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탈지박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Defatted Sesame See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5, 2020년, pp.452 - 459  

김은지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조승화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임은정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김금숙 ((주)참고을) ,  최범석 ((주)참고을) ,  이남례 (국방기술품질원 국방신뢰성연구센터) ,  정도연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 제조과정의 부산물인 참깨탈지박을 고초균으로 발효하여 이를 총 리그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후 최종 균주를 선발하였고, 참깨탈지박 발효 추출물의 기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 균주 중 β-glucosidase 활성을 보유한 고초균 15종을 이용하여 참깨탈지박에 37℃에서 24시간 발효하였다. 참깨탈지박 발효 전과 발효 후의 β-glucosidase 정량, 총 리그난 함량,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β-glucosidase 활성 측정 결과, SRCM103716 발효 추출물에서 16.88 unit/l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리그난 함량은 BCH3678, BCH3572 발효 추출물에서 각각 약 1613.8 mg/l, 1599.5 mg/l으로 가장 높았다. BCH3623, BCH3558, SRCM103716 발효 추출물에서 각각 1534.9 mg/l, 1528.2 mg/l, 1521.8 mg/l로 두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SRCM103716 발효 추출물이 2803.3 m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RCM103716, BCH3678의 2종이 각각 1553.1 mg/l, 1488.7 mg/l로 가장 높게 증가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 한 결과, SRCM103716 발효 추출물에서 약 66.5%로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B. subtilis SRCM103716를 참깨탈지박 발효균주로 선발하였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리그난 및 각종 항산화 성분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참깨탈지박을 확보하여 추후 장류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otal lig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of defatted sesame seeds (DSS) fermented with 15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DSS were analyzed both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total lignan content of the 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장류 소재인 메주는 Aspergillus 속, Mucor 속, Rhizopus 속 등의 곰팡이류와 더불어 Bacillus 속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메주가 장류의 발효원이 되어 장류의 풍미 및 기능성을 부여한다[2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참깨탈지박 및 β-glucosidase 활성을 보유한 Bacillus subtilis를 이용 하여 참깨탈지박을 발효하고 이의 기능성 성분 증가와 관련된 리그난 함량, 페놀 성분 그리고 항산화효능을 비교 평가하여 추후 장류의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깨가 기능성 식품인 이유는? 약용식물로 잘 알려져 있는 참깨에 대한 기능성 연구는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이들의 항산화 물질 탐색과 기능성 물질의 생리활성 등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14]. 특히 참깨 중에 함유되어 있는 sesamin, sesamolin, sesaminol 등의 리그난 화합물의 간 해독작용과 생체내의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작용 등 체내생리활성조절 작용으로 인해 기능성 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다[1, 5, 19, 21]. 또한 참깨에는 tocopherol, flavonoids 등의 생리활성물질들이 유리형 또는 배당체 형태로 존재한다[8, 15, 17, 24].
참깨탈지박은 어떻게 재활용되는가? 그러나 배당체는 산, 효소 등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며, 유리상태가 배당체에 비해 생리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이렇게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참깨박은 재활용에 관한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북 소재 기업체에서만 부산물로 연간 2,000톤이 생산되나, 일부는 가축사료로 이용되며, 대부분은 폐기되는 실정이다. 최근 이런 참깨탈지박 의 유용성분 및 단백질을 토대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산업화하여 적용한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11, 12].
참깨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들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특히 참깨 중에 함유되어 있는 sesamin, sesamolin, sesaminol 등의 리그난 화합물의 간 해독작용과 생체내의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작용 등 체내생리활성조절 작용으로 인해 기능성 식품으로 보고되고 있다[1, 5, 19, 21]. 또한 참깨에는 tocopherol, flavonoids 등의 생리활성물질들이 유리형 또는 배당체 형태로 존재한다[8, 15, 17, 24]. 참기름 제조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인 참깨탈지박은 50% 이상이 단백질 성분이며, 포도당과 결합된 수용성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도 보유하고 있다[14,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kimoto, K., Kitagawa, Y., Akamatsu, T., Hirose, N., Sugano, M., Shimizu, S. and Yamada, H. 1993. Protective effects of sesamin against liver damage caused by alcohol or carbon tetrachloride in rodents. Ann. Nutr. Metab. 37, 218-224. 

  2. Choi, S. Y., Cho, H. S. and Sung, N. 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 Soc. Food Sci. Nutr. 35, 961-966. 

  3.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4. Halasz, A., Barath, A., Simon-Sarkadi, L. and Holzapfel, W. 1994. Biogenic amines and their production by microorganisms in food. Trends Food Sci. Technol. 5, 42-49. 

  5. Hirata, F. 1996.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esame lignan in humans. Atheroscler 122, 135-136. 

  6. Jung, T. D., Shin, G. H., Kim, J. M., Oh, J. W., Choi, S. I., Lee, J. H. and Jung, C. S. 2016. Changes of lign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sesame (sesame indicum L.) by cultivars. FASEB J. 30, 1174-1183. 

  7. Kang, N. S. and Lee, J. H. 2011. Characterisation of phenolic phytochemicals and quality changes related to the harvest times from the leaves of Korea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Food Chem. 124, 556-562. 

  8. Kang, Y. H., Park, Y. K., Oh, S. R. and Moon, K. 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9. Kim, D. H., Lee, G. Y., Kim, N. M. and Lee, J. S. 2003.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various extracts from danmemil and legumes. Kor. J. Food Nutr. 16, 347-352. 

  10. Kim, J. H., Ryu, S. J., Lee, J. W., Kim, Y. W., Hwang, H. J. and Kwon, O. K. 2013. Investigation on biogenic amines in plant-based minor Korean fermented foods. J. Appl. Biol. Chem. 56, 113-117. 

  11. Kumamoto, H., Matsubara, Y., Iizuka, Y., Okamoto, K. and Yokoi, K. 1985. Structure and hypotensive effect of flavonoid glycosides in kinkan (Fortunella japonica) peelings. Agric. Biol. Chem. 49, 2613-2618. 

  12. Kurowska, E. M., Dresser, G. K., Deutsch, L., Vachon, D. and Khalil, W. 2003. Bioavailability of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from perilla seed oil.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68, 207-212. 

  13. Lee, K. H., Choi, H. S., Choi, Y. H., Park, S. Y. and Song, J. 2014.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3 and KACC 15935. Kor. J. Food Preserv. 21, 121-128. 

  14. Mohdaly, A. A., Sarhan, M. A., Smetanska, I. and Mahmoud, A. 2010.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potato peel, sugar beet pulp and sesame cake. J. Sci. Food Agric. 90, 218-226. 

  15. Molyneux, P. 2004.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6, 211-219. 

  16. Nakazawa, T. and Ohsawa, K. 2000. Metabolites of orally administered Perilla frutescens extract in rats and humans. Biol. Pharm. Bull. 23, 122-127. 

  17. Nam, M. J. and Chung, H. Y. 2008.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Kor. J. Food Sci. Technol. 40, 141-145. 

  18. Park, S. J. and Kang, M. H. 2004.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seed. Food Industry Nutr. 9, 31-40. 

  19. Ryu, S. N., Kim, K. S. and Lee, E. J. 2002.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sesame. Kor. J. Crop. Sci. 47, 140-149. 

  20. Seo, J. W., Yang, H. J., Jeong, S. J., Ryu, M. S., Ha, G., Jeong, S. Y. and Jeong, D. Y. 2018.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SCML 432 isolated from Meju in Sunchang and optimization of its culture conditions by statistical methods. Kor. J. Food Preserv. 25, 397-410. 

  21. Sugano, M., Inoue, T., Koba, K., Yoshida, K., Hirose, N., Shinmen, Y., Akimoto, K. and Amachi, T. 1990. Influence of sesame lignans on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Agric. Biol. Chem. 54, 2669-2673. 

  22. Tamura, K. and Nei, M. 1993. Estimation of the number of nucleotide substitutions in the control region of mitochondrial DNA in humans and chimpanzees. Mol. Biol. Evol. 10, 512-526. 

  23. Yamamoto, H. and Ogawa, T.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perilla seed polyphenols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921-924. 

  24. Yang, S. Y., Hong, C. O., Lee, H., Park, S. Y., Park, B. G. and Lee, K. W. 2012.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treated with sucrose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vitro and in vivo. Food Chem. 133, 337-343. 

  25. Yoo, S. K., Cho, W. H., Kang, S. M. and Lee, S. H.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soybena paste and soybean sauc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113-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