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roblems and Job Engagement in Married Female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311 - 319  

박문경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윤정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와 일-가정 갈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직무열의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이차 분석을 실시하였고, 총 259명의 기혼여성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4와 AMO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면문제(β=-.33)와 일-가정 갈등(β=-.30)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고, 수면문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직무열의는 이 변수들에 의해 28.0% 설명되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관련 웰빙을 증진하기 위하여 기혼여성 간호사가 지각하는 수면문제와 일-가정 갈등이 직무열의 예측인자임을 규명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열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융합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eep problems and work-family conflict on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nurses and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is study was the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써,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 일-가정 갈등 및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경로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적합도와 경로 및 효과를 검정하는 경로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 문제와 일-가정 갈등,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 문제와 일-가정 갈등,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인 기혼여성 간호사 259명을 분석한 결과, 수면 문제와 일-가정 갈등은 직무 열의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수면 문제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 일-가정 갈등과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면문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긍정적 개념인 직무 열의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면 문제, 일-가정 갈등과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 열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며, 수면 문제와 직무 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 -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긍정적인 영향을 개인과 조직에 주는 긍정적 개념인 직무 열의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면 문제, 일-가정 갈등과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 열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며, 수면 문제와 직무 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 -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긍정적인 영향을 개인과 조직에 주는 긍정적 개념인 직무 열의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가정 갈등이란 무엇인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이란 일에 대한 역할과 가정에 대한 역할이 양립할 수 없고 갈등이 충돌할 때 생성되는 역할 갈등의 일종이며, 개인 및 조직과 연관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20]. 일-가정 갈등은 많은 여성에서 분노와 같은 정서를 경험하게 하고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자신의 직무를 즐겁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직무만족도나 조직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조직몰입을 저하시키고 결국 경력단절에 이르게 할 수 있다[21].
일-가정 갈등은 어떤 문제점을 발생시키는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이란 일에 대한 역할과 가정에 대한 역할이 양립할 수 없고 갈등이 충돌할 때 생성되는 역할 갈등의 일종이며, 개인 및 조직과 연관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20]. 일-가정 갈등은 많은 여성에서 분노와 같은 정서를 경험하게 하고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자신의 직무를 즐겁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직무만족도나 조직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조직몰입을 저하시키고 결국 경력단절에 이르게 할 수 있다[21]. 교대근무와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와중에 일과 가정의 영역에서 역할 갈등은 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일과 가정에서 역할의 균형을 깨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 문제와 일-가정 갈등, 직무 열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이에 따른 수면 문제, 일 -가정 갈등 및 직무 열의의 차이를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수면 문제, 일-가정 갈등 및 직무열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수면 문제, 일-가정 갈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일-가정 갈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K. Ko. (2008). Identification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sing 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87-297. DOI : 10.4040/jkan.2008.38.2.287 

  2. W. A. Kahn.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DOI : 10.5465/256287 

  3.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 A. B. Bakker.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4. W. B. Schaufeli & A. B. Bakker.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5(3), 293-315. DOI : 10.1002/job.248 

  5. M. S. Ko, H. Z. Lee & M. S. Koh. (2017). Effects of nurses' soci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on nursing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1), 42-51. DOI : 10.11111/jkana.2017.23.1.42 

  6. L. D. Scott, C. Arslanian-Engoren & M. C. Engoren. (2014). Association of sleep and fatigue with decision regret among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3(1), 13-23. DOI : /10.4037/ajcc2014191 

  7. S. M. Kwon & M. S. Kwon. (2019). Effect of nurse's self-leadership, job involvement and empowerment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 152-161. DOI : 10.5762/KAIS.2019.20.1.152 

  8. J. Y. Jeong & M. O. Gu.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sleep quality of female shift 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5), 622-635. DOI : 10.4040/jkan.2018.48.5.622 

  9. E. O. Yang, I. R. Choi & S. M. Kim. (2017). The impact of sleep disorder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shift-working nurse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4), 255-264. DOI : 10.17547/kjsr.2017.25.4.255 

  10. M. J. An, J. S. Kim, S. K. Heo, S. H. Kim & Y. Y. Hwang. (2018).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of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2), 126-135. DOI : 10.7475/kjan.2018.30.2.126 

  11. K. S. Han et al. (2011).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 121-131. DOI : 10.12934/jkpmhn.2011.20.2.121 

  12. Y. Harrison & J. A. Horne. (2000).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decision making: A review.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6(3), 236-49. DOI : 10.1037/1076-898X.6.3.236 

  13. H. S. Kim, K. S. Choi, M. Eom & E. J. Joo. (2011). Role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 22(2), 96-104. 

  14. I. O. Moon & Y. J. Lee. (2015). Factors influencing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negative affectivity in shift-working nurses. Journals of Womens Studies, 25(3), 45-68. 

  15. D. Camerino, M. Sandri, S. Sartori, P. M. Conway, P. Campanini & G. Costa. (2010). Shiftwork, work-family conflict among Italian nurses, and prevention efficacy.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7(5), 1105-1123. DOI : 10.3109/07420528.2010.490072 

  16. E. J. Ahn & G. S. Yoo. (2009). A study on shiftworkers' work-family conflicts, job stress, and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3), 115-139. 

  17. L. Barber, M. J. Grawitch, & D. C. Munz. (2013). Are better sleepers more engaged workers? A selfregulatory approach to sleep hygiene and work engagement. Stress and Health, 29(4), 307-316. DOI : doi.org/10.1002/smi.2468 

  18. J. K. Oh, E. K. Kim, & Y. H. Noh. (2013).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intention of flight attendants - focused on married female.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5(7), 383-399. 

  19. J. W. Lee. (2010).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work engagement studies. Business Management Review, 43(1), 167-191. 

  20. K. Byron.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 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DOI : 10.1016/j.jvb.2004.08.009 

  21. M. A. You & Y. J. Son. (2009). The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marri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4), 515-523. 

  22. S. Karagozoglu & N. Bingol. (2008). Sleep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urkish nurses. Nursing Outlook, 56(6), 298-307. DOI : 10.1016/j.outlook.2008.03.009 

  23. Y. Kim & I. Jang. (2014).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5), 525-534. DOI : dx.doi.org/10.11111/jkana.2014.20.5.525 

  24. I. O. Moon, S. K. Park & J. M. Jung. (2013).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525-535. DOI: 10.11111/jkana.2013.19.4.525  

  25.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17). The using guideline of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Ulsan: Author. 

  26. J. P. Yu.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s: Concepts and understand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1-567. 

  27. Y. J. Lee. (2019). Influential factors on job engagement in police offic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1), 557-564. DOI : 10.15207/JKCS.2019.10.11.557 

  28. Y. J. Jung & S. W. Kang. (2017).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2), 190-199 DOI : 10.7475/kjan.2017.29.2.190 

  29. Y. H. Kim, Y. M. Kim, M. J. Koo, S. H. Kim, N. Y. Lee & K. O. Chang. (2007). Workers' experiences in shift 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2), 284-292. 

  30. S. Sonnentag & C. Fritz. (2007). The recovery experienc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assessing recuperation and unwinding from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3), 204-221. DOI : 10.1037/1076-8998.12.3.204 

  31. J. H. Lee & J. I. Hwang. (2019). The effects of hospitals' family friendly management on married female nurses' retention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4), 386-397. DOI : 10.4040/jkan.2019.49.4.386 

  3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Necessity for Work-Family balance policy.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6990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