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4, 2020년, pp.429 - 436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15 to 2018 whe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 average scores by gender and region and also analyzed th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2015∼ 2018년까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결과를 점검할 수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 시기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기 2015∼2018년까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인 학생들의 성취도 점수 및 성취수준 비율에 대한 4년간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뿐만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서의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학생 설문 중에서 교과태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으며 교과태도에 대한 각 변인에 따른 성취 특성과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처럼 4년간(2015∼2018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대해 학업성취 특성 및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교육과정 개정 준비, 교수⋅학습 방안 개선, 교육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산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와 관련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실태 점검하기 위해 학생 성취도 점수 및 성취수준 비율에 대한 4년간의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도구와 더불어 다양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 맥락 변인을 측정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교과별 학업성취에 대한 교육 맥락 변인의 효과와 추이를 덧붙여 살펴보고자 한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문 내용은 영역 일반적인 내용과 교과 내용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맥락에 초점을 두어 교과태도에 대한 각 변인에 따른 성취 특성과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와 관련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실태 점검하기 위해 학생 성취도 점수 및 성취수준 비율에 대한 4년간의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도구와 더불어 다양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 맥락 변인을 측정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교과별 학업성취에 대한 교육 맥락 변인의 효과와 추이를 덧붙여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도구와 더불어 다양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 맥락 변인을 측정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교과별 학업성취에 대한 교육 맥락 변인의 효과와 추이를 덧붙여 살펴보고자 한다. 학업성취도 평가의 설문 내용은 영역 일반적인 내용과 교과 내용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맥락에 초점을 두어 교과태도에 대한 각 변인에 따른 성취 특성과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 과목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학업성취도 평가는 1998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립한 기본 계획을 바탕으로 2000년에 사회, 수학을 시작으로, 2001년부터는 국어, 과학, 영어로 확대하여 현재까지 대체로 5개 교과 영역에 대해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환경 및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표집의 규모, 평가의 시기, 평가 대상, 평가 방법 등이 다소 변화하여 왔다(Ku et al.
과학과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 2019). 과학과의 경우, 초등학교는 2008년까지 표집평가로 시행되었고, 2009년과 2010년에는 전수평가로, 2011년과 2012년에는 표집평가로 시행되었으며, 2013년 이후로 평가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중학교는 계속해서 표집평가로 진행되어 오다가 2009∼ 2012년에 전수평가로 시행되었으며, 2013년 이후로 표집평가로 시행되고 있다. 고등학교는 2009년까지만 시행되었다.
학업성취도 평가란?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교육이 학교 교육을 통해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학생의 학업성취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는 매년 전국적인 규모에서 체계적인 표집을 통해 시행되는 국가 단위의 평가 시험으로, 학생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정 및 학습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교과별, 학년(군)별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는 학력의 질 관리와 교육과정의 적절성 확보 및 개선에 활용’ 한다고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MOE,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W. (2013a).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cused on chemistry.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1). 127-137. 

  2. Choi, W. (2013b).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n in the chemistry item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186-1201. 

  3. Cumming, G., & Finch, S. (2005). Inference by eye: confidence intervals and how to read pictures of data. American Psychologist, 60(2), 170-180. 

  4. Cumming, G., Fidler, F., & Vaux, D. L. (2007). Error bars in experimental biology.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77(1), 7-11. 

  5. Jung, H., Kim, M., Kim, H., Seo, M., Park, M., & Lim, H. (2018). A study 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ith sample dat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RRE 2018-9. 

  6. Kim, H., Lee, I., Lee, B., Lee, K., & Sim, J. (201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through the use of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21-130. 

  7. Kim, H., & Jeong J. (2018). A study on the standard setting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vised science curriculum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5), 305-330. 

  8. Kim, S., Kim, W., Park, I., Seo, M., Han, J., Kim, M., Min, S., Lee, B., & Son, J. (2016).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5.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ORM 2016-32-1. 

  9. Ku, J., Kim, K. J., Kim, J-S., Park, S. B., Park, J., Sung, K., Lee, K. S., Lee, S., Lee, J., Jang, E-S., Kang, J., Choi., W., Shim, K-C., & Shin, M-K. (2019).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RRE 2019-7. 

  10. Lee, B., & Lee, I. (2015).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65-475. 

  11. Lee, I., Dong, H., Kwon, G., Choi, W., Lee, G., & Park, H. (2016).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5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ORM 2016-31-4. 

  12. Lee, J. (2019),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vision concepts by achievement level. New Physics: Sae Mulli, 69(7), 727-736. 

  13. Lee, J., Choi., W., Kim, Y., Lee, K., Dong, H., & Park, H. (2017).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6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ORM 2017-95-4. 

  14. Lee, J., Ku, J., Choi., W., Kim, Y., Lee, K., Dong, H., & Park, H. (2018).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7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Research report ORM 2018-81-4. 

  15. Lee, J., Ku, J. Choi., W., Shim, K-C., Shin, M-K., & Park, H (2019).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est result in 2018 sci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ORM 2019-45-4. 

  16. Lee, K., Dong, H., Choi, W., Kwon, K., Lee, I., & Kim. Y. (2017).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eight core concepts of middle school science using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3), 382-404. 

  17.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18. Seo, M., Kang, M., Kim, G., Kim, M., Kim, S., Kim, S., Kim, H., Dong, H., Park, S., Sung, K., Yang, S., Lee, J., Jang, E., Jung, H., & Seo, E., (2018). Developing items for affective domain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verifying their qualit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Research Report ORM 2018-3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