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걷기 어플리케이션 효과성 검증: 무선통제연구
Effects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 Physical Activity in College Stud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21 - 31  

김유진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경미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반으로 상용화된 걷기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효과성을 무선통제연구방법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상용화된 앱(금전적 보상 앱, 목표설정과 피드백 앱, 게임형 앱)을 선정하고, 자기관찰집단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총 66명의 대학생 참가자가 4개 집단에 무선할당되었고, 실험참가를 완료한 45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종속변인은 기저선 및 8주 차에 수집된 걸음수, 실험 전후에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한 학업빈도, 계획 완수 빈도, 걷기 활동량 점수, 앱 사용 첫째 주와 마지막 주(8주차)에 자기보고를 통해 수집된 앱 사용량 및 앱 만족도 점수였다. 반복측정변량분석 결과, 걸음수 및 계획 완수 빈도, 걷기 활동량 점수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였고, 앱 사용량 점수에서는 주효과만 유의하였다. 목표설정-피드백 앱 집단과 게임형 앱 집단은 걸음 수와 계획 완수 빈도에서 일관된 증진을 보였다. 본 연구는 상용화된 걷기 앱에 대한 첫 효과성 검증연구로서, 행동주의이론이 모바일 헬스(mHealth) 영역에 체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commercialized smartphone apps in improving walking activities among college students. 66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into each of four groups that was used different behavior change strategies: monetary rewards app, goal setting and feedback app, gaming app,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걷기행동의 효과가 다른 생활 영역에 일반화되는 정도, 그리고 앱 사용 만족도 등을 추가하여 앱 사용의 실용적 측면에 대한 검증을 확장하였다. 끝으로, 실험조건을 다양화하고 무선 통제연구라는 엄격한 연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걷기증진 앱에 활용되는 다양한 행동변화전략과 걷기 효과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첫째, 상용화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사용이 대학생 집단에서 걸음 수를 증진시키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걸음 수 증진이 관찰된다면, 이러한 앱 사용의 효과가 대학생의 다른 생활 영역에도 일반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앱에 대한 주관적 평가(예: 사용량, 만족도)와 걸음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앱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반면에, 만성질환을 가진 중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했을 때[26] 모니터링을 사용한 통제집단은 6개월 사전-사후 비교에서 걸음 수가 증진되었으나, 모니터링 기능과 텍스트 메시지 전략을 함께 사용한 실험집단은 오히려 걸음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 적절한 mHealth 앱 구성 전략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며, 이에 기초한 젊은 성인용 앱 개발은 예방적 차원에서 공중 보건 향상에 의미 있는 진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앱 활용에 가장 적극적인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이미 상용화된 다양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효과성을 무선통제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본 연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둘째, 걸음 수 증진이 관찰된다면, 이러한 앱 사용의 효과가 대학생의 다른 생활 영역에도 일반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앱에 대한 주관적 평가(예: 사용량, 만족도)와 걸음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앱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용화된 걷기 앱의 효과성을 가장 엄격한 실험 방법인 무선통제연구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검증한 첫 연구이다. 연구 결과, 대학생 집단에서 가장 효과적인 행동개입전략은 목표설정 및 피드백이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사용이 걸음 수 증진에 차별적인 효과성을 갖는지를 검증하고, 앱 사용 효과의 일반화 정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상용화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사용이 대학생 집단에서 걸음 수를 증진시키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사용이 걸음 수 증진에 차별적인 효과성을 갖는지를 검증하고, 앱 사용 효과의 일반화 정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상용화된 스마트폰 기반 걷기증진 앱의 사용이 대학생 집단에서 걸음 수를 증진시키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걸음 수 증진이 관찰된다면, 이러한 앱 사용의 효과가 대학생의 다른 생활 영역에도 일반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Health 앱 중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기 개발된 mHealth 앱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신체적 활동 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다[4]. 심혈관 질환, 비만, 암과 같은 20개 이상의 만성질환과 관련된 질환이 신체활동 부족(physical inactivity)과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면서, 신체활동증진은 공중보건영 역의 핵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5].
걷기란 무엇인가? 걷기는 신체적 활동을 증진시키는 가장 단순한 개입법인 동시에 좌식생활군(sedentary groups)에서 가장 선호 되는 신체적 활동이다[10]. 걷기를 목표로 하는 mHealth 프로그램, 특히 앱은 자기관찰(self- monitoring)과 목표 설정과 같은 행동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행동변화기술(bct, behavior change technology)을 행동변화 전략으로 구현한 경우가 많고, 게임 요소를 활용하는 게임화 전략, 실시간 피드백과 같은 설득적 커뮤니케이션 기법 등과 접목되고 있다[2,3,11].
걷기증진앱 중에서 캐시워크를 선정한 기준은 무엇인가? 연구에 포함된 3가지 앱의 선정 기준은 1) 구글 플레이 기준으로 누적 다운로드 횟수 10,000회 이상이며, 2) 행동주의 이론에서 가장 잘 확립된 행동변화기제이며 게이미피케이션의 대표적 요소인 보상을 사용하며, 3) 보상을 결정하는 전략이 상이한 앱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선정 기준 결정은 행동주의 이론과 선행연구에 기초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HO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 (2011). mHealth: new horizons for health through mobile technologies: second global survey on e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44607 

  2. J. B. Lee & H. Woo. (2019). Quality evalu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6(4), 67-76. DOI : 10.14367/kjhep.2019.36.4.67 

  3. J. H. Cho, M. Choi, M. Lee & H. Lee. (2017). A Review of Researches on Mobile application Contents to Promote Walking Promotion.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19(4), 27-40. DOI : 10.21797/ksme.2017.19.4.003 

  4. A. C. King, E. B. Hekler, L. A. Grieco, S. J. Winter, J. L. Sheats, M. P. Buman, B. Banerjee, T. N. Robinson & J. Cirimele. (2016). Effects of three motivationally targeted mobile device applications on initial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change in midlife and older adults: a randomized trial. PloS one, 11(6), e0156370. DOI : 10.1371/journal.pone.0156370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6).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eongju :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6. WHO. (2010).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Geneva : WHO. 

  7. Statistics Korea. (2018). 2018 adolescents statistics. Seoul: Statistics Korea. 

  8. S. T. Park. (2019). Differences between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tress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4), 381-392. DOI : 10.14333/KJTE.2019.35.4.381 

  9. T. Miller, L. Chandler & M. Mouttapa. (2015). A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46(4), 207-215. DOI : :10.1080/19325037.2015.1044138 

  10. J. C. Walsh, T. Corbett, M. Hogan, J. Duggan & A. McNamara. (2016). An mHealth Intervention Using a Smartphone App to Increase Walking Behavior in Young Adults: A Pilot Study. JMIR mHealth and uHealth, 4(3), e109. DOI : 10.2196/mhealth.5227 

  11. A. Middelweerd, D. M. van der Laan, M. M. van Stralen, J. S. Mollee, M. Stuij, S. J. te Velde & J. Brug. (2015). What features do Dutch university students prefer in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 qualitative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2(31). DOI : 10.1186/s12966-015-0189-1 

  12. J. Bort-Roig, N. D. Gilson, A. Puig-Ribera, R. S. Contreras & S. G. Trost. (2014). Measuring and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with Smartphone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 44(5), 671-686. DOI : 10.1007/s40279-014-0142-5 

  13. A. Romeo, S. Edney, R. Plotnikoff, R. Curtis, J. Ryan, I. Sanders, C. Crozier & C. Maher. (2019). Can Smartphone Apps Increase Physical Activ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3). DOI : 10.2196/12053 

  14. J. Choi, J. H. Lee, E. Vittinghoff, & Y. Fukuoka. (2016). mHealth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a randomized pilot study in physically inactive pregnant women.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5). DOI : 10.1007/s10995-015-1895-7 

  15. M. Lee & J. Yoon. (2018). Effects of Smartphon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Comparing Meta Analysis and Network-Meta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20(4), 129-146. DOI : 10.21797/ksme.2018.20.4.010 

  16. T. Deliens, B. Deforche, I. De Bourdeaudhuij & P. Clarys. (2015).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ur in university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discussions. BMC Public Health, 15(1), 201. DOI : 10.1186/s12889-015-1553-4 

  17. M.]Gowin, M. Cheney, S. Gwin & T. F. Wann. (2015). Health and Fitness App Use in College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46(4), 223-230. DOI : 10.1080/19325037.2015.1044140 

  18. R. Kampmeijer, M. Pavlova, M. Tambor, S. Golinowska & W. Groot. (2016). The use of e-health and m-health tools in health promotion and primary prevention among older adul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6(S5), 290. DOI : 10.1186/s12913-016-1522-3 

  19. A. F. Yan, P. Stevens, Y. Wang, L. Weinhardt, C. L. Holt, C. O'Connor, T. Feller, H. Xie & S. Luelloff. (2015). mHealth text messaging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college students: a formative participatory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9(3), 395-408. DOI : 10.5993/ajhb.39.3.12 

  20. J. Y. Park, N. H. Kim & S. M. Kwon. (2013). Analysis of Studies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Adults and Elderly in Korea.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1(11), 651-659. DOI : 10.14400/jdpm.2013.11.11.651 

  21. H. K. Kim, & Y. S. Kim. (2012). The Effects of Smartphone Applica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5), 457-466. 

  22. J. Poirier, W. L. Bennett, G. J. Jerome, N. G. Shah, M. Lazo, H.-C., Yeh, J. M. Clark & N. K. Cobb. (2016). Effectiveness of an Activity Tracker- and Internet-Based Adaptive Walking Program fo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8(2), e34. DOI : 10.2196/jmir.5295 

  23. J. Seo & K. M. Chung. (2014). Improving Health-related Behaviors and General Self-control Behaviors through a College-level Self-management Cours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4), 929-955. DOI : 10.17315/kjhp.2014.19.4.004 

  24. IPAQ Research Committee. (2005).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short and long forms. http://www.ipaq.ki.se/scoring.pdf 

  25. J. Cameron, K. M. Banko & W. D. Pierce. (2001). Pervasive negative effects of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The myth continues. The Behavior Analyst, 24(1), 1-44. DOI : 10.1007/bf03392017 

  26. H. Nguyen. (2009). Pilot study of a cell phone-based exercise persistence intervention post-rehabilitation for COPD.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4, 301. DOI : 10.2147/copd.s6643 

  27. T. Harries, P. Eslambolchilar, R. Rettie, C. Stride, S. Walton & H. C. van Woerden. (2016) Effectiveness of a smartphone app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mongst male adul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16(1), 925. DOI : 10.1186/s12889-016-3593-9 

  28. P. A. Arean, K. A. Hallgren, J. T. Jordan, A. Gazzaley, D. C. Atkins, P. J. Heagerty & J. A. Anguera. (2016)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Mobile Apps for Depression: Results From a Fully Remote Clinical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8(12), e330. DOI : 10.2196/jmir.6482 

  29. A. Baumel, F. Muench, S. Edan & J. M. Kane. (2019). Objective User Engagement With Mental Health Apps: Systematic Search and Panel-Based Usage Analysi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9), e14567. DOI : 10.2196/preprints.14567 

  30. J. J. McDowell. (1982). The importance of Herrnstein's mathematical statement of the law of effect for behavior 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37(7), 771-779. DOI : 10.1037//0003-066x.37.7.771 

  31. S. I. Lee. (2019). Seo-IEffectiveness of Reinforcement Schedule Intervention to Promote Walk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Ratio Reinforcement Schedule and Escalating Reinforcement Schedule. Yonsei University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