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89 - 95
김혜림 (인코스 주식회사) , 이은지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제약공학부)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 from Aronia melanocarpa berry, leaf, stem and twig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a bio-functional material. The polyphenol content of leaf and twig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berry and stem ext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아로니아는 무엇인가? |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다년생 식물로 전국적으로 재배 중인 장미과 작물로서 아로니아는 영하의 추위에서도 잘 자라며, 가을에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1]. 아로니아는 레드 초크베리, 블랙 초크베리, 퍼플 초크베리로 구분된다[2]. | |
아로니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다년생 식물로 전국적으로 재배 중인 장미과 작물로서 아로니아는 영하의 추위에서도 잘 자라며, 가을에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1]. 아로니아는 레드 초크베리, 블랙 초크베리, 퍼플 초크베리로 구분된다[2]. 아로니아 열매는 수분 이외에 탄수화물이 주성분이고, 소량의 조단백, 조지방, 회분을 함유하고 있으며[3],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등의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 |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를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잎, 송이가지, 가지)를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잎과 가지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와 송이가지 추출물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아로니아의 부위별 항산화능(DPPH 래디컬과 ABTS 래디컬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두 경우에서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열수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두 경우에서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 가지와 잎은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화장품 등의 바이오 헬스케어 제품의 기능성 바이오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 K. Lee. (2015). A Literature Review on the Biological Functionality of Aronia.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Korea.
T. Tsuneo & T. Akira. (2001). Chemic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black chokeberry.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8(8), 606-610. DOI : 10.3136/nskkk.48.606
L. Jakobek, M. Drenjancevic, V. Jukic & M. Seruga. (2012).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entia Horticulturae, 147, 56-63. DOI : 10.1016/j.scienta.2012.09.006
J. Niedworok, B. Jankowska, E. Kowalczyk, K. Chary & Z. Kubat. (1997). Antiulcer activity of anthocyanin from Aronia melanocarpa Elliot. Herba Polonica, 43(3), 222-227.
J. M. Lee & M. J. Ryu. (2018). Efficacy of Cosmetic Materials Using Aronia melanocarpa Leaf Extrac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2), 179-190. DOI : 10.20402/ajbc.2017.0166
M. J. Park. (201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Black chokeberry).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X. Wu et al. (2006).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s in common foods in the united states and estimation of normal consumptio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4(11), 4069-4075. DOI : 10.1021/jf0603001
J. Oszmianski & A. Wojdylo.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cidant activity.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21(6), 809-813. DOI : 10.1007/s00217-005-0002-5
A. W. Strigl, E. Leitner & W. Pfannhauser. (1995). Die schwarze apfelbeers (Aronia melanocarps) alsnatuerliche Farbstoffe. Deutscha Lebensmittel Fundschau, 91, 177-180.
Y. H. Cho. (2008). Inhibitory effect of Enteromorpha linza on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9(3), 174-178.
J. C. Heo et al.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3(1), 83-87.
H. J. Jang. (2006).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K. B. Kim, K. H. Yoo, H. Y. Park & J. M. Jeong.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y, 49(4), 328-333.
D. J. Stuehr, H. J. Cho, N. S. Kwon, M. F. Weise & C. F. Nathan. (199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okin-induced macrophage nitiric oxide synthase: and FAD and FMN containing flavopote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88(17), 7773-7777. DOI : 10.1073/pnas.88.17.777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