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변화,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여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유리당은 4가지가 검출되었으며, 유리당 중 fructose는 대체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와 acetic acid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10월 18일과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10월 11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및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확시기별 까마중 ethanol 추출물들의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 검정을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와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염증 효과 측정을 위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s을 NO 저해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는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실험 결과, 까마중 열매의 최적 수확시기는 성숙 중기인 10월 18일과 10월 11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lanum nigrum Linne fruits according to harvest time. Four kind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were detected in S. nigrum fruit,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까마중 열매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결실기부터 성숙기까지 시료를 활보하여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및 총 polyphenol 함량은 분석 및 측정하였다. 또한 수확시기에 따른 까마중 열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세포독성평가 및 NO 생성억제효과를 실험하여 까마중 열매의 식용소재화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변화,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여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유리당은 4가지가 검출되었으며, 유리당 중 fructose는 대체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까마중 열매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결실기부터 성숙기까지 시료를 활보하여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및 총 polyphenol 함량은 분석 및 측정하였다. 또한 수확시기에 따른 까마중 열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세포독성평가 및 NO 생성억제효과를 실험하여 까마중 열매의 식용소재화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약용으로 까마중의 전초를 채취하는 시기는? )은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草本)으로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자생하고 있다(1). 까마중의 열매는 용규(龍葵), black nightshade로도 불리고 있으며(2), 한방에서 까마중의 전초를 여름과 가을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약용으로, 열매는 가을에 수확하여 식용으로 이용한다(3,8). 이러한 유용성분과 영양성분을 바탕으로 까마중은 세계 각지에서 채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고대에 구황작물로도 활용된 기록이 있다(4).
까마중이란 무엇인가? 까마중(Solanum nigrum L.)은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草本)으로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자생하고 있다(1). 까마중의 열매는 용규(龍葵), black nightshade로도 불리고 있으며(2), 한방에서 까마중의 전초를 여름과 가을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약용으로, 열매는 가을에 수확하여 식용으로 이용한다(3,8).
까마중에 함유된 주요 폴리페놀계 물질은 무엇인가? 폴리페놀계 물질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 중 하나로 항산화 활성, 항암 및 항균 작용을 하는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져 있다(34). 까마중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은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epicatechin, rutin, caffeic acid을 비롯하여 다수의 성분들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35),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36,37) 본 연구 결과 10월 11일에서 10월 25일 수확한 까마중 열매 ethanol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까마중 열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235 mg/g 이라는 기존의 보고(38)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포도의 수확 시기에 따른 catechin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품종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한다는 보고(39)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ooper MR, Johnson AW (1984) Poisonous plants in Britain and their effects on animals and man. Fisheries Food, 161, 219-220 

  2. Ding X, Zhu F, Yang Y, Li M (2013) Purification, antitumor activity in vitro of steroidal glycoalkaloids from black nightshade (Solanum nigrum L.). Food Chem, 141, 1181-1186 INN 

  3. Yun KY, Kim MY (2010) Flora of Korean Medicinal Plant.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32-333 

  4. Bradley V, Collins DJ, Crabbe PG, Eastwood FW, Irvine MC, Swan JM, Symon DE (1978) A survey of Australian Solanum plants for potentially useful sources of solasodine. Aus J Bot, 26, 723-754 

  5. Raju K, Anbuganapathi G, Gokulakrishnan V, Rajkapoor B, Jayakar B, Manian S (2003) Effect of dried fruits of Solanum nigrum LINN. against CCl4-induced hepatic damage in rats. Biol Pharm Bull, 26, 1618-1619 

  6. Edmonds JM, ChweyaJA (1997) Black nightshades, Solanum nigrum L. and related species.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Rome, Italy, p 28 

  7. Yun KY, Kim MY (2010) Flora of Korean medicinal plant.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32-333 

  8. Huh J (2007) Dong-eu-bo-gam. Bubi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945 

  9.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19 

  10. Ahn BS, Kim JW, Kim HT, Lee SD, Lee KW (2010) Antioxidant effects of Hovenia Dulci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Vet Clin, 27, 366-373 

  11. Tampo Y, Tsukamoto M, Yonaha M (1999) Superoxide production from paraquat evoked by exogenous NADPH in pulmonary endothelial cells. Free Radic Biol Med, 27, 588-595 

  12. Oh SI, Lee MS (2005)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Krast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 54-62 

  13. Kim MJ, Chu WM, Park EJ (2012) Antiox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41-1048 

  14. Cheung LM, Cheung PCK (2005) Mushroom extracts with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lipid peroxidation. Food Chem, 89, 403-409 

  15. Jimoh FO, Adedapo AA, Afolayan AJ (2010)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valu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acetone,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the leaves of Solanum nigrum and Leonotis leonorus. Food Chem Toxicol, 48, 964-971 

  16. Lim JK, Chung GY, Jeong HJ (2001)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of Solanum nigrum L.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Korean J Life Sci, 11, 509-516 

  17. Choi SK, Seo KS (2012) Studies on growth charcateristics and yield of Solanum nigrum L. Korean J Plant Res, 25, 596-602 

  18. Seong JS, Kim KM, Suh JY, Ha JH, Park SN (201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ole plant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J Korean Oil Chemists' Soc, 32, 781-788 

  19. Choi SK, Seo KS, Kim YD, Yun KW, Choi BS, Jin SW, Kang KY, Cho IK, Kim KJ (2016) The chemical constitu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olanum nigrum Linne by different harvest time. Korean J Food Preserv, 23, 866-875 

  20. Atanu FO, Ebiloma UG, Ajayi EI (2011) A review of the pharmacological aspects of Solanum nigrum Linn.. Biotechnol Mol Biol Rev, 6, 1-7 

  21. Oh JS (2012) Seed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anum nigrum Linne influenced by seed soaking and chilling treatment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7-20 

  22. Perez GRM, Perez LJA, Garcia DLM, Sossa MH (1998) Neuropharmacological activity of Solanum nigrum fruit. J Ethnopharmacol, 62, 43-48 

  23. Song MJ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anum nigrum Linne by the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date.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7-20 

  24.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 300-301 

  25.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8. Green LM, Reade JL, Ware CF (1984)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hokines. J Immunol Methods, 70, 257-268 

  29.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30. Jing H, Kitts DD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ugarlysin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cell free and cell culture systems. Arch Biochem Biophys, 429, 154-163 

  31. Lee JC (1988) Changes in contents of ginsenosides, free sugars and fatty acids in developing ginseng seed. Korean J Crop Sci, 33, 134-137 

  32. Nam HS, Kim NW, Choi YO, Youn KS, Shin SR (2002) Chang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export eggplants according to cultivar and harvesting season. Korean J Food Preserv, 9, 287-291 

  33. Sun Rl, Zhou Q-x, Wang X (2006). Relationships between cadmium accumulation and organic acids in leaves of Solanum nigrum L. as a cadmium -hyperaccumulator. Huan jing ke xue, 27, 765-769 

  34. Ferreres F, Gomes D, Valentano P, Goncalves R, Pio R, Chagas EA, Seabra RM, Andrade PB (2009) Improved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cultivars: Vari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ive potential. Food Chem, 114, 1109-1027 

  35. Ravi V, Saleem TSM, Maiti PP, Gauthaman K, Ramamurthy J (2009)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Solanum nigrum Linn.. Afr J Pharm Pharmacol, 3, 454-457 

  36. Rani P, Khullar N (2004) Antimicrobial evaluation of some medicinal plants for their anti-enteric potential against multi-drug resistant Salmonella typhimurium. Phytother Res, 18, 670-673 

  37. Lee SJ, Lim KT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inne on oxygen radicals and its cytotoxic effects on the MCF-7 cell. J Food Sci, 68, 466-470 

  38. Son YO, Kim J, Lim JC, Chung Y, Chung GH, Lee JC (2003) Ripe fruits of Solanum nigrum L.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in MCF-7 cells. Food Chem Toxicol, 41, 1421-1428 

  39. Lee SH, Kim SK, Hong EY, Chun SH, Son IC, Kim DI (2014)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several phenolic compounds and fruit quality of grape cultivars. Korean J Plant Res, 27, 119-124 

  40. Cha JY, Cho YS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41. Jo JJ, Shin MG, Kim ES, Lee YS, Shin YJ, Jeon SY (2014) Cytoprotective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s (Jacq.) A.DC on C6 glioma cell apoptosis by oxidative stres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Pathology, 28, 396-402 

  42. Hu K, Kobayshi H, Dong A, Jing Y, Iwasaki S, Yao X (1999) Antineoplastic agents. III: Steroidal glycosides from Solanum nigrum. Planta medica, 65, 35-38 

  43. Zakaria ZA, Gopalan HK, Zainal H, Pojan NHM, Morsid NA, Aris A, Sulaman MR (2006)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pyretic effects of Solanum nigrum chloroform extract in animal models. Pharm Soc Japan, 126, 1171-1178 

  44. Jeong KS, Lee NG (2009)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effect of Solanum nigrum-ethanol extract. J Env Sci Intern, 18, 1207-1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