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조사자료를 활용한 수면시간과 악력 간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rip strength in Korean adults Using Convergence Survey Dat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435 - 444  

장세균 (헬스커넥트 헬스케어융합연구소) ,  김재현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부유경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에게서 주중 및 주말 평균 수면시간에 따른 악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총 4,707명 성인을 대상으로 카이제곱 검정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중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인 군에 비해 9시간 이상인 군의 악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주말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에서도 7시간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경우 주중 평균 하루 수면시간이 7시간 군에 비해 9시간 이상 군의 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시간이 길수록 악력이 감소되는 것과 50세 미만보다 50세 이상에서 악력 감소와 관련하여 더 강한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하였다. 근력의 감소는 개인의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인자이며 악력은 이러한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지표로써 관련성에 대한 면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uscle strength in Korean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The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Chi 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들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설문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시간을 주요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근력의 간접적인 지표로 볼 수 있는 악력지수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인구 사회학적, 건강행동 변수들을 통제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한편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층화하여 수면시간과 악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젊은 층(50세 미만)보다는 노년층(50세 이상)에서 수면시간이 길어질수록 악력이 약화되는 현상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시간 관리가 중요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삶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부족한 수면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인지 기능 장애를 유발하므로 수면시간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1]. 성인의 적절한 수면시간은 하루 7시간으로 해당시간 미만의 수면상태는 비만,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에 대한 질병의 위험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2-4].
본 연구에서 수면시간과 악력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나타났나요? 한편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층화하여 수면시간과 악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젊은 층(50세 미만)보다는 노년층(50세 이 상)에서 수면시간이 길어질수록 악력이 약화되는 현상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에서 시행한 1,274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에서도 남성에게서 수면시간이 9.
수면이 무엇인가요? 수면은 기초적인 생리기능으로 에너지 보존과 신경세포 및 신체 기능 유지에도 필수적이며 부족하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 인지 기능 및 신체 능력의 감소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9]. 흥미롭게도 짧은 수면시간을 유지하는 군과 적절한 수면을 유지하는 군에게서의 인지 기능의 차이를 연구한 사례가 있었으나 이는 특정 유전자 즉 생물학적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aper, C. B., Cano, G. & Scammell, T. E. (2005). Homeostatic, circadian, and emotional regulation of sleep.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493(1), 92-98. DOI: 10.1002/cne.20770 

  2. Grandner, M. A., Chakravorty, S., Perlis, M. L., Oliver, L. & Gurubhagavatula, I. (2014). Habitual sleep duration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and objectively determin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Sleep medicine, 15(1), 42-50. DOI : 10.5665/sleep.3028 

  3. Liu, Y., Wheaton, A. G., Chapman, D. P. & Croft, J. B. (2013). Sleep duration and chronic diseases among US adults age 45 years and older: evidence from the 2010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Sleep, 36(10), 1421-1427. DOI: 10.5665/sleep.3028 

  4. Cappuccio, F. P., D'Elia, L., Strazzullo, P. & Miller, M. A. (2010). Sleep duration and all-cause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Sleep, 33(5), 585-592. DOI : 10.1111/j.1365-2869.2008.00732.x 

  5. Ferrie, J. E. et al. (2007). A prospective study of change in sleep duration: associations with mortality in the Whitehall II cohort. Sleep, 30(12), 1659-66. DOI: 10.1093/sleep/30.12.1659 

  6. Kripke, D. F., Garfinkel, L., Wingard, D. L., Klauber, M. R. & Marler, M. R. (2002). Mortality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nd insomn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2), 131-136. DOI: 10.1001/archpsyc.59.2.131 

  7. Ancoli­Israel, S. & Cooke, J. R. (2005). Prevalence and comorbidity of insomnia and effect on functioning in elderly popul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S7), S264-S271. DOI: 10.1111/j.1532-5415.2005.53392.x 

  8. Spira, A. P., Covinsky, K., Rebok, G. W., Punjabi, N. M., Stone, K. L., Hillier, T. A. & Yaffe, K. (2012). Poor sleep quality and functional decline in older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0(6), 1092-1098. DOI: 10.1111/j.1532-5415.2012.03968.x 

  9. Durmer, J. S. & Dinges, D. F. (2005, March). Neurocognitive consequences of sleep deprivation. In Seminars in neurology. (Vol. 25, No. 01, pp. 117-129). Copyright ${(C)}$ 2005 by Thieme Medical Publishers, Inc., 333 Seventh Avenue, New York, NY 10001, USA.. DOI: 10.1055/s-2005-867080 

  10. Stenholm, S. et al. (2010). Sleep-related factors and mobility in older men and women.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med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5(6), 649-657. DOI: 10.1093/gerona/glq017 

  11. Pellegrino, R. et al. (2014). A novel BHLHE41 variant is associated with short sleep and resistance to sleep deprivation in humans. Sleep, 37(8), 1327-1336. DOI: 10.5665/sleep.3924 

  12. Stenholm, S., Kronholm, E., Bandinelli, S., Guralnik, J. M. & Ferrucci, L. (2011).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time in bed as predictors of physical function decline: results from the InCHIANTI study. Sleep, 34(11), 1583-1593. DOI: 10.5665/sleep.1402 

  13. Jike, M., Itani, O., Watanabe, N., Buysse, D. J. & Kaneita, Y. (2018). Long sleep duration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Sleep medicine reviews, 39, 25-36. DOI: 10.1016/j.smrv.2017.06.011 

  14. Auyeung, T. W., Kwok, T., Leung, J., Lee, J. S. W., Ohlsson, C., Vandenput, L. & Woo, J. (2015). Sleep duration and disturbances were associated with testosterone level,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a cross-sectional study in 1274 older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6(7), 630-e1. DOI: 10.1016/j.jamda.2015.04.006 

  15. Lang, P. O., Michel, J. P. & Zekry, D. (2009). Frailty syndrome: a transitional state in a dynamic process. Gerontology, 55(5), 539-549. DOI: 10.1159/000211949 

  16. Cooper, R., Kuh, D. & Hardy, R. (2010).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capability levels and mortal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41, c4467. DOI: 10.1136/bmj.c4467 

  17. Clark, B. C. & Manini, T. M. (2008). Sarcopenia ${\neq}$ dynapeni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3(8), 829-834. DOI: 10.1093/gerona/63.8.829 

  18. Snyder, P. J., Peachey, H., Berlin, J. A., Hannoush, P., Haddad, G., Dlewati, A. & Kapoor, S. C. (2000). Effects of testosterone replacement in hypogonadal m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5(8), 2670-2677. DOI: 10.1210/jcem.85.8.6731 

  19. Buchmann, N., Spira, D., Norman, K., Demuth, I., Eckardt, R. & Steinhagen-Thiessen, E. (2016). Sleep, muscle mass and muscle function in older people: a cross-sectiona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Berlin Aging Study II (BASE-II).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13(15), 253-260 DOI: 10.3238/arztebl.2016.0253. 

  20. Gauthier, A., Davenne, D., Martin, A., Cometti, G. & Hoecke, J. V. (1996). Diurnal rhythm of the muscular performance of elbow flexors during isometric contraction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13(2), 135-146. DOI: 10.3109/07420529609037077 

  21. Endeshaw, Y. W., Unruh, M. L., Kutner, M., Newman, A. B. & Bliwise, D. L. (2009).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frailty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0(2), 193-202. DOI: 10.1093/aje/kwp108 

  22. Goldman, S. E. et al. (2007). Poor sleep is associated with poorer physical performance and greater functional limitations in older women. Sleep, 30(10), 1317-1324. DOI: 10.1093/sleep/30.10.1317 

  23. Kim, J. H., Park, E. C., Cho, W. H., Park, J. Y., Choi, W. J. & Chang, H. S. (2013).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general adult population. Sleep, 36(10), 1563-1572. DOI: 10.5665/sleep.3058 

  24. Kim, J. H., Kim, K. R., Cho, K. H., Yoo, K. B., Kwon, J. A. & Park, E. C.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9(10), 1057-1064. DOI: 10.5664/jcsm.3082 

  25. Spira, A. P. et al. (2012). Poor sleep quality and functional decline in older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0(6), 1092-1098. DOI: 10.1111/j.1532-5415.2012.03968.x. 

  26. Dam, T. T. L., Ewing, S., Ancoli­Israel, S., Ensrud, K., Redline, S., Stone, K. & Osteoporotic Fractures in Men Research Group. (2008).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physical function in older men: the osteoporotic fractures in men sleep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9), 1665-1673. DOI: 10.1111/j.1532-5415.2008.01846.x 

  27. Chien, M. Y., Wang, L. Y. & Chen, H. C. (2015). The relationship of sleep duration with obesity and sarcopen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Gerontology, 61(5), 399-406. DOI: 10.1159/000371847. 

  28. Clark, B. C. & Manini, T. M. (2008). Sarcopenia / dynapeni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3(8), 829-34. DOI: 10.1093/gerona/63.8.829 

  29. Chen, H. C., Hsu, N. W. & Chou, P. (2017).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hand 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Yilan study, Taiwan. Sleep, 40(4). DOI: 10.1093/sleep/zsx021. 

  30. Auyeung, T. W., Kwok, T., Leung, J., Lee, J. S. W., Ohlsson, C., Vandenput, L. & Woo, J. (2015). Sleep duration and disturbances were associated with testosterone level,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a cross-sectional study in 1274 older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6(7), 630-e1. DOI: 10.1016/j.jamda.2015.04.006 

  31. Kwon, Y. J., Jang, S. Y., Park, E. C., Cho, A. R., Shim, J. Y. & Linton, J. A. (2017). Long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sarcopenia in Korean adults based on data from the 2008-2011 KNHANES.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13(9), 1097-1104. DOI: 10.5664/jcsm.6732. 

  32. Kim, J. H., Park, E. C., Cho, W. H., Park, J. Y., Choi, W. J. & Chang, H. S. (2013).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dur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general adult population. Sleep, 36(10), 1563-1572. DOI: 10.5665/sleep.3058.. 

  33. Kim, J. H. (2019). Effect of grip strength on mental health.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45, 371-376. DOI: 10.1016/j.jad.2018.11.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