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복궁 녹산(鹿山)의 성립과 경관적 의의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Landscape Meaning of Noksan in Gyeongbokgung Pala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4, 2020년, pp.1 - 11  

이종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산은 경복궁 내부에 위치한 구릉 형태의 녹지로서 문화재공간으로 주목받지 못한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녹산이 성립된 배경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경관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실록, 지도류, 사진에 대한 문헌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산의 정체성은 풍수적 내맥(來脈), 소나무림, 사슴과 관련되며, 경관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복궁전도」 외 다수의 고지도에는 백악으로부터 경복궁 내부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들이 묘사되었는데, 그중에서 녹산은 강녕전과 문소전으로 이어지는 내맥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된 숲이다. 북궐도상에서 녹산에는 육우정(六隅亭), 남여고(藍與庫), 녹직처소(鹿直處所), 그리고 남북 방향의 어구와 담장이 표현됨으로써 최소한의 시설과 숲으로 구성된 원형경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세종대에 경복궁의 북쪽 궁장이 건설되었으며, 경복궁 창건 시기에 연조 뒤쪽부터 신무문 안쪽을 후원으로 인식했던 반면에 경복궁 중건 시기는 신무문 밖에 새로운 후원 영역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녹산만 내맥의 산줄기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신무문 밖 후원에 대규모 관사가 건립되고 경무대 부지에 총독관저와 도로가 개설되면서 지형이 크게 변화되었다. 여기에 1967년 청와대와 녹산 사이의 청와대로가 신설되면서 녹산은 백악산록과 단절되었다. 셋째, 내청룡에 해당하는 경복궁 북동쪽의 풍수적 형세가 부족하여 소나무를 심어 지맥을 배양하였던 점과 임진왜란 이전 경복궁 배치도에 '소나무밭(松田)'이라고 표현된 사실에서 녹산의 원형이 된 숲의 주요 성상을 파악하였다. 발굴조사로 확인한 상수리나무, 벚나무, 느릅나무, 밤나무가 어우러진 소나무림을 원형 식생경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녹산에는 성토로 인하여 어구가 사라지는 등 지형이 바뀌고 아까시 등 외래수종과 관상용 향나무 등이 식재되었다. 현재는 소나무림의 비중이 줄고 상수리나무림, 낙엽활엽수혼효림, 일부 가죽나무림과 버드나무림으로 구성된 숲을 이루고 있다. 넷째, '녹산(鹿山)'이라는 명칭이 신령, 장수, 영생, 왕권을 상징하는 사슴으로부터 유래된 사실을 '경복궁 녹원에서 기르던 사슴 일곱 마리 중에 한 마리가 굶어죽었다'는 대한매일신보 기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ksan is a green area in the form of a hill located inside Gyeongbokgung Palace, unrecognized as a cultural heritage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and the actual site to derive its landscape meaning by examining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Noksan and how it changed. As a resul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7)

  1.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2.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Library. Monument at palace, erected where the late Queen's body was burned after she had been killed. 

  3. 문화재청(2005).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4. 문화재관리국(1994). 경복궁 복원정비 기본계획보고서. 

  5. 정종수(2004). 조선시대 궁궐원유의 변천에 관한 연구-경복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정우진(2015).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체제와 운용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문화재청(2007). 경복궁 변천사(상). 

  8. 문화재청(2007). 경복궁 변천사(하). 

  9. 양보경(1997). 조선시대의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진단학보 83(-): 85-106.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11. 김현욱, 김용기, 최종희(2000).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한 경복궁과 창덕궁 후원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41-50. 

  12. 이정국(2011).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0(6): 131-146. 

  13. 이혜원(2008).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홍순민(2007).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서울학연구소. 29(-): 57-82. 

  15. 정우진, 심우경(2012).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72-89. 

  16. 국토정보지리원 홈페이지. 

  17.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고적.관사.사법.행형 등 일제시기 건축도면콘텐츠 

  18.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19. 서울미래유산 홈페이지. 청와대 기초현황조사서(2013). 

  20. 공우석(2000). 조선시대 이전의 식생 간섭사. 제사기학회지. 14(1): 33-48. 

  21. 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홈페이지. 

  22.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등 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 논형. 

  23.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24. 박계옥(2004). 주몽신화에서의 홍수모티프 연구. 인문학연구. 32(-): 195-217. 

  25. 조법종(1998). 청산별곡에 나타난 새와 사슴의 한국고대 종교문화적 전통. 한국고대사연구. 14(-): 467-488. 

  26. 문화재청(2007). 궁궐의 현판과 주련. 서울 : 수류산방. 

  27. 김태홍(1997). 우리나라 사슴고기와 노루고기 조리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3): 275-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