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연안 평균 해수면 자료의 공간 상관관계 분석
Spatial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ean Sea Level Data Sets in the Coastal Seas, Kore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2 no.1, 2020년, pp.85 - 93  

조홍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빅데이터센터)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이욱재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모든 조위관측소의 평균 해수면 자료의 기본 정보를 검토하고, 지점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역적인 기후변화 영향으로 예상되는 평균 해수면 변화는 모든 지점 사이에서 지점간 거리와 무관하게 0.75 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어떤 특정 지점간의 자료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 및 0.25 이하의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이는 자료의 개수 및 이상자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선형 증가 및 선형 관계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가정에서 벗어나는 변동 추세를 가진 자료의 경우 추정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모든 조위관측소 MSL 자료의 변동 양상 및 추세를 분석한 결과, 상당한 자료에서 선형 가정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sic information of mean sea level data of all tidal monitoring stations in Korea was reviewed,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tations were analyzed. Mean sea level changes expected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effects were found to show a high correlation of more than 0.75 reg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관분석에 사용한 두 지점의 공동 기간 자료개수를 12개로 선정하여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소 자료의 개수를 12개로 제한한 이유는 추정 상관계수의 신뢰구간(오차범위)을 적절한 범위로 제한하고, 작은 표본(small sample)의 자료 개수 추천기준을 반영한 것이다. 신뢰구간 또는 오차구간은 이론적으로 자료의 표준편차가 일정한 경우, 추정에 사용되는 자료의 개수(n)가 증가하면 \(1\sqrt{n} \) 비율로 감소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SL 변화의 특성은? (2011)은 우리나라 조위자료의 결측 양상을 정리-분석하여 제시한 바 있다. MSL 변화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는 국지적인(local) 변화가 아니라 광역적인(global) 변화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의 MSL 자료를 이용한 변화 양상 분석이 필요하며, 광역 적인 변화양상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가정에 대한 통계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평균해수면 자료는 무엇이며, 어떤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균해수면 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공개되는 자료로, 누구나 접근하여 받을 수 있는 공용자료로 분석 결과의 상호검정을 위한 공유 자료로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평균해수면 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www.khoa.go.kr) -> 해양정보포털(실시간해양관측시스템, http://www.khoa.go.kr/ koofs/kor/tide/tide.do -> 조석예보 및 성과 -> 조석성과 -> 평균해면 성과표 자료이며, 이 자료는 월평균 해수면 자료와 연평균 해수면 자료, 조위관측소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2018년에 진행된 우리나라의 평균해수면 분석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했는가? (2016)은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 변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Heo et al.(2018)은 IPCC AR5 에서 사용된 CMIP5 모델 자료를 사용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6개 구역으로 분리하여 해수면 상승의 특징을 분석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H. Y., Ko, D. H. and Jeong, S. T. (2011). Missing pattern of the tidal elevation data in Korean coa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6), 496-501 (in Korean). 

  2. Heo, T. K., Kim, Y., Boo, K. O., Byun, Y. H. and Cho, C. (2018). Future Sea level projections over the Seas Around Korea from CMIP5 simulations. Atmosphere, 28(1), 25-35 (in Korean). 

  3. Hwang, D. H., Yoon, H. J. and Seo, W. C. (2016). Study on Sea level changes in Korean peninsula by using satellite altimetry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11(3), 325-330 (in Korean). 

  4. Harker, A., Green, J. A., Schindelegger, M. and Wilmes, S. B. (2019). The impact of sea-level rise on tidal characteristics around Australia. Ocean Science, 15(1), 147-159. 

  5. Jung, T. S. and Jeong, J. K. (2013).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M 2 tide and M 4 tid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4), 255-265 (in Korean). 

  6. Jung, T. S. (2014).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3), 120-130 (in Korean). 

  7. Kim, Y. T., Uranchimeg, S., Kwon, H. H. and Hwang, K. N. (2016).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ase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for extreme Sea lev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8(1), 34-43 (in Korean). 

  8. Lim, C. W., Park, S. H., Kim, D. Y., Woo, S. B. and Kim, S. E. (2017). Analysis on the long-term MSL increasing trend estimation methods using tidal elevation data, of the Korean coastal waters, Proc. of the Autumn Meeting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81-484 (in Korean). 

  9. Wahl, T., Jensen, J. and Frank, T. (2010). On analysing sea level rise in the German Bight since 1844.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 10(2), 171-179. 

  10. Yoon, J. J. and Kim, S. I.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3), 299-30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