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er-to-home Compatibility on the Satisfaction of a Spous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ssistan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128 - 138  

박길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10차년도(2017년)까지 표본이 유지된 취업모 7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빈도분석과 정규성 검증을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ß=.164, t=4.078, p<.01). 둘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ß=-.134, t=-3.438, p<.05). 셋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와 사회적 지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l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working mother compatibility on spouse satisfaction. To that end, 727 employed workers who were kept samples until the 10th year (2017) were analyzed out of the data from the Korea Children's P...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취업모를 연구한 [9,23,33] 등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으로 구분하여 취업모에 있어 배우자만족도를 높이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더불어 취업 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이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원이 높을수록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 2008년도 1차조사에서 2,150명의 신생아가구를 표본 추출하여 2017년 10차년도까지 표본이 유지된 취업모 727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 위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자료수집은 한국아동패널연구의 2008년도 1차 조사에서 2,150명의 신생아가구를 표본 추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층화다단계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차별성은 선행연구에서 배우자만족도에 대해 특정 지역, 포괄적인 대상에 치중한 것에서 벗어나고자 대표성을 지닌 아동패널조사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하위 요인인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현재까지 배우자만족도에 중요하게 여긴 다양한 특성의 영향력에서 대표성 있는 조사자료에서 검증하였다.
  • 사회적 지원을 매개변수로 활용한 것은 독립변수의 요인들이 긍정적, 부정적으로 작용할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의 관계에 따른 배우자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일・가정 양립과 사회적 지원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 둘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우자만족도란? 취업모의 배우자만족도는 결혼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배우자에 대한 주관적 감정・태도를 의미한다[10]. 즉 결혼생활에 대해 배우자로서의 상대방에 대해 만족 하는 정도를 말한다[9].
2018년 기준 기혼여성 취업자의 수는? 9%에 이르고 있다[1]. 특히 2018년 기준 기혼여성 취업자는 554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경력단절을 경험한 취업모는 208만 명으로 기혼여성 취업자의 절반에 가까운 실정이다[2]. 기혼여 성의 취업자는 대부분 자녀의 출산과 양육 과정에서 일을 그만둔 경험이 있으며, 이는 경력단절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3].
현대사회의 다양성으로 인한 일 가정 양립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이와 같이 현대사회의 다양성에 의해 취업모는 증가하고, 그 중에서 일・가정 양립의 어려운 문제는 개인의 문제와 함께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취업모가 일・가정 양립을 병행할 수 있도록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지원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5]. 또한 정부와 기업은 취업모에 대한 일・가정 양립을 위해 임신출산, 돌봄, 유연근로, 일하는 문화, 기타 평등기회에 있어서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2]. 이렇듯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2019). 2018 Social Population Survey. 

  2. Statistics Korea. (2018). 2018 Work-Family Balance Indicator. 

  3. S. N. Yang & C. S. Shin. (2011).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Reconciliation, Challenges of Working Moth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3), 70-103. 

  4. J. H. Keum & D. S. Kim. (2014). Original Article :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2(2), 15-34. 

  5. Statistics Korea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2018 The Life of a Woman by Statistics. 

  6. M. J. Jung & S. H. Lim. (2016). A Study on Female Work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about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y. Industry promotion research, 1(2), 41-47. 

  7. Y. J. Han, & J. A. Park & N. H. Sohn. (2013).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and Enhancement Among Korean Working Moth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4(2), 1443-1468. 

  8. H. N. Lee & J. W. Han. (2018).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Gain and Strai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erceived by Dual-income Parents on Parent's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7), 231-238. 

  9. S. Y. Im. (2016). The Effects of Married Working Women'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Women's Research Institute, 19, 35-64. 

  10. J. F. Longress. (1990).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Itasca, IL.: F. E. Peacock Publishers, Inc. 

  11. H. M. Kim & J. Y. Park. (2013). Study of Variable Factors Affecting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Related Variable of Myself and Partn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125-140. 

  12. S. J. Kim, & Y. S. Chong. (2014). Relationships among Care for Spouse, Marit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married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27-49. 

  13. E. K. Kim. (2001).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ole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Dual-Career Commuting Coup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3), 1-15. 

  14. R. Norton. (1983). Measuring marital quality. A critical look at the dependent variab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1), 141-151. 

  15. A. J. Roach., L. P. Frazier & S. R. Bowden.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3), 359-367. 

  16. Y. H. Kim & S. Y. Jeong. (2007). Marital Conflict and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lict-Coping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5), 65-82. 

  17. H. K. Kim. (2013). Factors related to the Spousal Relationship i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 Focusing on marital status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7, 63-83. 

  18. S. Y. Lee. (2013).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Sexual Intimacy of middle and old-aged people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5(1), 181-205. 

  19. E. J. Ki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Leisure Experi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 Aged Couples,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 C. A. Jun & S. Y. Park. (1996). Research :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115-128. 

  21. E. H. Rhee & G. S. Yoo. (1999). Social networks,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school children.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3, 95-107. 

  22. M. R. Kim. (2011).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and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by Employment. The Women's Studies, 82(2), 69-101. 

  23. Y. J. Son & M. S. You. (2008). The Related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Working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2(2), 143-154. 

  24. M. S. Shin & K. H. Ok. (2014). The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Regarding Their Employment Statu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pouse's Household Labor and Shared Coupl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1), 5-25. 

  25. E. Galinsky. (1999). Ask the children: What America's children really think about working parents. New York: William morrow & Co. 

  26. L. W. Hoffman. (1989).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in the two-parent family. American Psychologist, 44, 283-292. 

  27. H. J. Moon. (2009). Variables Affecting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Focus on Maternal Employment Statu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2), 57-69. 

  28. J. Williams. (2000).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S. R. Kim.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Husband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Baekseok University. 

  30. M. L. Marshall & R. C. Barnett. (1993). Work-family strains and gains among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1(1), 64-78. 

  31. H. Chung.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32. H. S. Lee. (2000).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 involved in the interaction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3. N. J. Kim. & T. H. Kwon. (2009).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Women. The Women's Studies, 76, 43-70. 

  34. S. C. Kim.(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Im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s who Married to Korean Men.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