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 적용이 폐 기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The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2, 2020년, pp.176 - 183  

임규리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고현정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강지현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오다운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신준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즉각적으로 알아보고자 함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복부압박벨트 착용 전에 폐기능, 압력중심, 버그균형검사, 일어서서 걷기 검사, 10m 보행, 기능적 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한 직후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노력성 폐활량과 1초간 노력성 날숨 유량을 제외한 모든 결과값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가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균형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폐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압박 수준과 자세 변경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bdominal pressure belt has an immediate effec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for stroke patients. Twenty subjects measured pulmonary function and the COP, BBS, TUG, 10m walk test, and FGA prior to belt wearing. Immediately all sub...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복부압박벨트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을 측정하여 복부압박벨트가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강점은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 압박 벨트를 적용한 후 폐 기능과 균형 및 보행능력을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라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치료효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 트를 적용한 후 폐 기능, 균형 및 보행능력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뇌졸중 환자 호흡재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심 안정화 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인가? 뇌졸중 환자가 겪는 복부근육 약화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중심 안정화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7]. 코어 근육은 선행적 자세조절에 있어서 복부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주는 근육으로 배 안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있다.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로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기능상실이 나타나 신경학적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신경학적 장애는 움직임 저하로 이어지고 이차적 합병증으로 호흡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코어 근육은 어떻게 부드러운 움직임에 기여하는가? 위쪽은 가로막, 아래쪽은 골반바닥근, 원주상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배가로근, 배속빗근 등이 포함된 코 어근육[8]은 몸통의 가장 큰 부위이며, 신체 부위의 안 정성과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몸통은 자세를 유지하고 중력에 반대되는 다리 또는 팔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몸이 새로운 자세로 쉽게 바뀔 수 있도록 중앙에서 부드러운 움직임에 기여한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 J. Lee, G. W. Lee, C. H. Yi & H. S. Cynn. (2011).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Nonparetic and Paretic Side During Quiet Breath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18(3), 8-15. 

  2. S. R. Jandt, R. M. da Sil Caballero, L. A. F. Junior & A. S. Dias. (2011). Correlation between trunk control,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spirometry in patients with stroke: an observational study.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16(4), 218-224. 

  3. J. H. Yun, T. S. Kim & B. K. Lee. (2013). The effects of combined complex exercise with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expiratory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and forced pulmonary function for post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8(4), 513-523. 

  4. J. M. Song & S. M. Kim. (2010). The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5(3). 413-420. 

  5. P. J. Cordo & L. M. Nashner. (1982). Properties of postural adjustments associated with rapid arm movements. Journal of Neurophysiology, 47(2), 287-302. 

  6. M. Zattara & S. Bouisset. (1988). Posturo-kinetic organisation during the early phase of voluntary upper limb movement. 1. Normal subject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51(7), 956-965. 

  7. S. H. Yu & S. D. Park. (2013).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strength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trunk impair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9(3), 362-367. 

  8. V. Akuthota, A. Ferreiro, T. Moore & M. Fredericson. (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7(1), 39-44. 

  9. J. W. Baek. (2015). The effects of core exercises combined with abdominal breathing on lung capacity in stroke patient.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0. K. S. Kim, H. D. Seo, B. H. Lee, S. Y. Kim & J. S. Lee. (2010). The effect of core program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the patient with post-stroke hemiplegia.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2), 79-87. 

  11. J. M. Goldman, L. S. Rose, S. J. Williams, J. R. Silver & D. M. Denison. (1986). Effect of abdominal binders on breathing in tetraplegic patients. Thorax, 41(12), 940-5. 

  12. J. H. Lee, C. I. Park & J. S. Chon. (1997). A study on the effect of time lapse after position change and abdominal band on pulmonary function in the cervical cord injuries. Physical Therapy Korea, 4(3), 17-33. 

  13. A. R. Fugl-Meyer, H. Linderholm & A. F. Wilson. (1983). Restrictive ventilatory dysfunction in stroke: its relation to locomotor function.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9, 118-124. 

  14. K. K. Kim. (2016). The effect of abdominal pressure belt during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Daejeo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5.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2015).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2nd ed. Seoul.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Suppl:26-29. 

  16. M. Pau, B. Leban, G. Collu & G. M. Migliaccio. (2014). Effect of light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on balance and gait of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9(3), 568-573. 

  17. K. Berg, S. Wood-Dauphinee & J. I. Williams. (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7(1), 27-36. 

  18. S. S. Ng & C. W. Hui-Chan. (2005).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641-7. 

  19. J. Green, A. Forster & J. Young. (2002). Reliability of gait speed measured by a timed walking test in patients one year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6(3), 306-314. 

  20. H. Thieme, C. Ritschel & C. Zange.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german vers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9), 1565-70. 

  21. S. J. Park, J. H. Lee & K. O. Min. (2017).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ore stabilization and chest mobilization exercises on lung function and chest wall expan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9(7), 1144-7. 

  22. P. Quanjer, M. D. Lebowitz, I. Gregg, M. R. Miller & O. F. Pedersen. (1997). Peak expiratory flow: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a working party of the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0(24), 2s-8s. 

  23. E. J. Chung, J. H. Kim & B. H. Lee. (2013). The effects of core stabilization exercise on dynamic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7), 803-806. 

  24. Y. H. Cho. (2019). Effects of only trunk stability exercise and trunk stability exercise with elastic taping on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