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88올림픽공원 조각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의 해석
Development Process of the 88 Seoul Olympic Park as Sculpture Park and Its Discours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1, 2020년, pp.46 - 56  

신명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88올림픽공원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전환점인 88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는 공간으로서 체육공원, 사적공원, 조각공원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 도시 공원이다. 문화올림픽이라는 슬로건 아래 88서울올림픽은 국가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되었으며, 이와 같은 차원에서 1986년 기 준공되었던 공원은 1, 2차 세계야외조각 심포지엄 및 국제조각초대전을 거치며 190여 점의 작품이 설치되면서 조각공원으로 재조성되었다. 본 연구는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88올림픽공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조성 과정 및 그 전후, 88올림픽공원을 둘러싼 여러 담론이 나타났다. 먼저, 추상 양식 조각품의 비율이 높아 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데 역부족이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번졌다. 둘째, 조성 과정에서 몽촌토성 훼손 등 사적지 보존 문제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셋째, 공원의 정체성에 관한 공방이 있었다. 이에 더해 조각공원 프로그램의 후속 도입으로 인해 공간과 작품의 간극이 해소되지 못했기에 통합된 도시공원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은 세계화, 민족성, 공공성, 예술성 등에 대한 논의가 대형 공원 조성과 맞물려 공론화된 초창기 사례로, 추후 도시 경관의 문화·예술적 실천에 대한 탐구에 있어 유의미한 역사적 맥락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정치·문화·예술·조경을 아우르는 88올림픽공원의 조성 전후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1980년대 문화예술과 도시 공간에 대한 논의가 벌어진 지점을 포착하고 해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88 Olympic Park is a monumental urban park in Seoul, developed to commemorate South Korea's hosting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Initially conceived to emphasize the event slogan, 'Cultural Olympics,' which was driven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park, already designed and constructed by 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이 88올림픽공원에 담긴 정치적 의도 또는 조각 공원 조성 과정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진행된데 비해, 이 연구 는 1987년부터 1988년까지 조각 작품의 재설치를 통해 조각공원으로서 정체성을 획득한 88올림픽공원이 조경 사업을 통해 형성된 도시 공원이자 문화예술 경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비록 88올림픽공원의 본질적인 문제가 예술과 공간의 정치적 도구화로 인한 것이었지만, 실제 도시 공간에 구현된 대규모 문화․예술 조경 사업이었다는 점에서 정치적 이견이 조각공원과 사적지 등으로 번지며, 정치․역사․문화․예술․공공을 아우르는 다양한 의견이 나타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존하는 1980년대 조각공원 중 가장 큰 규모를 지닌 88올림픽공원의 조성 과정을 조경사적 차원에서 재구성하고, 조성 전후 공원에 대한 다양한 비판 및 의견을 종합하여 예술의 정치화, 문화재 보존, 도시 공원과 문화예술 등 세 가지 담론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나아가 그 담론의 이면을 해석함으로써 1980년대 대표적인 조경 공간이자 문화․예술 경관인 88올림픽공원을 둘러싼 정치․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고, 추후 도시 경관의 문화․예술적 연구를 위한 맥락을 제시할 것 이다.
  • 이 연구는 그간 주로 미술사학계 내에서 논의되었던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의 조성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88올림 픽공원의 조경사적 의미를 재고하고자 했다. 또한 조성 전후의 비판 및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1980년대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서 대형 도시 공원 조성을 계기로 세계화, 민족성, 도시와 공공성을 중심으로 나타난 담론을 정리하였다.
  • 결국 88올림픽공원에서 조경 공간과 역사․문화․예술 프로 그램의 관계는 공원의 공적 가치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 되었다. 조직위를 비롯한 제5공화국은 국제적 행사를 통해 정치적 문제가 점철되었던 한국의 내적 상황을 해외에 드러내는 것이 아닌, 반대로 해외의 문물을 한국에 전시하고 한국이 세 계적 수준의 공간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즉, 한국의 대외적 세계화를 중요한 가치로 보았다.
  • 먼저 조직 위원회는 조각공원에 있어 비교적 많은 경험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외국의 심사위원과 오랜 추상 조각 전통을 지닌 국가 출신의 작가를 초청함으로써 조각공원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국가적 위상의 제고가 가능하다고 보았다(Son, 2003). 즉,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수준의 미술 작품을 수용할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한국의 현대․세계화적 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 으로 해석된다. 반면, 대책위의 경우 조각공원이 한국 미술의 정체성을 수용하는 데 적합한지에 대한 고민을 했다는 점이 드 러나며, 나아가 지역성과 세계화의 스펙트럼 속에서 현대 한국 미술의 위치를 고찰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88올림픽공원을 둘러싼 여러 담론은 무엇인가? 조성 과정 및 그 전후, 88올림픽공원을 둘러싼 여러 담론이 나타났다. 먼저, 추상 양식 조각품의 비율이 높아 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데 역부족이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번졌다. 둘째, 조성 과정에서 몽촌토성 훼손 등 사적지 보존 문제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셋째, 공원의 정체성에 관한 공방이 있었다. 이에 더해 조각공원 프로그램의 후속 도입으로 인해 공간과 작품의 간극이 해소되지 못했기에 통합된 도시공원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은 세계화, 민족성, 공공성, 예술성 등에 대한 논의가 대형 공원 조성과 맞물려 공론화된 초창기 사례로, 추후 도시 경관의 문화·예술적 실천에 대한 탐구에 있어 유의미한 역사적 맥락을 제시한다.
88올림픽공원은 무엇인가? 88올림픽공원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전환점인 88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는 공간으로서 체육공원, 사적공원, 조각공원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 도시 공원이다. 문화올림픽이라는 슬로건 아래 88서울올림픽은 국가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되었으며, 이와 같은 차원에서 1986년 기 준공되었던 공원은 1, 2차 세계야외조각 심포지엄 및 국제조각초대전을 거치며 190여 점의 작품이 설치되면서 조각공원으로 재조성되었다.
88서울올림픽은 어떻게 활용 되었고, 재조성 되었나? 88올림픽공원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전환점인 88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는 공간으로서 체육공원, 사적공원, 조각공원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 도시 공원이다. 문화올림픽이라는 슬로건 아래 88서울올림픽은 국가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되었으며, 이와 같은 차원에서 1986년 기 준공되었던 공원은 1, 2차 세계야외조각 심포지엄 및 국제조각초대전을 거치며 190여 점의 작품이 설치되면서 조각공원으로 재조성되었다. 본 연구는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88올림픽공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S.(2018) Changes of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ization of installation art during the 1980s and 1990s.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36: 227-253. 

  2. Art Museum of National Sports Promotion Board in Commemoration of Seoul Olympics(1991) Olympic Sculpture Park Conservation Report. Seoul: Art Museum of National Sports Promotion Board in Commemoration of Seoul Olympics. 

  3. Cho, E.(2018) Olympic sculpture park: At the border of artwork park and a park.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36: 119-144. 

  4. Cho, S.(2007) A study on the public interest of the art museum under the changing cultural situations.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 22(1): 199-232. 

  5. Chung, H. D.(1990) Roles and functions of sculpture gardens.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36: 72-85. 

  6. Eyres, P. and F. Russel(2014) Sculpture and the Garden. London: Taylor & Francis Ltd. 

  7. Harper, G. and T. Moyer(2008) Landscapes for Art: Contemporary Sculpture Parks. Hamilton, NJ: ISC Press. 

  8. International Art Festival Management Group(1988) Report of the International Art Festival. Seoul: Seou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 

  9. Ju, M. O.(2015) A study on the future outlook of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from the perspective of chronological chang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1): 533-534. 

  10. Jung, Y.(1990) Establishing a typology of sculpture gardens and its special program.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36: 46-53. 

  11. Kim, J.(2012) A Cultural-sociological Study on the Seoul Olympic Sculpture Park. MA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Kim, N.(1988a) Cultural olympics and the national identity. Misulsegae 48: 27-29. 

  13. Kim, N.(1988b) Loss and gain in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s. Misulsegae 48: 60. 

  14. Kim, S.(1989a) Seoul OlympicWhite Papers -What remains? Seoul: Ulgul. 

  15. Kim, S.(1989b)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eoul Olympic Park.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27: 128-135. 

  16. Krauss, R.(1979) Sculpture in the Expanded Field. October 8: 30-44. 

  17. Lee, Y. W.(1991) Characteristics of the Olympic Sculpture Park. Olympic Sculpture Park Conservation Report. Seoul: Art Museum of National Sports Promotion Board in Commemoration of Seoul Olympics, 39-43. 

  18. Lehane, D.(2008) Art, Nature, People: The Sculpture Park Experience. Landscapes for Art: Contemporary Sculpture Parks. Seattle: isc Press. 8-13. 

  19. Misulsegae Editorial Dept.(1987) Art News: International Modern Art Festival 1st Sculpture Symposium. Misulsegae 46: 26-29. 

  20. Oh, Y.(1995) 50 Years of cultural administr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7: 29-74. 

  21. Park, Y. S.(1988) 88 olympics art festivals and the ethics of Korean modern art. Misulsegae 47: 22-28. 

  22. Seou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1988a) 10th World Toegye Study Conference Reception Plans. Seoul: Seou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 

  23. Seou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1988b) '88 Seoul Olympic International Outdoor Sculpture Park Construction Plan. Seoul: Seoul Olympics Organizing Committee. 

  24. Son, J. M.(2003) Seoul City Planning. Volume 5. Seoul: Han-Ul. 

  25. Song, S. T.(1990) Realities and ideals of sculpture garden.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36: 59-63. 

  26. Treib, M.(1988) Sculpture and garden, a historical overview. Design Quarterly 141: 43-58. 

  27. Visual Arts Institute(2014) 2014 Report of the Sculpture Park Revitalization Pla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Yang, E.(2007) Memory, desire, and spectacle: The mak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 22(1): 167-198. 

  29. Yang, E.(2008) Reading the olympic sculpture park in Seoul: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Journal of Contemporary Art Studies 12: 227-257. 

  30. Yoo, J. S.(1988) Chronic malady in the korean art scene, art exhibitions and scandals. Space 247: 28-33. 

  31. Yoon, C. H.(2002) Study about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Special Sculpture Museum and Open-air Sculpture Garden in Korea. MA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32. Dong-A Ilbo. 1987. 08. 09. 

  33. Hankyoreh. 1988. 08. 21: 1988. 10. 13. 

  34. Kyunghyang Shinmun. 1986. 05. 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