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악력과 비만의 관련성: 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8)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3 no.3, 2020년, pp.203 - 212  

표은영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HGS/BMI) and obesity (BMI above 95th percentile) in adolesc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37 out of 701 adolescents aged 10~18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악력과 비만과 관련된 신체활동, 식이에 대한 조사가 연령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져 본 연구에 포함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한국 청소년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장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만 10~18세 한국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대 악력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으며, 상대악력과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보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체력 증진과 비만 관련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자료 중 3차년도(2018년)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2차 분석한 단면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독립변수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종속변수는 악력으로, 악력과 비만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혈액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상대악력(HGS/BMI ratio)과 비만 (BMI 95백분위수 이상)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에 참여한 만 10~18세의 청소년 총 701명 중 BMI와 악력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최종 6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한국의 만 10~18세 남녀 청소년의 비만(체질량지수 95백분위수 이상)과의 관련성을 성별에 따라 비교 연구하였으며, 남녀 청소년 모두 비만할수록 상대악력이 감소함을 증명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표본 추출 틀은 표본설계 시점에서 가용한 가장 최근 시점의 인구주택 총조사 자료를 기본 추출틀로 사용하였고, 현재 모집단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최신 정보사용을 위해 공통 주택공시가격 자료를 추가하여 기본 추출틀을 보완하고 모집단 포함률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목표 모집단인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1세 이상 국민에 대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받았으며, 생명윤리법 제2조 제1호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국가가 직접 공공복리를 위해 수행하는 연구에 해당하여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받지 않고 수행되었다.
  • 따라서 악력이 점점 증가하고 최고에 이르는 시기인 만 10~18 세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의 악력과 비만과의 관련성과 위험도를 비교하여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표하는 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중 가장 최근 자료인 2018년도(제7기 3차년도)에 참여한 만 10 ~18세의 청소년의 상대악력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u JH, Han CK. The effects of childhood obesity on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withdraw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7;59:59-86. https://doi.org/10.24300/jkscw.2017.09.59.5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examination survey. Cheongju: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December. Report No.: 11-1351159-000027-10. 

  3.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0;25(4):301-304. https://doi.org/10.3803/EnM.2010.25.4.301 

  4. WHO.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Geneva: WHO; 2020 [cited 2020 December 1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5. WHO.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WHO; 2003. p. 54-132. 

  6. Ministry of Education. Sampling design of student health examinations in 2018 [Internet]. Sejong: Author; 2019 [cited 2020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7144&lev0&m02 

  7.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panel survey X: junior high school. Data analysis report.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9. Report No.: 19-R14-1. 

  8. Son JE, Lee MC, Lee DT, Ku HJ, Lee JH. Changes of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indices in Korean adolescents: from 1956 to 200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6; 6(4):213-221. 

  9. Min SK, Oh TW, Kim SH, Cho J, Chung HY, Park DH, et al. Position statement: exercise guidelines to increase peak bone mass in adolescents. Journal of Bone Metabolism. 2019;26(4): 225-239. https://doi.org/10.11005/jbm.2019.26.4.225 

  10. Chae JS, Shin JY. Trend analysis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time of children and yout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2015;17(3):23-37. 

  11. Al-Ansari A, Nazir M.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saudi male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istry. 2020;8811974:1-7. https://doi.org/10.1155/2020/8811974 

  12. Yang M, Park CH, Jekal YS.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physical fitness and health status among overweight children or adolesc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8;13(3):659-670. https://doi.org/10.21097/ksw.2018.08.13.3.659 

  13. Lawman HG, Troiano RP, Perna FM, Wang CY, Fryar CD, Ogden CL. 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biomarkers in U.S. adults, 2011-2012.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16;50(6):677-683. https://doi.org/10.1016/j.amepre.2015.10.022 

  14. Landi F, Abbatecola AM, Provinciali M, Corsonello A, Bustacchini S, Manigrasso L, et al. Moving against frailty: does physical activity matter? Biogerontology. 2010;11(5):537-545. https://doi.org/10.1007/s10522-010-9296-1 

  15. Ana PA, Ximena DT, Daiana QSD. Relative handgrip strength, nutritional status and abdominal obesity in chilean adolescents. Plos one. 2020;15(6):e023431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34316 

  16. Chatterjee S, ChoWdhuri BJ. Comparison of grip strength and isomeric endura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hands of m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ge and other physical parameters. Journal of human Ergology. 1991;20(1):41-50. https://doi.org/10.11183/jhe1972.20.41 

  17. Mathiowetz V, Kashman N, Volland G, Weber K, Dowe M, Rogers S. Grip and pinch strength: normative data for adul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85;66:69-72. 

  18. Kellor M, Frost J, Silberberg N, Iversen I, Cummings R. Hand strength and dexterity: norms for clinical us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71;25:77-83. 

  19. Schmidt RT, Toews JV. Grip strength as measured by the Jamar dynamometer.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70;51:321-327. 

  20. Oh YH, Moon JH, Kong MH, Oh BJ, Kim HJ. The association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2017; 35(2):103-111. https://doi.org/10.5763/kjsm.2017.35.2.103 

  21. Park SH, Lee SH, Kim JH. 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ale adolescen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016).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2019;7(3): 83-94. https://doi.org/10.7570/jomes.2019.28.1.53 

  22. Jeong JH, Kim YW, Oh SH. Relationship between upper body strength decrement index, peak grip strength, and obesity in adolescents. Korea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2; 50:991-1001. 

  23. Jung MH, Yi JS, Jung H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6;29(1):11-21. https://doi.org/10.15434/kssh.2016.29.1.11 

  24. Park H.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1):53-62. 

  25. Lad UP, Satyanarayana P, Shisode-Lad S, Siri ChC, Kumari NR.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mass index (BMI), the body fat percentage, the handgrip strength and the handgrip endurance in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2013; 7(1):51-54. https://doi.org/10.7860/JCDR/2012/5026.2668 

  26. Kang Y, Park S, Kim S, Koh H. Handgrip strength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2014-2015.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2020;23(2):271-277. https://doi.org/10.1016/j.jocd.2018.09.002 

  27. Li K, Hewson D, Duchene J, Hogrel JY. Predicting maximal grip strength using hand circumference. 2010;15(6):579-585. https://doi.org/10.1016/j.math.2010.06.010 

  28. Hong S. Association of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lder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I-1.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9;28(1):53-60. https://doi.org/10.7570/jomes.2019.28.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