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성적소구광고 이미지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Sexual Appeal Advertising Image Utilizing Eye Track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207 - 212  

황미경 (동의대학교 게임연구소) ,  권만우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이상호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김치용 (동의대학교 게임애니메이션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성적소구 광고 중에서 특히 주관적으로 해석하기 쉬운 소주광고 이미지를 AOI(area of interest) 3영역(얼굴, 몸매, 제품)으로 설정하여 심리 생리학적 지표 중 하나인 아이트래킹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광고모델의 시각적 주의, 즉 관심도가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높게 나타났다. 남자가 여자보다 몸매에 관심도가 높을 거라는 예측과는 달리 남녀 모두 몸매보다는 얼굴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에 대한 재인과 회상은 유의하지 않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남녀 소비자들의 시선의 응시점과 응시시간 등의 시각적 주의의 패턴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소주광고 이미지가 나아가야 할 표현방식과 나아가 적절한 마케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소주광고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Soju(Korean alcohol) advertisement image, which is relatively easy to interpret subjectively, among sexual appeal advertisements that stimulate consumers' curiosity, where the image is verified through AOI (area of interest) 3 areas (face, body, product), and eye-tracking, o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내용으로는 시각적 인지 우위를 알아보기 위해 9개의 소주광고 포스터 이미지를 AOI 3영역(얼굴, 몸매, 제품)으로 설정하여 광고내의 어떤 시각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성별에 따라 시각적 주의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섹스어필 광고는 효과적인가? 광고모델에 따라 브랜드의 재인과 회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성적소구 광고 중에서 특히 소주광고 이미지를 심리 생리학적 지표 중 하나인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무의식적인 인간의 시선경로를 관찰, 분석함으로써 특히 디자인에 있어서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인지적 사고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내용으로는 시각적 인지 우위를 알아보기 위해 9개의 소주광고 포스터 이미지를 AOI 3영역(얼굴, 몸매, 제품)으로 설정하여 광고내의 어떤 시각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성별에 따라 시각적 주의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섹스어필 광고는 효과적인가? 광고모델에 따라 브랜드의 재인과 회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 모델은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합니까? 이들은 비 성적 광고의 브랜드명이 누드를 사용한 광고보다 기억이 잘 될 것이며 여성모델의 노출 정도가 심할수록 브랜드명 회상도는 낮아질 것이라 예상하였다. 광고 모델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고유의 매력으로 제품과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그것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어 구매행동을 유발시키며, 제품에 광고모델에 대한 감정이입으로 긍정적,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5].
섹스어필광고의 주의집중효과 이외의 다른 효과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러한 이유 중 주의집중효과는 여러 연구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으나 주의집중효과 이외의 다른 효과에 대한 일반적 결론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첫째, 광고에 있어서의 섹스어필은 일단 광고에 대한 주의집중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주의집중은 섹스어필 자체에 대한 집중일 뿐 광고 메시지나 브랜드로 연결되지 않은 채 인식이나 회상에 역효과를 줄 가능성도 있다. 둘째, 소비자들의 섹스어필은 상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긍정적 상표태도는 섹스어필과 대상제품간의 연관 관계를 포함한 섹스어필의 질적 수준, 즉 섹스어필 이미지의 섬세한 논리적 조작을 통한 표현성의 문제에 영향을 받는다. 섹스어필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에 기인한 소구이므로 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섹스어필 표현 자체의 문제로 광고효과로 연결되지 않거나 역기능을 갖기도 한다. 특히 섹스어필의 저속한 표현이나 상품 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무시한 자극효과만을 목표로 한 무분별한 사용은 상품 및 기업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치며 오히려 정보전달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10].
장식적 모델이란 무엇으로 정의됩니까? 기존선행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는 비 성적광고보다 성적광고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광고는 잘 기억하지만 브랜드명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3]. 예를 들어 Reid Soley(1981, 1983)의 연구에서 장식적 여성 모델이 등장하는 성적광고의 기억효과를 연구하였는데, 여기서 장식적 모델이란 ‘광고가 제품을 보여 주는데 불필요한 매력적인 모델’로 정의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장식적 모델의 존재가 시각적 자극물의 인지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카피에 대한 인지도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M. Kim & S. J. Ahn. (2005). Visual design tendency (傾向) analysis of magazine advertisement - Focus on Color and Layout. Journal of Digital Design, 10, 69-178. 

  2. J. T. Jung & S. Y. Yu. (2011). The Effect on Parody Advertisement Type and Advertising Model in Consumer Attitut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5(5), 113-123. 

  3. H. J. Nho. (2011). Perfume ads with sexual appeals analysis of the semiotics.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0, 307-316. 

  4. Soley, L. & Reid, L.(1988). Taking it off: Are models in magazine ads wearing les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65, 960-966. 

  5. Alexander, M. W. & Judd, B. B. (1978). Do nudes in ads enhance brand recall?. Jo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8(1), 47-50. 

  6. Y. J. Cho. (2019). Newspapers made by consumers. CN media inc., www.consumernews.co.kr. 

  7. Y. H. Lee & K. H. Lee. (2012). A Study of the Consumer's Attitude for Poster Image of Soju Liquor Advertisemen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5(35), 173-183. 

  8. Duncan, T. (2005). Principles of advertising and IMC, McGraw Hill. 

  9. J. M. Lim, M. J. Park & J. C. Park. (2013). The Effects of Sex Appeal Advertising on Consumers' Responses : Focusing on the Role of Sex Appeal Type and Product Typ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4(3), 107-129. 

  10. Y. W. Park. (2002). Metaphor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25. 

  11. S. J. Hwang & I. Kim. (2014). An Analysis o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s.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2(1), 240-257. 

  12. J. H. Suh, J. Y. Park & J. O. Kim.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Cognitive Processing Characteristics Using a Eye-tracking Method. Journal of Digital Design, 15(3), 335-343. 

  13. S. J. Hwang & I. Kim. (2013). The Analysis of Consumer's Response to Fashion Brand Advertisement Using Eye-Tracker.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1(4), 203-220. 

  14. S. B. Lee, H. B. Lee & M. H. Shin. (2011). Exploring the Virtual Advertising Effects Using Eye Track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2(5), 99-125. 

  15. M. K. Hwang, M. W. Kwon, M. H. Park & S. H. Yin. (2019).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Popular Animation Characters Utilizing Eye Track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6), 214-221. 

  16. M. K. Hwang, M. W. Kwon, M. H. Park & C. Y. Kim. (2020). A Study on the Visual Precautions of Soju Advertising Posters Using Eye Trackin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3(2), 368-375. 

  17. S. T. Lim. (2005). A Study on Sex-appealing Photographs used on a Fashion Adverti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1(2), 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