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267 - 277  

김옥주 (춘해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xpert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 on what is the primary core competency of the beginning childhood teachers to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52 of teachers in charge, assistant directors, and directors w...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산업 분야의 변화에 대응하고 적응하는데 요구되는 미래사회 대비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핵심 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16]에서 제시한 핵심역량을 기초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현장 전문가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 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 다른 방법은 학습자의 많은 교육요구 중에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Borich(1980)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방법[20]을 제안하였고, Mink, Shultz & Mink(1991)는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개발하여 교육요구의 최우선순위군을 시각화하는 방법[21]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으로서 초임 유아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들의 요구를 분석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encer & Spencer은 역량을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McClelland(1973)는 직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직원과 저조한 성과를 나타내는 직원들이 어떻게 성과를 거두고 그렇지 못한지에 대해 분석하여 개인이 수행한 직무가 성과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Spencer & Spencer(1993)는 역량을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뛰어난 수행과 인과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내적인 특성[23]”으로 정의하고 동기(motivation), 특성(traits), 자기개념 (self-concept), 지식(knowledge), 기술(skill)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정립을 위해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DeSeCo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지식과 기술만이 역량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기술과 태도 같은 심리ㆍ사회적인 자원을 이용하여 복잡한 요구에 대처하는 능력”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24].
핵심역량이란? 일반적으로 핵심역량은 개인이 성공적인 미래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하는 핵심적인 행동특성을 의미한다[25].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이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 성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McClelland이 정의한 역량이란? McClelland(1973)가 “개인성과를 예측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22]”으로 정의한 것으로 보고된다. McClelland(1973)는 직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직원과 저조한 성과를 나타내는 직원들이 어떻게 성과를 거두고 그렇지 못한지에 대해 분석하여 개인이 수행한 직무가 성과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 M. Kim. (2013). Exploring the 21st Century Key Competencies and Geography Curriculu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37(1), 139-164. 

  2. S. E. Lee & K. H. So. (2019). Analysis of Change Trends on OECD's Competencies Frameworks for Curriculum Redesign: Focused on "Education 203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1), 139-164. 

  3. Ministry of Education. (2019). A common curriculum for children ages 3 to 5, with young children centered around play. 

  4. J. S. Park & H. K. Ha. (2010).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s for Logistics specialists with Competency Model. Korea Logistics Review, 20(2), 44-77. 

  5. H. J. Kim & J. K. Kim. (2018).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Professional Character Educators. Personality education, 12(2), 5-24. 

  6. J. Y. Lee & H. M. Choi. (2009). A Study on the Modeling and Evaluating of Competence for Construction Engine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5(4), 193-200. 

  7. B. B. Kim & H. S. Park. (2017). Researching Competenci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7), 147-167. 

  8. E. S. Shin, E. H. Park, E. J. Jo, K. M. Lee, Y. Y. Yoo, J. H. Lee & B. H. Lee. (2010). The Development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 Core Competencies-An Explorative Study.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5(5), 203-226. 

  9. J. A. Kim, M. S. Ju, K. J. Kwon & S. N. Lee. (2017). Core Competencies for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40-53. 

  10. Y. S. Hyun, C. H. Pyun, S. J. Hur, S. Yi. Kim & S. J. Seo. (2008). Competency Modeling Applied CBC and the Case of C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cused on Sales and Service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1), 195-222. 

  11. Ministry of Science. (2017). Future Strategy Report 'Finding the Way of Future Jobs in Korea 10 Years Away'. ICT and Future Planning. 

  12. N. Koksal. (2013). Competencies in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ompetencies and their attitudes. Educational Research and Reviews, 8(6), 270-276. 

  13. D. H. Kil & J. M. Kim. (2009). Training needs assessment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in corporate.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1(2), 153-175. 

  14. J. H. Kim. (2001).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eoul: Hagjisa. 

  15. G. Borich. (1980). A need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16. J. G. Kwon et al. (2019). A study on deriva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nurturing professionals for future industry. Junior College NCS Node Center Management Council.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Core Job Competency Assessment Model. Pamphlet. 

  18. World Economic Forum. (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19.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 Korean Chamber of Commerce. (2018). Talent Awards for Top 100 Companies. 39-42. 

  21. O. G. Mink, J. Shultz & B. P. Mink.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22. D. C. McClelland.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3. L. M. Spencer & S. M. Spencer.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New York. 

  24.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France: OECD. 

  25. Y. S. Park & H. R. Lee. (2016).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ore competencies by grade level. Open preschool education kites, 21(1), 343-366. 

  26. J. H. Park, H. S. Cho & J. S. Yeom. (2014).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 on kindergarten teacher core competency Journal of Eeary Childhood Education, 34(5), 207-228. 

  27. National Child Care Information and Techical Assistance Center. (2009).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toolkit. 

  28. Training and development Agency. (2007).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ers. 

  29. Ministry of Social and Family Development. (2011). Achieving excellent through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30. H. S. Kim & H. Y, Young (2016).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ies through network analysis. Journal of Eeary Childhood Education, 36(5), 135-158. 

  31. S. E. Lee & H. Se. (2012).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regarding difficulties in the job performance q.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32(6), 441-466. 

  32. H. J. Cho. (2016).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Perception and Needs on Emotional Competenc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2), 231-255. 

  33. P. R. Burden. (1983). Implications of teacher career development: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rofessor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4(4), 21-25. 

  34. Y. J. Choi. (2017). Effects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Architectural converg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25-230. DOI : 10.15207/JKCS.2017.8.7.225 

  35. H. W. Kim & S. Y. Kang. (2018). Effect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based on Smart Learning for Enhancing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27-35. DOI : 10.14400/JDC.2018.16.3.027 

  36. G. E. Jo & S. I. Kim. (2019). A Study on Competencies of Designer in Fo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67-173. DOI : 10.15207/JKCS.2019.10.2.167 

  37. B. J. Kim & J. W. Kim. (2014). A Study on a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Life Competenc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173-180. DOI : 10.14400/JDC.2014.12.12.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