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공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 산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1, 2020년, pp.193 - 212  

송경진 (마포중앙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공공도서관의 봉사대상인구는 학술담론이 부재한 채 건립, 리모델링, 서비스 계획의 수립과 평가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법률, 지침, 자료 등을 토대로 한 문헌연구와 미국, 호주, 일본과 한국의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봉사대상인구를 봉사계획인구와 봉사인구로 구분하여 재정의하고 각각의 산출방식을 제안하였다. 봉사계획인구는 건립이나 리모델링에 따른 투입자원을 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공공도서관이 서비스 할 수 있는 지역적 범위에 거주하는 인구로 인구통계학적 특성만을 확인할 수 있다. 봉사계획인구의 산출은 계획시점의 행정구역인구를 기초로 인구 10만 이상의 도시지역에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반경 2km 이내의 인구와 개관연도까지의 추계인구를 적용하고, 인구 10만 미만의 지역에서는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읍·면·동의 인구와 추계인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반면, 봉사인구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계획 수립이나 평가, 홍보 등에 사용되며, 실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이거나 공공도서관의 투입자원에 따라 결정되는 수혜대상 인구로 정의할 수 있다. 봉사인구는 공공도서관의 등록회원 수나 서비스 참가자 수, 투입자원의 규모에 따라 산출한 서비스 수혜대상 수 등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을 적용하면 효율적인 공공도서관의 시설 배치나 자원 투입이 가능하며, 투입 대비 산출에 대한 측정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이 연구에서는 봉사대상인구 적용에 따른 혼란을 피할 수 있도록 『도서관법』 제3조 제1항의 <별표1>을 삭제하고, 기준이나 매뉴얼과 같이 개정이 유연한 자료에 개념 및 산출 근거 등을 명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term 'public library service population' is applied in various situations without academic discourse. This study analyzed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the term with literary reviews and case studies in United States, Australia, Japan, and Korea. And also this study redefined concepts a...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학술담론이 부재하면 정책결정 및 실행 과정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시설을 통해 담보해야 할 최종적인 서비스 목적의 효과도 상실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도서관 현장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는 봉사대상인구의 개념과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도출함으로써 학술담론을 촉발하고, 실제 적용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주로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적용에 있어 혼란이 야기되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봉사대상인구에 대한 개념이 명시된 법률과 지침, 자료 등을 토대로 문헌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더불어 공공도서관의 역사가 오래되었고,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운영의 이론적 모델로 자주 인용되는 미국과 일본, 그리고 2011년 이후 국가차원의 공공도서관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는 호주를 대상으로 봉사대상인구가 주로 적용되는 기준, 통계, 평가의 세 범주에 따른 활용사례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 권나현(2017)은 현행 사서배치기준의 문제점을 문헌조사와 실증적 통계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연면적과 장서량을 통해 봉사대상인구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현행 사서배치기준을 직접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각 기준에 적용되는 봉사대상인구 구간은 국토의 면적이나 지형에 따라 형성되는 지역사회의 크기, 인구밀도, 행정구역 설정, 지역인구 크기, 해당 지역의 도서관수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도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우리나라 『도서관법시행령』의 규정은 문헌적인 근거를 찾을 수는 없었지만, 행정구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 이처럼 국내외를 막론하고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이나 적용과 관련한 독자적인 연구는 거의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공공도서관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의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여 실제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단, 사례에서 알 수 있듯 행정구역에 따른 거주인구와 실제 도서관이용인구가 일치하지는 않으며, 행정구역간 경계와 가까운 곳에 입지할 경우 비거주 이용인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행정구역 내 거주인구만으로 계획인구를 산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는 행정구역인구를 기초로 하되,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분포가 밀집되는 반경 거리 이내의 거주인구와 장래 인구 변화에 따른 수요를 반영하여 산출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반경 거리를 사용할 경우 경계에 입지한 공공도서관이라면 해당 행정구역 내 비거주 인구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현실적으로 서비스를 계획하는 시점의 봉사인구는 이미 물리적인 규모가 확정된 기존의 공공도서관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역량에 따라 정해진다고 보아야 하기 때문에 도서관의 투입자원를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상황을 감안하여 전자의 경우 현재 이용자를 중심으로, 후자의 경우 현재 이용자와 도서관의 투입자원을 활용한 산출방식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웨스트 버지니아 도서관 이사회가 정의하는 법정봉사지역인구란 무엇인가?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법정봉사인 구는 법정봉사지역인구라고도 하며, 웨스트버지 니아도서관이사회는 매뉴얼에서 “도서관위원회 (Library Commission)가 한 도서관에 할당한 지역의 인구수로 미교육부 산하 국가교육통계센터가 공공도서관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구축한 연방-주 협력시스템(Federal-State Cooperative System, FSCS)의 표준 데이터요소 가운데 하나(West Virginia Library Commission 2016, 75)”로 정의하고 있다. 좀 더 실제적인 설명은 미국의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용어정의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북미지역에서 봉사대상인구를 가리키는 용어는 무엇인가?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해외문헌을 고찰한 결과 봉사대상인구를 가리키는 용어는 대략 세 가지 정도가 사용되고 있었는데 계획인구(design population), 법정봉사인구, 봉사인구(service population)가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용어는 상호배타적인 변별력을 갖는 것은 아니며, 그 개념이나 산출방식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PLA가 매년 조사하는 공공도서관데이터서비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봉사대상인구가 적용되는 미국의 국가 차원 통계로는 PLA가 매년 조사하는 「공공도서관데이터서비스(Public Library Data Service, PLDS)」가 있다. 이 조사는 미국과 캐나다 지역 공공도서관의 재정, 자원, 서비스 이용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법정봉사지역인구를 봉사대상 인구로 활용하고 있다(Public Libraries Online 2017). 단, 앞서 기술한대로 IMLS의 경우 PLA가 수집한 법정봉사지역인구에 중첩이 있다는 점을 고려, 중복을 제거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o, Young-Man, Ji-Sang Chang, Wonsik Shim, and Soon-Hee Pyo. 2009. Public Library Economic Valuation Studies.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 Kwon, Nahyun. 2017. "An Analysis of Staffing of Public Libraries and Staffing Standards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183-201. 

  3. Kim, Sun Ae.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Budget and Library Usage."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2): 193-212. 

  4. Kim, Yong-min, Hwanbae Kim, Hye-Young Cheong, and Myeong-Hun Lee. 2017. "A Study on Flow Ratio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of Subway Line No. 2 Stati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9(3): 157-179. 

  5. Kim, Hyojeong. 2014. A Basic Study on Developing Allocation and Functional Readjustment Models for Cultural Facilities.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6.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8. National Library Operation Evaluation Result Report 2017.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lanning Group for Library and Museum Policy. 2016. Manual for Public Librar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8. Won, Jong-Jun and Kun-Hyuck, Ahn. 2010. "The Effect of Locationa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n Public Library Use -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2): 79-86. 

  9. Yun, Minseok and Jin-Young Moon. 2018. Need to Consider Demand Analysis of Living Population in the Activity Area for Expansion of Social Service Facilities. Seoul: The Seoul Institute. Issue Paper 20. 

  10. Yoon, Hee-Yoon. 2012. "A Study on the Revision of Staffing Standarde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55-76. 

  11. Yoon, Hee-Yoon. 2013.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49-71. 

  12. Lee, Yong-Nam. 2000. "A Study on Using 'Population of Legal Service Area' as a Criterion for Evaluating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2): 5-20. 

  13. Lim, Ho Kyun. 2013. "Study of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Focusing o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Design convergence study, 12(5): 51-64. 

  14. Chang, Durk-Hyun and Eun-Yeong Kang. 2012. "Citizen Perceptions and Demands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The Journal of Humanities, 30: 201-223. 

  15. Korean Library Association Special Committee on Library Standards. 2013. Korean Library Standards 2013.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6. Bennett-Kapusniak, Renee. 2013. "Older Adults and the Public Library: The Impact of the Boomer Generation." Public Library Quarterly, 32: 204-222. 

  17. Dahlgren, Anders C. 2009. Public Library Space Needs: A Planning Outline / 2009. Wisconsin: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8. Evers, Tony. 2010. Wisconsin Public Library Standards 5th edition. Madison, Wisconsin: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 Garcia Lopez, F., M. Caridad Sebastian, and A. M. Morales Garcia.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the Spanish Public Library Network (2007-2010)." Information Research, 17(4): 554. 

  20. Higg, G., M. Langford, and R. Fry. 2013. "Investigating Variations in the Provision of Digit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Using Network-based GIS Model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5(1): 24-32. 

  21. Palmer, E. S. 1981. "The Effect of Distance on Public Library Use: A Literature Survey." Library Research, 3: 315-354. 

  22. Park, Sung Jae. 2012a. "Measuring Public Library Accessibility: A Case Study Using GI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13-21. 

  23. Park, Sung Jae. 2012b. "Measuring Travel Time and Distance in Library Use." Library Hi Tech, 30(1): 151-169. 

  24. 국가법령정보센터. 1997-2020. [cited 2020.3.7]. . 

  25. 국토교통부. 2019.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일부개정 재공고 [online]. [cited 2019.6.20]. . 

  26. 국토환경정보센터. 2009-2020. 국토환경의 이해 [online]. [cited 202.3.7]. . 

  27.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가도서관통계. [cited 2019.4.16]. . 

  28. 下山佳那子. 2018. 公立?書館評?に?する?態調査の動向 [online]. [cited 2019.4.15]. . 

  29. 日文部科?省. 2013. ?書館の設置及び運?上の望ましい基準 [online]. [cited 2019.4.11]. . 

  30. 日本?書館協?. 2018. 日本の?書館統計: 公共?書館 [online]. [cited 2019.4.11]. . 

  31. 日本?書館協??書館政策特別委員?. 2004. 公立?書館の任務と目標 [online]. [cited 2019.4.11]. . 

  32. 千葉市?書館協議?. 2019. 平成29年度千葉市?書館の評? [online]. [cited 2019.4.15]. . 

  33. I & J Management Services. 2016. Guidelines, Standards and Outcome Measures for Australian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19.2.22]. . 

  34. IMLS. 2014.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Survey: Fiscal Year 2012 [online]. [cited 2019.2.1]. . 

  35. IMLS. 2018. Public Libraries Survey Fiscal Year 2016: Data File Documentation and User's Guide [online]. [cited 2019.4.10]. . 

  36. Library Journal. 2018. The LJ Index: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Why does the LJ Index use per capita measures? [online]. [cited 2020.3.7]. . 

  37. Public Libraries Online. 2017. The 2017 Public Library Data Service Report: Characteristics and Trends [online] [cited 2019.2.20]. . 

  38. Spruce Grove Public Library. 2017. Spruce Grove Public Library 2017 Needs Assessment 2017 [online]. [cited 2019.1.23]. . 

  39. Texas Library Association. 2014. Texas Public Library Standards, 2014 Revision [online] [cited 2019.2.20]. . 

  40. West Virginia Library Commission. 2016. West Virginia Public Library Trustees Manual. 2016 Edition. Charleston: West Virginia [online]. [cited 2018.8.16].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