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건조방법을 달리한 땅콩호박의 영양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by Drying Methods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hromaticity of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powders were evaluated,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thanolic 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hromaticity of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powders were evaluated,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thanolic extracts were analyzed by DPPH, ABTS, FRAP, reducing power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a result, Cucurbita moschata was revealed to have high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hil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s were relatively low.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had lower L, a, and b values than the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s,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Also,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was revealed to have a higher polyphenol content, but slightly lower flavonoid content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Based on the data from this study, further experiments on Cucurbita moschata material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butternut squash (Cucurbita moschat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hromaticity of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powders were evaluated,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se ethanolic extracts were analyzed by DPPH, ABTS, FRAP, reducing power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As a result, Cucurbita moschata was revealed to have high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hil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s were relatively low.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had lower L, a, and b values than the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Additio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s,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Also, hot air-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was revealed to have a higher polyphenol content, but slightly lower flavonoid content than freeze-dried Cucurbita moschata ethanolic extract. Based on the data from this study, further experiments on Cucurbita moschata material are necessa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땅콩호박을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의 방법으로 건조한 뒤 건조방법에 따른 영양성분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건조 조건 별 땅콩호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을 달리한 땅콩호박의 영양성분및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 호박의 일반성분 함량 및 색도를 분석하고, 땅콩호박 주정추 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건조별 땅콩호박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 땅콩호박은 탄수화물 및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조회분 및 조지방 함량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안 방법
땅콩호박의 지용성 화합물과 수용성 화합물을 함께 추출 하기 위해 80% ethanol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조된 땅콩호박 40 g을 15배의 80% ethanol 용매에 잠기도록 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7 mM ABTS 용액과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암소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켜 ABTS 양이온이 형성되도록 유도시킨후, 734 nm의 흡광도 값이 0.07±0.02가 되도록 무수에탄올을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땅콩호박의 지용성 화합물과 수용성 화합물을 함께 추출 하기 위해 80% ethanol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조된 땅콩호박 40 g을 15배의 80% ethanol 용매에 잠기도록 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 용액은 여과지(Whatman, No. 3, Maidstone, 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 후, 회전 감압 농축기(Rotavapor R-200, Buchi, Flawil, Switzerland)를 통해 농축한 뒤, 동결건조(Ilshinbiobase Co., Ltd, Gyeonggi, Korea)를통해 파우더 형태의 땅콩호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들은 추출용매인 80% ethanol에 용해하고, 농도별 희석하여 항산화 실험에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Kim 등(2009)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땅콩호박 추출물 0.2 mL를 0.4 mM DPPH 용액 0.8 mL에 첨가하여 혼합한 뒤 암소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통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산출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Jang 등(2017)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7 mM ABTS 용액과 2.
제조한 ABTS 용액 1 mL에 땅콩호박 추출물 10 μL를 첨가하여 6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통해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산출하였다.
FRAP activity 측정은 Lee 등(2014)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300 mM sodium acetate buffer(pH 3.
Reducing power activity 측정은 Yin 등(2019)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땅콩호박 추출물 0.
땅콩호박 추출물 1 mL에 1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 mL, 2% Na2CO3 1 mL를 순서대로 첨가한 후 암소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한 표준 검량 곡선(y=17.158x-0.0357, R2=0.998)으로부터 땅콩호박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Park 등(2010)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땅콩호박 추출물 0.
8 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Quercetin 을 표준물질로 사용한 표준 검량 곡선 (y=4.5026x-0.0286, R 2 =0.9983)으로부터 땅콩호박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동결 및 열풍건조에 따른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activity 및 reducing power activity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Fig. 1에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분석방법으로, 항산화 물질의 수소 공여를 통한 DPPH 및 ABTS의 hydroxyl radical group 이 소거되어 화합물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Jung 등 2012).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땅콩호박(Cucurbita moschata)은 해품고야 농장 (Dangjin, Chungnam, Korea)으로부터 구매하였으며, 땅콩호박 의 과육을 분리하여 열풍건조(70℃, 3시간) 및 동결건조한 뒤 이들을 조분쇄 후, 체(Chunggye Industrial MFG Co, Gyeonggi, Korea)를 이용하여 40 mesh 사이즈로 제조된 균일한 땅콩호 박 분말을 영양성분 분석에 사용하였다. 2,2-diphenyl 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ABTS), ferric chloride, potassium persulfate, potassium ferricyanide, trichloroacetic acid, iron chloride, aluminum nitrate, potassium acetate,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sodium carbonate, gallic acid, quercetin 등은 Sigma-Aldrich Co.
데이터처리
One-way ANOVA 검정으로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Duncan의 다중범위 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으로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실험결과는 3 반복 측정을 통해 mean ± standard deviation으로 제시하였고, SAS 9.4 version(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
Bars with different letter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이론/모형
건조된 땅콩호박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법에 따라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각각 105℃ 상압건조법, 550℃ 직접회화법, Soxhlet 추출법 및 Kjeldahl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탄수화물은 100%에서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함량을 제외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성능/효과
Dari & Yaro(2016)가 연구한 가나 유래 땅콩호박 재배종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건물 중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조단백질 함량은 약 4.81%, 조지방 함량은 약 0.72%, 조회분 함량은 55.46%로 측정되었고, JacoboValenzuela 등(2011)이 연구한 멕시코 유래 땅콩호박 재배종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조회분 함량은 약 10.54%, 조단백질 함량은 약 16.69%로 측정되어, 본 연구의 일반성분 함량값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식품의 무기물 함량 값인 조회분 수치는 각각 13.11±0.13%, 13.45±0.27%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동결건조물에서 각각 3.81±0.25%, 19.61±0.15%로열풍건조물(0.60±0.13%, 19.09±0.0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호박에서 가장 많은 일반 성분은 탄수화물이며, 각각 51.50±0.12%, 53.32±0.35%를 차지하였고, 열풍건조물에서 더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땅콩호박 주정추출물 1.25, 2.5 및 5 mg/mL 농도에서 각각 25.37±0.74~70.05±0.32%, 15.69± 0.19~63.01±0.88%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Fig 1A, Fig 1B).
88%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Fig 1A, Fig 1B).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우수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FRAP 활성 측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 공여능으로 인하여 Fe 3+ -TPTZ 화합물이 Fe 2+ -TPTZ 화합 물로 전환되어지는 환원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yellow 계열의 색에서 blue 계열의 색으로 탈색되고, 이를 흡광도 값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방법이다(Nilsson 등 2005).
00으로 측정되었다(Fig 1C, Fig 1D).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FRAP 및 reducing power activity는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우수한 FRAP 및 reducing power activity를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에서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농도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FRAP 및 reducing power activity는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우수한 FRAP 및 reducing power activity를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에서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농도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Kim 등(2009) 의 연구에 따르면, 식품은 열풍건조 시 동결건조 과정에 비해 비교적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갈변이 촉진 된다고 여겨진다.
갈변은 polyphenol oxidase, tyrosinase 등에 의한 효소적 갈변과 Maillard reaction, caramelization 등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으로 구분되며, 이때 생성되는 갈변물질은 식품의 색을 브라우닝할 뿐 아니라, 항산화 등의 기능적인 역할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Chung 등 1996). 따라서, 땅콩호박 건조물의 색도 측정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땅콩호박을 열풍건조 시 생성된 갈변물질들로 인해 동결건조물보다 상대적으로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을 달리한 땅콩호박의 영양성분및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결 및 열풍건조된 땅콩 호박의 일반성분 함량 및 색도를 분석하고, 땅콩호박 주정추 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건조별 땅콩호박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 땅콩호박은 탄수화물 및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조회분 및 조지방 함량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결 및 열풍건조에 따른 땅콩호박의 일반성분 함량의 차이는 다소 미비하였다.
또한 동결 및 열풍건조에 따른 땅콩호박의 일반성분 함량의 차이는 다소 미비하였다. 건조별 땅콩호박의 색도 측정 결과, 땅콩호박 열풍건조물은 동결건조물에 비해 색도를 구성하는 L값(명도), a값(적색도), b값(황색도) 모두 감소된 수치를 나타내어 갈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땅콩 호박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 내었다.
건조별 땅콩호박의 색도 측정 결과, 땅콩호박 열풍건조물은 동결건조물에 비해 색도를 구성하는 L값(명도), a값(적색도), b값(황색도) 모두 감소된 수치를 나타내어 갈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땅콩 호박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 내었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열풍 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 출물보다 폴리페놀(gallic acid equivalents) 함량은 높지만, 플라 보노이드(quercetin equivalents) 함량은 다소 낮은 것을 보아, 여러 가지 표준물질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 별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동결건조물과 열풍건조물에서 각각 3.84±0.18 mg GAE/g, 5.23±0.05 mg GAE/g 으로 열풍건조물에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물과 열풍건조물에서 각각 2.84± 0.07 mg QE/g, 1.98±0.04 mg QE/g으로 동결건조물에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Fig 1E, Fig 1F).
후속연구
땅콩 호박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열풍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 내었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열풍 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 출물보다 폴리페놀(gallic acid equivalents) 함량은 높지만, 플라 보노이드(quercetin equivalents) 함량은 다소 낮은 것을 보아, 여러 가지 표준물질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땅콩호박을 고부가가치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지표물질 성분분석 및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열풍 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출물이 동결건조된 땅콩호박 주정추 출물보다 폴리페놀(gallic acid equivalents) 함량은 높지만, 플라 보노이드(quercetin equivalents) 함량은 다소 낮은 것을 보아, 여러 가지 표준물질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땅콩호박을 고부가가치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기분석을 통한 지표물질 성분분석 및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박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호박(Cucurbita spp.)은 일년생 초본 박과채소로, 크게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폐포계 호박(Cucurbita pepo)으로 나누어지며(Azevedo-Meleiro & Rodriguez-Amaya 2007),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애호박, 늙은 호박 등의 동양계 호박의 재배량이 많으며 널리 알려져 있다 (Rhee 등 2015). 그러나 애호박, 늙은 호박의 영양성분,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Cho GS 1997; Jang 등 2001; Kim 등 2005)에 비해 건조된 땅콩호박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미비한 실정이다.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 건조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건조는 물체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와 수분을 분리해 제거하는 과정으로, 건조에 의해 감소된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등 2017). 건조방법으로는 동결건조, 열풍건조, 원적외선, 진공건조, 마이크로파 등의 방법이 있고, 그 중 동결 건조법과 열풍건조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동결건조는 건조시간이 느리고 높은 비용의 단점이 있지만, 식품의 조직감 및 성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풍 건조는 건조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식품의 풍미와 성분이 변화할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건조 시간이 빠르고 비교적 간편하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등 2018). 동결 및 열풍건조된 건조식품의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비교연구는 다양한 식품군에서 폭넓게 연구되어져 있으며(Sun 등 2015; Kamiloglu 등 2016; Lee 등 2016), 이처럼 상이한 건조법에 따른 식품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비교연구는 기초연구 및 산업화 적용 등에 고려사항이 되어, 이는 매우 중요한 연구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종류의 호박이 재배량이 많으며 잘 알려져있는가?
호박(Cucurbita spp.)은 일년생 초본 박과채소로, 크게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폐포계 호박(Cucurbita pepo)으로 나누어지며(Azevedo-Meleiro & Rodriguez-Amaya 2007),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애호박, 늙은 호박 등의 동양계 호박의 재배량이 많으며 널리 알려져 있다 (Rhee 등 2015). 그러나 애호박, 늙은 호박의 영양성분, 품질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Cho GS 1997; Jang 등 2001; Kim 등 2005)에 비해 건조된 땅콩호박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미비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32)
Azevedo-Meleiro CH, Rodriguez-Amaya DB. 2007.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in carotenoid composition among Cucurbita moschata, Cucurbita maxima, and Cucurbita pepo. J Agric Food Chem 55:4027-4033
Cho GS. 1997.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57-662
Chung SK, Chung YY, Jeong WS. 1996. Studies on the browning inhibition of yam (Dioscorea aimadoimo) during hot air dehydration. Agric Chem Biotechnol 39:384-388
Dari L, Yaro NS. 2016.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torage of butternut squash. Ghana J Hortic 12:25-31
Hwang IG, Kim HY, Lee J, Kim HR, Cho MC, Ko IB, Yoo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340-1346
Itle RA, Kabelka EA. 2009. Correlation between L*a*b* color space values and carotenoid content in pumpkins and squash (Cucurbita spp.). HortScience 44:633-637
Jacobo-Valenzuela N, Zazueta-Morales JJ, Gallegos-Infante JA, Aguilar-Gutierrez F, Camacho-Hernandez IL, Rocha-Guzman NE, Gonzalez-Laredo RF. 2011.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winter squash (Cucurbita moschata D.). Not Bot Horti Agrobot Cluj Napoca 39:34-40
Jang HL, Park SY, Nam JS. 2017.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entinula edodes GNA01 extract. Korean J Food Nutr 30:51-58
Jang SM, Park NY, Lee JB, Ahn H. 2001.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038-1040
Jung TD, Shin GH, Kim JM, Oh JW, Choi SI, Lee JH, Cho ML, Lee SJ, Heo IY, Park SJ, Kim SU, Jung CS, Lee OH. 2016. Changes in ligna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sesame (Sesame indicum L.) b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43-148
Jung YS, Park SJ, Park JH, Jhee KH, Lee IS, Yang SA. 2012.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Zingiber officinale Rosc.,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romatica Salisb. on acetylcholinester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GABA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395-1401
Jung YT, Lee IS, Whang K, Yu MH. 2012.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J Life Sci 22:354-359
Kamiloglu S, Toydemir G, Boyacioglu D, Beekwilder J, Hall RD, Capanoglu E. 2016. A review on the effect of drying on antioxidant potential of fruits and vegetables. Crit Rev Food Sci Nutr 56:S110-S129
Kim AN, Lee KY, Ha MH, Heo HJ, Choi SG. 2018. Effect of freeze, hot-air, and vacuum drying 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namul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Korean J Food Preserv 25:811-818
Kim JY, Bae YM, Hyun JE, Kim EM, Kim JC, Lee SY. 2017. Microbiological quality of dried and powdered foods stored at various relative humiditi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7: 576-582
Kim MJ, Hong CO, Nam MH, Lee KW. 2011. Antioxidant effec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195-199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41-47
Kim SR, Ha TY, Song HN, Kim YS,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71-177
Kim Y, Lee S, Kim M, Kim G, Chung HS, Park HJ, Kim MO, Kwon JH. 2009.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sliced-dried persimmons as affect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64-68
Kim YH, Lee YJ, Park SO, Lee SJ, Lee OH. 2013.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rice and its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62-266
Lee J, Kim AR, Lee JJ. 2016. Ramie leaf extracts suppresses adipogenic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Asian-Australas J Anim Sci 29:1338-1344
Lee JW, Lee SK, Do JH, Shim KH. 1998.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of Korean red ginseng as affected by heating treatment. J Ginseng Res 22:193-199
Lee YJ, Kim JH, Oh JW, Shin GH, Lee JS, Cho JH, Park JJ, Lim JH, Lee OH. 2014.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531-537
Nilsson J, Pillai D, Onning G, Persson C, Nilsson A, Akesson B. 2005. Comparison of the 2,2'-azinobis-3-ethylbenzot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methods to asse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extracts of fruit and vegetables. Mol Nutr Food Res 49:239-246
Olson SM, Simonne EH, Stall WM, Robers PD, Webb SE, Taylor TG, Smith SA, Freeman JH. 2006. Cucurbit Production in Florida. pp.77-106. Vegetable Production Handbook for Florida
Paiva SAR, Russell RM. 1999. ${\beta}$ -Carotene and other carotenoids as antioxidants. J Am Coll Nutr 18:426-433
Park SJ, Park DS, Lee SB, He X, Ahn JH, Yoon WB,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898-1902
Rhee JH, Kim SG, Hur OS, Ro NY, Ko HC, Sung JS, Ryu KY, Kim JB, Chung JW, Baek HJ. 2015. Variation of carotenoid contents of Cucurbita Moschata germplasm by the origin of collection. J Korean Soc Int Agric 27:435-440
Slaska-Grzywna B, Blicharz-Kania A, Sagan A, Nadulski R, Hanusz Z, Andrejko D, Szmigielski M. 2016. Changes in the texture of butternut squash following thermal treatment. Ital J Food Sci 28:1-8
Sun Y, Shen Y, Liu D, Ye X. 2015.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ysiologically dropped un-matured citrus fruits. LWT-Food Sci Technol 60:1269-1275
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 Pharmacogn 40:1-5
Zaccari F, Galietta G. 2015. ${\alpha}$ -Carotene and ${\beta}$ -carotene content in raw and cooked pulp of three mature stage winter squash "type butternut". Foods 4:477-48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