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과서 텍스트의 계량적 분석을 이용한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 방안 탐색
Exploring Teaching Method for Productive Knowledge of Scientific Concept Words through Science Textbook Quantitativ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1, 2020년, pp.41 - 50  

윤은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학생들이 과학 개념어에 대한 깊고 정교한 이해와 더불어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 교육에서 과학 개념어에 대한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이 잘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주목하고,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몇 가지의 계량 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 텍스트로 부터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고, 둘째, 각 방법의 결과로 추출된 단어 관계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살펴본 뒤, 셋째, 이를 이용하여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쓰기 활동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 텍스트를 클러스터 분석, 공기 빈도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워드임베딩의 네 가지 계량 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클러스터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문장 완성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둘째, 공기 빈도 분석 결과를 이용한 빈 칸 채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재 중심 글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넷째, 워드임베딩을 이용한 학습 중요 단어 목록 작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oking at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develop a deep and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words used in scientific concept as well as the ability to use them correctly.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basis for product...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머리 속에 단어의 의미를 정교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특히 생산적 단어 학습 가운데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머리 속에 단어의 의미를 정교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어를 문장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단어와, 단어가 사용되었던 문맥을 충분히 회상해야 하고, 문장에서 적절하게 단어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의미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Barcroft, 2004).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연구 방법은?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 교육에서 과학 개념어에 대한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이 잘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주목하고,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몇 가지의 계량 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과학 교과서 텍스트로 부터 과학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고, 둘째, 각 방법의 결과로 추출된 단어 관계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살펴본 뒤, 셋째, 이를 이용하여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쓰기 활동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 텍스트를 클러스터 분석, 공기 빈도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워드임베딩의 네 가지 계량 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언어 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같은 맥락에서 인지언어학자들은 언어의 구조, 즉, 단어들 사이의 관계들이 인간 인지의 직접적인 반영이라고 주장한다(Robinson, 2008). 따라서 언어 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은 동시에 인지 능력이 발달함을 의미하고, 이것은 곧 머리 속의 단어 네트워크가 양적, 질적으로 확장되고 잘 조직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 개념은 중심에 해당 개념을 표현하는 과학용어가 위치하는 하나의 단어 집합을 이루는 덩어리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rcroft, J. (2004). Effects of sentence writing in second language lexical acquisition. Second Language Research, 20, 303-334. 

  2. Barnbrook, G. (1996). Language and computers, Edinburgh University Press. 

  3. Biber, D., S. Johansson, G. Leech, S. Conrad, & E. Finegan. (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don: Longman. 

  4. Choi, S., Matteson, A. S., & Lim, H. (2018). Utilizing local bilingual embeddings on Korean-English law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5-53. 

  5. Evans, V., & Green, M. (2006).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6. Folse, K. (2006). The effect of type of written exercise on L2 vocabulary retention. TESOL Quarterly, 40(2), 273-293. 

  7. Griffin, G. F., & Harely, T. A. (1996). List learning of second language vocabulary. Applied Psycholinguistics, 17(4), 443-460. 

  8. Halliday, M. A. K. (1993). Towards a language-based theory of learning. Linguistics and Education, 5, 93-116. 

  9. Hulstijn, J., & Laufer, B. (2001). Some empirical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in vocabulary acquisition. Language Learning, 51, 539-558. 

  10. Jhang, S., & Lee, S. (2013). Clusters and key clusters in the Maritime English Corpus.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20(4), 199-219. 

  11. Kang, B. (2011). Language, computer, corpus linguistics. Korea University Press. 

  12. Kim, J. & Im, H. (2012). The interaction effects of exposure frequency and task-induced involvement on English learners' vocabulary development.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9(4), 349-373. 

  13. Kwon, H. (2008). The prictice and application of corpus linguistics.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24(3), 1-30. 

  14. Laufer, B. (1998). The development of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Same or different? Applied Linguistics, 19(2), 255-271. 

  15. Lee, I., & Kim, M. (2006). Multi-document summarization based on cluster using term co-occurrence. Journal of KIISE: Software and Applications, 33(2), 243-251. 

  16. Lee, C. (1998).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teaching theory. Korean Language Education, 98, 75-103. 

  17. Mikolove, T., Sutskever, I., Chen, K., Corrado, GS., & Dean, J. (2013a).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phrases and their compositionality.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26, 3111-3119. 

  18. Nation, 1. S. P. (1990). Learning and teaching vocabulary. New York: Newbury House. 

  19. Nattinger, J. (1988). Some current trends in vocabulary teaching. In R. Carter & M. McCarthy (Eds), Vocabulary and language teaching (pp. 62-82). London: Longman. 

  20. Park, B. (2002). A study on Korean syntactic collocation.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9, 333-351. 

  21. Piaget, J. (1926).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 Harcourt, Brace. 

  22. Rincke, K. (2011). It's rather like learning a language: Development of talk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mechanics les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2), 229-258. 

  23. Robinson, P. (2008).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outledge. 

  24. Rupley, W., & Slough, S. (2010). Building prior knowledge and vocabulary in science in the intermediate grades: Creating hooks for learning. Literacy Research and Instruction, 49, 99-112. 

  25. Ryoo, Y. (2009). Effects of two types of vocabulary practice: Receptive and productive.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6(1), 79-99. 

  26. Sahlgren, M. (2008). The distributional hypothesis. Italian Journal of Disability Studies, 20, 33-53. 

  27. Schmitt, N. (2000). Vocabulary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Shaw, J. (2002). Linguistically responsive science teaching. Electronic Magazine of Multicultural Education, 4(1), 24. 

  29. Shin, J. C., & Ock, C. Y. (2012). A stage transition model for Korean part-of-speech and homograph tagging. Software and Application, 39(11), 889-901. 

  30. Shin, W., Kim, I., & Kim, H. (2010). A study of spatial nouns and network analysis based on corpus. Text Linguistics, 29, 221-250. 

  31. Shintani, N. (2011).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input-based and production-based instruction on vocabulary acquisition by young EFL learners. Language Teaching Research, 15, 137-158. 

  32. Stubbs, M. (1995). Collocations and semantic profiles. Functions of Language 2, 1. 

  33.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MA: MIT Press. 

  34. Waring, R. (1997). A study of receptive and productive learning from word cards. Studies in Foreign Languages and Literature, 21(1), 94-114. 

  35.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Wittgenstein, L. (1958). The blue and brown books. Oxford: Blackwell. 

  37. Yager, R. (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577-588. 

  38. Yun, E. & Park, Y. (2016). Comparison of the usage of the science terminology 'force' in science and everyday languages. New Physics: Sae Mulli, 66(4), 460-467. 

  39. Yun, E. & Park, Y. (2018). Extraction of scientific semantic networks from science textbooks and comparison with science teachers' spoken language by text network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7), 2118-2136. 

  40. Yun, E., Kwon, S. G., & Park, Y. (2015).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center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3), 404-417. 

  41. Zhou, S. (2010). Comparing receptive and productive academic vocabulary knowledge of Chinese EFL learners. Asian Social Science, 6(10), 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