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조직분야의 주요영역 및 내용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ajor Areas and Content Elements in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1, 2020년, pp.23 - 49  

최예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및 전문가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목록, 실습이라는 4영역으로 구성하고, 총 31개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역별로 도출된 내용요소들은 정보조직분야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안이나 교수 요목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별 내용요소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조직분야 교육내용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rives the main area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vered in the formal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suggests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Literature research, content analysis, survey and expert evaluation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se, inform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보조직분야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주요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안하기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내용분석,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속에서 정보조직분야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원에 대한 검색과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실무현장에서 관련 지식이 직접 활용된다는 점에서 여전히 매우 주요한 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파악하고,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서 다뤄야 할 정보조직분야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정보조직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 지식 및 기술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정보학의 교육영역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 정보조직분야의 교육과정을 다루는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에서 다뤄야 할 영역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제시하기보다 도서관 선진국의 상황이나 연구결과를 확인하거나 국내의 현황을 단순히 비교․분석하여 정보 조직분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추상적으로 제시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시작이자 기초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파악하고, 도서관 현장에 적합하면서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문헌정보학의 정보조직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주요 교육영역과 그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문헌정보학에서 정보조직분야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문헌정보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정보조직분야는 수년 전에 개발된 분류, 목록 원칙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분류 및 목록작성을 위한 MARC 연습 등의 기초적인 지식만을 가르치는 입문과목에만 국한되어 있다(조재 인, 2010). 변화하는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직하고, 관리하여 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서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분류와 목록뿐만 아니라, 정보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보조직분야에 새롭게 등장한 개념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에 관한 내용을 정보조직 분야 교육과정에서 다뤄야 하는 시점이다.
정보조직분야가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 이유는? 정보조직분야는 다양한 사물이나 자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조직의 개념과 역할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목록과 분류 이상의 개념으로,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새로운 개념이 추가되고 확장되는 영역이다(Taylor & Joudrey, 2009). 전통적인 분류와 목록뿐만이 아니라 자원기술을 위한 새로운 목록 원칙과 규칙, 통제어휘, 메타데이터 등을 통해 디지털 정보사회에서 기록된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 원을 검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자원을 일정한 형태로 조직하고 기술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기 때문에 분류 및 목록, 서지통제, 자료조직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지식과 기술은 정보의 축적과 검색, 관리, 검색및 이용, 보존, 복구와 연계되어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문헌정보학 전공자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역량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야 하는 영역이다(Markey, 2004; Hall, 2009; Joudrey & McGinnis, 2014;Snow & Hoffman, 2015).
정보조직분야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자원에 대한 물리적이고 기술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자원을 기술하고 조직하여, 자원에 질서를 부여하는 정보조직 분야의 중요성이 새로운 관점에서 비춰지고 있다. 정보조직분야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속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는 분야로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분야로 인식되 어왔다. 정보조직 관련 과목들은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기록된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 으로 조직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다루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다른 학업과정을 구별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제공한다(Audunso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Jeong-Hyen (2011).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source organization in Korea: 1970-20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149-164. https://doi.org/10.16981/kliss.42.3.201109.149 

  2. Rho, Jeehyun (2011). A new direction in Korea's LIS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225-245. https://doi.org/10.16981/kliss.42.1.201103.225 

  3. Park, Ok Nam (2011). Knowledge structures in knowledge organization research: 2000-2011.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247-26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3.247 

  4. 박현영 (2010). 도서관 현장에서의 장서개발과 편목업무를 통해 본 문헌정보학 교육의 문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 학술발표회, 25-39. 

  5. Baek, Ji-Won (201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DA in LIS cataloging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403-428.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403 

  6. Cho, Jane (2010). A study on the direction future of catalog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27-145. https://doi.org/10.16981/kliss.41.2.201006.127 

  7. ALCTS(Association for Library Collection & Technical Services) (1995). Educational policy statement (approved 1995). Retrieved from http://www.ala.org/ala/mgrps/divs/alcts/about/governance/policies/cepolicy.cfm 

  8.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9). ALA's Core competences of librarianship. Final version. Retrieved from http://www.ala.org/educationcareers/sites/ala.org.educationcareers/files/content/careers/corecomp/corecompetences/finalcorecompstat09.pdf 

  9. Audunson, R. (2007).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discipline profession, vo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94-107. 

  10. Callahan, D., & MacLeod, J. (1994). Recruiting and retention revisited: A study of entry level catalogers.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11(4), 27-43. https://doi.org/10.1300/j124v11n04_03 

  11. Cataloging Competencies Task Force (2017). Core competencies for cataloging and metadata professional librarians. ALA ALCTS CaMMS Competencies and Education for a Career in Cataloging Interest Group. Retrieved from https://alair.ala.org/handle/11213/7853 

  12. Davis, J. M. (2008). A survey of cataloging education: Are library schools listenin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6(2), 182-200. https://doi.org/10.1080/01639370802177604 

  13. Dulock, M. (2011). New cataloger preparedness: Interviews with new professionals in academic librari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9(2), 65-96. https://doi.org/10.1080/01639374.2011.538910 

  14. Gorman, Michael (2002). Why teach cataloguing and classification?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4(1-2), 1-13. https://doi.org/10.1300/J104v34n01_01 

  15. Hall, R. A. (2009). Exploring the core: An examination of required courses in ALA-accredited. Education for Information, 27(1), 57-67. https://doi.org/10.3233/efi-2009-0872 

  16. Hsieh-Yee, Ingrid (2003). Cataloging and metadata education: a proposal for preparing cataloging professionals of the 21st century. Retrieved from http://www.loc.gov/catdir/bibcontrol/CatalogingandMetadataEducation.pdf 

  17. Hsieh-Yee, Ingrid (2004). Cataloging and metadata education in North American LIS programs.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48(1), 59-68. 

  18. Hsieh-Yee, Ingrid (2008). Educating cataloging professionals in a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93-106. 

  19. Hudon, Michele (2010). Teaching classification, 1990-2010.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8(1), 64-82. https://doi.org/10.1080/01639370903356370 

  20. Joudrey, Daniel N. (2002). A new look at US graduate courses in bibliographic control.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4(1-2), 57-99. https://doi.org/10.1300/J104v34n01_06 

  21. Joudrey, Daniel N., & McGinnis, R. (2014). Graduate education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cataloging, and metadat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5), 506-550. https://doi.org/10.1080/01639374.2014.911236 

  2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3. Markey, Karen (2004). Current educational trends in the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317-339. https://doi.org/10.2307/40323877 

  24. Ocholla, L., & Ocholla, D. (2014). Cataloguing and classification education (CCE) and train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tudies departments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80(1), 1-7. https://doi.org/10.7553/80-1-166 

  25. Peters, S. H. (1989). Time devoted to topics in cataloging cours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3), 209-219. https://doi.org/10.2307/40323545 

  26. Raju, J. (2003). The 'core' in library and/or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training. Education for Information, 21(4), 229-242. https://doi.org/10.3233/efi-2003-21102 

  27. Snow, K., & Hoffman, G. L. (2015). What makes an effective cataloging course? A study of the factors that promote learning.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59(4), 187-199. https://doi.org/10.5860/lrts.59n4.187 

  28. Taylor, Arlene G., & Joudrey, Daniel N. (2002). On teaching subject catalogin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4(1-2), 221-230. https://doi.org/10.1300/j104v34n01_13 

  29. Taylor, Arlene G., & Joudrey, Daniel N. (2009).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estporet, Connecticut: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