resources system in Korea."Water International, Vol. 30, No. 3, pp. 400-405. 

  19. Kim, B.S., Kim, H.S., and Seoh, B.H. (2007).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Yongdam Dam Basin, Korea." Stoch Environ Res Ris Assess, Vol. 21, pp. 355-373. 

  20. Kwon, Y.A., Kwon, W.T., Boo, K.O., and Choi, Y.E. (2007).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2, No. 3, pp. 355-367. 

  21. Liu, Z., Xu, Z., Huang, J., Charles, S.P., and Fu, G. (2010).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headwater catchment of the Tarim River basin, Chin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4, pp. 196-208. 

  22. Semenov, M.A., and Barrow, E.M. (2002).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for Use in Climate Impact Studies: User Manual. 

  23. Snover, A.K., Hamlet, A.F., and Lettenmaier, D.P. (2003).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water planning studies: pilot applications in the Pacific Northwest." Bull Am Meteorol Soc, Vol. 84, No. 11, pp. 1513-1518. 

  24. Son, K.H. (2010). Assessment of Global Hydrologic Model on East Asia Region. M.Sc.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5. Wang, M., and Overland, J.E., (2004). "Detecting arctic climate change using Koppen climate classification." Climatic Change, Vol. 67, pp. 4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