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1, 2020년, pp.337 - 356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전경선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Us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eight public library makerspaces across key elements, including space, size, staff, equipment, programs, and budget. 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도서관이 지향하는 메이커스페이스의 목표는 지역주민의 경험 및 수준 지역주민들에게 빠르게 진화하는 정보혁신과 기술을 경험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창의 시민․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는 이용자들 각자의 경험 및 수준에 따른 학습을 통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서관의 규모 및 특성 등에 따라 장서 및 서비스가 다양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이커스페이스 역시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향후 보다 확대된 메이커스페이스 사례 및 운영 실태 조사 등을 통한 국내 메이커스페이스의 확산과 활성화 방안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사전조사로 진행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장윤금 외 2019)결과를 기초로 메이커스페이스의 조성과 운영에 대한 목적 및 기능 수립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을 사례 조사함으로써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국내의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에 관한 연구는 현황 조사 및 문제점, 개선 방안 도출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또는 설립 시 고려되어야 할 메이커스페이스의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오영옥, 김혜진 2019; 장윤금 외 2019).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성하고 운영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가이드라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및 예산, 상황에 따라 운영에 필요한 조건이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운영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목표 및 사명에 근거하여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창의실현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를 유형별로 제안하였다.
  •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필수 요소로는 공간, 인력, 프로그램, 장비․기기,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가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요소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는 이용자들에게 자발적인 체험학습과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술 기반(technology-based) 디지털 리터러시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3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2019-2023)』에 ‘공공도서관의 체험, 협업 및 창작공간으로서의 메이커스페이스 확대’가 포함됨에 따라 그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부 지원 아래 구축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대표적인 사례는? 공공도서관에 특화된 정부 지원 메이커스페이스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는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의 메이커스페이스 시범․운영 사업이다. 이를 통해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서울), ‘과천정보과학도서관’(경기), ‘제천시립도서관’(충북) 등 3개 기관이 선정되어 2019년까지 2년간 지원을 받았다. 또한2019년 9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미래꿈희망 창작소(미꿈소)’라는 이름의 메이커스페이스를 조성하여 도서관형 융합 메이킹 교육의 창작(메이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현황은? 이와 같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그 기관의 수가 아직까지는 제한적이지만 지속적으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으며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수정 외 2019; 장윤금 외 2019). 하지만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은아직 초기 단계로 재정, 공간, 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안인자, 노영희 2017; 권혁인, 김주호 2019; 장윤금 외 2019).또한 국내의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에 관한 연구는 현황 조사 및 문제점, 개선 방안 도출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또는 설립 시 고려되어야 할 메이커스페이스의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오영옥, 김혜진 2019; 장윤금 외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won, Hyeog-In and Ju-Ho Kim. "Invigorating Makerspaces in Korea - Empirical Analysis on Operating Components of Makerspac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2): 105-118. 

  2. Kim, Soojung, Jongwook Lee, and Sanghee Oh. 2019.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249-272. 

  3. Seo, Jin Won and Jong-In Choi. 2019. "The Needs for a Start-up and Business Approach to Makerspace; Why Should We Develop Makerspace through Management Techniqu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3): 111-127. 

  4. Ahn, In-Ja and Young-Hee Noh. 2017. "Research of the Formation of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a Survey on Space Usage and Programs Being Operated."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4): 415-436. 

  5. Oh, Young-ok and Hea-Jin Kim. 2019.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Makerspace in Public Library Based on L-Commons Mode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3): 293-315. 

  6. Chang, Yunkeum, Sehun Kim, and Kyungsun Jeon. 2019. "A Study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Op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3(3): 161-183. 

  7. Chang, Yunkeum. 2017.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1): 289-306. 

  8. Hong, So-Ram and Seong-Woo Park. 2015. "A Concept Analysis on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s Co-working Spa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245-269. 

  9. Britton, Lauren. 2012. "A Fabulous Laboratory: The Makerspace at Fayetteville Free Library." Public Library, 51(4): 30-33. 

  10. Burke, John. 2014.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Lanham: Rowman & Littlefield. 

  11. Burke, John. 2018. Makerspace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2nd ed. Lanham: Rowman & Littlefield. 

  12. Willingham, T. 2018. Library Makerspaces: The Complete Guide. NY: Rowman & Littlefield. 

  13. 광진정보도서관 [online]. [cited 2020.1.19]. . 

  14. 수성구립고산도서관 [online]. [cited 2020.1.19]. . 

  15. 제천기적의도서관 [online]. [cited 2020.1.19]. . 

  16. 청주기적의도서관 [online]. [cited 2020.1.19]. . 

  17. Chicago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20.1.23]. . 

  18. Fayetteville Free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20.1.23]. . 

  19. Onondaga County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20.1.23]. . 

  20. Westport Library [online]. [cited 2020.1.23].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