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들의 의복구매행동 -성별과 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비교-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Active Senior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Shopping Orientation Type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1, 2020년, pp.25 - 37  

채진미 (한성대학교 글로벌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active seniors in their 50s and 60s. Differences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gender and the group classified by shopping ori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9, 2019 using a profess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50~60대 남녀를 액티브 시니어로 보고 이들의 의복구매 현황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성별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남성복과 여성복 시장에서의 포지셔닝 전략수립에 정보를 제공하고, 둘째,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쇼핑성향 차원을 재구성 하여 액티브 시니어 집단을 유형화한 후 집단에 따른 소비자 특성과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소비계층인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시장세분화 전략수립에 유용한 근거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와 같이 성별에 따른 소비자행동에 대한 차이는 보고되어 왔으며, Burt and Gabbott(1995)는 성별은 소비자들의 쇼핑횟수, 특히 구매선택과 구매동기를 결정하는데 있어 연령보다도 더 영향을 주는 변수라고 하였고, Dholakia(1999)는 연령, 교육 수준, 직업의 영향 외에도 쇼핑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응답자들의 성별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시니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 시니어들의 구매현황과 구매행동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50~60대 남녀를 액티브 시니어로 보고 이들의 의복구매 현황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성별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남성복과 여성복 시장에서의 포지셔닝 전략수립에 정보를 제공하고, 둘째,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쇼핑성향 차원을 재구성 하여 액티브 시니어 집단을 유형화한 후 집단에 따른 소비자 특성과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소비계층인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시장세분화 전략수립에 유용한 근거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50~60대 소비자를 액티브 시니어로 보고 액티브 시니어들의 의복구매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의복구매행동으로는 의복을 구매하는 횟수와 월평균 의복비, 최근 1년 이내에 구입했던 의복품목과 구매가격, 구매채널, 그리고 탐색했던 정보원을 분석하였다.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의복시장의 세분화를 위해 성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와 의복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 연구문제 1: 액티브 시니어들의 성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밝힌다.
  • 연구문제 2: 액티브 시니어들의 의복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밝힌다.
  • 이와 같이 시니어 소비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방식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특히 앞으로도 적극적인 구매성향을 나타낼 것이라 예측되는 50~60대를 액티브 시니어로 보고 현재 의복을 구매할 때 보이는 구매현황과 구매행동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시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므로, 액티브 시니어들이 의복을 구매할 때 이용하는 오프라인을 포함한 온라인 채널 이용행동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 (2012), Sung and Sung(2016)의 연구를 참고로 오프라인 점포와 온라인 점포 유형을 모두 포함하여 백화점, 대형할인점, 아울렛/상설할인점, 쇼핑몰/전문점/가두점, 시장, 인터넷쇼핑(PC), TV홈쇼핑(전화주문), TV홈쇼핑(모바일 앱주문), 모바일 쇼핑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특히 TV홈쇼핑에 대한 구매가 증가하고 홈쇼핑업체에서는 기존의 전화연결 주문 외에 모바일 앱을 통한 주문을 유도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전화주문과 앱을 통한 주문의 현황을 분류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탐색한 정보원의 이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ee and Rha(2012)의 연구를 참고로 10 종류의 정보원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 이와 같이 시니어 소비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방식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특히 앞으로도 적극적인 구매성향을 나타낼 것이라 예측되는 50~60대를 액티브 시니어로 보고 현재 의복을 구매할 때 보이는 구매현황과 구매행동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시니어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므로, 액티브 시니어들이 의복을 구매할 때 이용하는 오프라인을 포함한 온라인 채널 이용행동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우리나라 고령인구 비율은 어떠한가? 의학의 발달과 인간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전 세계의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우라나라도 예외는 아니며 통계청(Statistics Korea, 2019) 자료를 살펴보면, 고령인구 비율(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이 2000년 7.03%에서 2010년 10.90%, 2018년 14.
액티브 시니어의 주축은 ? 이와 같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액티브 시니어들이 주목받고 있다. 50~60대가 주축인 액티브 시니어들은 실제 나이보다 스스로 자신을 더 젊게 생각하며 경제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즐기고, 사회참여나 봉사활동, 여가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한다. 은퇴 후에도 지속적인 사회활동으로 인해 자신의 품위를 유지하고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의복을 구매하고 사회 트렌드에 민감하며 새로운 제품과 유행에 관심이 많으므로(Yoon, 2014), 실버산업의 블루슈머(Bluesumer)이며(Kwon & Choi, 2018), 의류시장에서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lreck, P., & Settle, R. B. (2002). Gender effects on internet, catalogue and store shopping. Journal of Database Marketing & Customer Strategy Management, 9(2), 150-162. doi:10.1057/palgrave.jdm. 3240071 

  2. Basic Senior Pensions Act. (2011). Section 3. Retrieved November 7, 2019, from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ebsite: http://www.law.go.kr/법령/기초노령연금법/(20110714,10854,20110714)/제3조 

  3. Bernhardt, K. L., & Kinnear, T. C. (1976). Profiling the senior citizen marke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 449-452. 

  4. Burt, S., & Gabbott, M. (1995). The elderly consumer and non-food purchase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9(2), 43-57. doi:10.1108/03090569510080941 

  5. Chae, J. M. (1997). The various types of life style of women in their 50's and 60'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oi, J. Y. (2008). Shopper typologies by using latent class segmentation analysis: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1(2), 127-147. doi:10.17053/jcc.2008.11.2. 007 

  7. Chung, I. H. (2014). Multi-channel behavior for fashion product purchases and the difference of perceived risk by channel type: The case of college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2), 277-292. doi:10.5850/JKSCT.2014. 38.2.277 

  8. Dholakia, R. R. (1999). Going shopping: Key determinants of shopping behaviors and moti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7(4), 154-165. doi:10.1108/ 09590559910268499 

  9. Grewal, D., Baker, J., Levy, M., & Voss, G. B. (2003). The effects of wait expectations and store atmosphere evaluations on patronage intentions in service-intensive retail stores. Journal of Retailing, 79(4), 259-268. doi:10.1016/j.jretai.2003.09. 006 

  10. Hawkins, D. I., Best, R. J., & Coney, K. A. (2001). Consumer behavior: Building marketing strategy (8th ed.). Boston, Mass.: Irwin/ McGraw Hill. 

  11. Hong, K. H. (2008). Clothing shopping behaviors according to lifestyle types and perceived age of female elderly consumers: Focus on females in their 60's and 70's living in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2. Hong, K. H., & Lee, Y. J. (2009). The importance of salesper-son's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for clothing store evaluation in terms of elderly female consumer lifestyles: Focus on females in their 60's and 70's living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781-1793. doi:10.5850/JKSCT.2009.33.11.1781 

  13. Jung, C. J., & Park, J. O. (1996). Apparel shopping orientations and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related to cognitive age of the elderly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 28-42. 

  14. Jung, H. K., & Lee, J. R. (2016). The development of bicycle wear for new senior wome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4), 498-508. doi:10.5805/SFTI.2016.18.4.498 

  15. Kang, E. A. (2018). A study on purchase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new senior lifestyle and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6. Kang, J. J. (2010). A research on online shopping and shopping behaviors of a new silver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Kang, S. O. (2000). A study on buying behavior of the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8. Kim, G. B. (2012a). A study on the elderly women'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9. Kim, H. S. (2012b). A research on emotional design for mobile phone in next generation: Focused on smart phones for active sen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1), 103-116. 

  20. Kim, J. E., & Kim, E. K. (2017). A study on purchase and wearing condition of outdoor wear among active senior ma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9(6), 736-748. doi:10.5805/SFTI.2017. 19.6.736 

  21. Kim, J. S., & Lee, S. J. (2008).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related to the cognitive age and the types of lifestyle of the female consumers in the elderly generation (Part 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26-1738. doi:10.5850/ JKSCT.2008.32.11.1726 

  22. Kim, K. H.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Ba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0 to 2014.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9(1), 95-106. doi:10.16885/jktc.2016.02.19.1.95 

  23. Kim, S. E., & Kim, G. B. (2011). A study on lifestyle and store choice factors for elderly women consumer: Focus on clothing product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9(1), 15-31. 

  24. Kim, S. H., & Choi, H. J. (1997). A study on the elderly's attitudes toward the describing of the elderly in advertising. Advertising Research, 37, 9-31. 

  25. Kim, S. H., & Rhee, E. Y. (2004). A documentary study to determine the concept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72-482. 

  26. Kim, S. K. (2005).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self- perception and leisure behaviors of new elderly generation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Kim, Y. H., & Hwang, J. S. (2017).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imag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new senior men.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13(2), 569-585. doi:10.16980/jitc.13.2.201704.569 

  28. Ko, M. K., Choi, K. A., Chung, S. J., & Jeon, Y. J. (2007). A study on shopping orientation and preferred store characteristics of female shoppers aged between 45-6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02-1210. doi:10.5850/ JKSCT.2007. 31.8.1202 

  2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June 10). 고령 친화산업 시장 동향 [Aging-friendly industry market trends]. Retrieved November 07, 2019, from https://www.khidi.or.kr/ board/view?linkId153191&menuIdMENU00319 

  30. Kwon, J. Y., & Choi, K. K. (2018). An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e senior choice attributes for outdoor sports wear using IPA method.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7(2), 571-583. 

  31. Laroche, M., Saad, G., Cleveland, M., & Browne, E. (2000). Gender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arch strategies for a Christmas gif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6), 500-522. doi:10.1108/ 07363760010349920 

  32. Lee, H. M. (2006). How th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lifestyle affects the repurchase intention of silver customer: Silver clothes marke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33. Lee, J. M., & Rha, J. Y. (2012). Consumers' channel choice and channel positioning in multichannel environment.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1, 143-169. doi:10.15723/jcps.41.201204.143 

  34. Lee, J. S., Jung, S. H., & Shin, M. K. (2012). A study on multichannel consumer's choice of the information search and shopping channel.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5(3), 21-45. doi:10.17053/jcc. 2012.15.3.002 

  35. Lee, W. S., & Kim, S. A. (2016). Research trends on silver generation published in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of clothing area.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5(3), 53-62. doi:10.21195/ jidr.2016.15.3.005 

  36. Mathur, A., & Moschis, G. P. (2005). Antecedents of cognitive ag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Psychology & Marketing, 22(12), 969- 994. doi:10.1002/mar.20094 

  37.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9).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8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Retrieved October 22, 2019, from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website: https://www.kisa.or.kr/jsp/common/ libraryDown.jsp?folder0011998 

  38. Moschis, G. P. (1992). Marketing to older consumers: A handbook of information for strategy development. Westport, Conn.: Quorum Books. 

  39. National Pension Act. (2019). Article 2 Section 61. Retrieved November 7, 2019, from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ebsite: http://www.law.go.kr/법령/국민연금법/(2019 0716,16240, 20190115)/제61조 

  40. Neugarten, B. L. (1996). The meanings of age: Selected papers of Bernice L. Neugart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Park, E. J., & Kang, E. M. (2006).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the elderly by clothing buying motiv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2), 61-69. 

  42. Statistics Korea. (2019, November 4).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 [Population in old ages]. Retrieved November 5, 2019, from http:/ /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conn_pathI2 

  43. Sung, H. W., & Sung, J. H. (2016). An analysis of market maven's shopping behavior and multi-channel usage in the fashion retailing mark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2), 134-148. doi:10.12940/ jfb.2016.20.2.134 

  44. Yoon, S. Y. (2014). A study color emotion of active senior online websi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