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 열수추출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in hot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by Hericium erinaceum (Bull. : Fr.)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1, 2020년, pp.20 - 28  

윤경원 (순천대학교 한약자원개발학과) ,  김경제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진성우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고영우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임승빈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하늘이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정희경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정상욱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서경순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루궁뎅이균사로 발효한 율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NO 생성저해, tyrosinase 합성 억제, melanin 생성 저해 및 유용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열수추출물의 ergosterol 함량은 740.2 mg%으로 나타났으며, 원료로 사용한 율무 열수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β-glucan 함량은 245.3 ± 5.1 mg%으로 나타났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은 100%, 104.1%, 107.2%, 105.3%, 102.1%, 101.3%, 100.4%의 세포생존율이 측정되어, 율무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 500 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은 8.9 μM의 NO 생성율을 보여, 율무 추출물(10.6 uM)의 NO생성율 보다 낮은 NO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10, 30, 50, 100, 200, 300 및 500 mg/mL 모든 농도에서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율무 열수추출물이 유의적으로 tyrosinase 및 melanin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노루궁뎅이균사발효에 따른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결과 노루궁뎅이 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이 율무 열수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열수추출물은 기능성식품 원료와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nitrite scavenging, melanin tyrosinase inhibitor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fermented 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 by Hericium erinaceum (Bull.: Fr.) mycelial hot water extract (FCLHE). Additionally, we analyzed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멜라닌은 산화적 스트레스나 NO (Nitric oxide) 등에 의한 자극에 의해서도 생성이 되는데, 천연소재의 항산화나 항염증 효과는 피부의 멜라닌과도 관련이 있다는 Joung 등(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율무를 노루궁뎅이균사로 발효하여 향장품 및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 제조 및 추출 최적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노루궁뎅이균사발효 율무의 ergosterol 함량, β-glucan 함량, 세포독성, 항염증효과, tyrosinase 저해활성, melanin 합성 저해활성 및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율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ma-yuen Stapf.)는 벼과(Gramineae)에 속한 한해살이 초본으로 종자를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하고 있다(Kuo et al.,2012).
율무는 약리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는가? , 2016). 약리적으로 항비만, 항산화, 항암, 면역력 증강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에 의한 미백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Kim and Lee, 2000). 율무종자에는 지방산, phenol 화합물, 다당류, benzoxazinoid, lignan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Han et al.
노루궁뎅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버섯을 단순히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급원이라든지, 맛과 향을 즐기는 기호식품의 일부로 보던 시대는 지나고, 버섯의 기능성에 더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Kim, 2012).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s)은 분류학상 민주름 버섯목(Aphyllophorales), 턱수염버섯(Hydnaecae)과 산호침버섯속(Hericium)에 속하며(Kawagishi et al., 1996), 노루궁뎅이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식용 및 민간요법에 사용되어 왔다(JI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