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화 지역의 인삼 재배 역사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Ganghwa area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2, 2020년, pp.9 - 16  

이성동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한방 의서 중 인삼의 첫 기록은 고려 시대 임시 수도인 강화 도읍기 때 강화도에서 출간된 향약구급방에 나타나 있다. 강화지역에서 인삼재배의 시작은 1100년경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격적인 인삼재배 시작은 1920년경 개성인삼조합의 특별구역으로 지정되면서부터였고, 1950년 한국전쟁 시작 때까지 계속되었다. 1953년 휴전 이후부터 강화지역에서 인삼재배가 다시 시작되었다. 1967년에 강화삼업조합이 창립되었으며, 이때 재배 면적이 약 200ha(60만평)이었고, 1974년에 약 900ha(270만평)으로 증가 되었다. 따라서 강화는 1970년대 중반기에 우리나라 전국 시, 군 가운데 인삼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였다. 강화지역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주로 6년근이고, 홍삼원료로 사용되어 국내 인삼생산지로 더욱 유명하게 되었고, 그 명성이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g was first addressed ever in the medical record in HyangYakGooGupBang (鄕藥救急方), the oldest Korean medical book published in Kingdom of Goryeo (918-1392) when Ganghwa was the provisional capital city at the time. It is believed that ginsengs in Ganghwa were planted and cultivated from 1100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대장경과 향약구급방이 간행되었던 이 대장도감의 정확한 위치에 대하여, 저자도 이 지역 출신으로 깊은 관심사이지만 아직 미궁(迷宮) 상태이다.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조선시대 1417(태종 17)년에 최자하(崔自河)가 경상도 의흥현(義興 縣)에서 편사한 중간본(重刊本)이다. <방중향약목초(方中鄕藥目草)> 6장을 본문으로 하고, 부록으로 <방중향약 목초부(方中鄕藥目草部)>에 향약 170여 종에 대한 설명이 있어, 고려 중기의 본초학 및 약용식물 등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화도의 지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강화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인구는 2017년도 현재 69, 500여 명)에 속하는 큰 섬으로, 경기만의 한강 하구에 위치하며 넓이 411.446km2 , 남북이 28km, 동서가 16km, 해안선의 총연장 길이 247km로 우리나라 제5위의 섬이다. 7)강화도는 본래 김포반도와 연결된 육지였으나 오랜 침식 작용으로 평탄화된 뒤 침강작용으로 육지에서 구릉성 도서로 격리되었고, 주로 결정편암과 화강편마암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지형은 그림 1과 같다.
향약구급방은 무엇인가?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은 고려 고종 때 몽고의 침입 으로 강화도로 임시 천도한 후 대장경 판각을 감당하던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간행된 현존하는 한국의 의학서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저자 미상의 책이다. 대장경과 향약구급방이 간행되었던 이 대장도감의 정확한 위치에 대하여, 저자도 이 지역 출신으로 깊은 관심사이지만 아직 미궁(迷宮) 상태이다.
인삼채취량의 부족 현상으로 인한 부작용의 예는 무엇인가? 고려 초부터 차츰 인삼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중앙 또는 지방의 관서에서 인삼채취가 강조 되었으나 인삼채취량의 부족 현상으로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실례가 1277년 25대 충렬왕 3년 4월, 장군인 장순용을 원나라 세조에게 파견하여 원나라에서 사람을 보내와 이에게 인삼 채굴하는 일을 면해 달라고 청하였다. 동년 7월에도 세조에게 글로써 공삼(貢蔘)을 면하게 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또 1299년 동왕 25년, 11월 원나라 성종에게 인삼을 보내 수교하였는데 이때 원나라 왕족이던 충렬왕비가 개인 영리로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인삼을 무역해서 민간의 원성이 높았다고 한다.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화군, 2017 군정백서, (강화군, 2018), pp.30, 40, 50. 

  2. 강화군, 강화나들길 지도, (강화군 문화관광과, 2018), pp.1. 

  3. 강화군 군사편찬위원회, 신편 강화사 상, (경희정보인쇄(주), 2003), pp. 40, 47, 55. 

  4. 강화문화원, 강도의 맥, (진원출판인쇄, 2004), pp.166, 184. 

  5. 남도영, 국사정설, ((주)동아출판사, 1964), pp.219. 

  6. 유진국, 만취회고록, (서광문화사, 1988), pp.186. 

  7. 윤명철, 강화지역의 해양방어체제연구-관미성 위치와 관련하여, (사학연구 제58, 제59호, 1999), pp.251-277. 

  8. 이성우,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1998).pp.455, 456-457, 596-597. 

  9. 이학원 인삼 재배지형의 형성과 전파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제15권 2호, 1980), pp.87-101. 

  10.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동일문화사, 2002), pp.452-454. 

  11.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상권, (한국인삼경작조합연합회, 1980), pp.1068. 

  12.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shopping/product/ginseng.jsp (검색일: 2019년 10월 20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