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를 중심으로
The Archival Method Study For Female Worker in the 1970s : Focused on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3, 2020년, pp.145 - 165  

이혜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박주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영국에서 활동한 메리 켈리와 케이 헌트, 마가렛 해리슨이 협업한 전시 는 197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1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전 세계는 정치적·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흐름과 같은 맥락으로, 기록학에서는 일반인이나 공동체, 소수계층을 대상으로 한 수집의 다양화를 강조했고, 예술계에서는 정치적 발언 혹은 노동자, 페미니즘 등 주제의 확대로 이어졌다. 이런 사회적 상황으로 세 명의 작가는 기록학과 예술계에서 주요 쟁점이 된 노동자와 여성의 삶에 주목하고, 이를 공론화하기 위한 전시 를 개최했다. 이 전시는 공장에서 일하는 이들의 노동 현실과 여성으로서 겪었던 차별, 가정 내에서의 가사 분담 등 당대의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작가들은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동자들과의 인터뷰, 사진과 영상 촬영, 관련 문서 수집 등의 방법을 사용해 객관적인 사실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는 세 명의 작가가 협업한 미술작품인 동시에 1970년대의 노동 현실, 그리고 지역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70년대 사회적 상황을 바탕으로 영국의 여성 노동자를 다룬 의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을 살펴본다. 나아가 기록물과 기록행위를 활용한 예술작품을 다양한 시선과 입장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 중 하나로 평가해 이를 기록의 사회적·정보적 가치의 범주로 고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 in collaboration with Mary Kelly, Kay Hunt and Margaret Harrison, tells the story of workers in the 1970s. Since the late 1960s, the world has undergone many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nd social movements have been active to protec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women, children and w...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작가들이 활용한 방법론은 기록학에서의 기록 생산 및 수집 과정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개인들이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여성들의 삶을 기록하였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기록학적 차원에서 그 의의를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대상인 [Women & Work]도 노동조합 및 차별 철폐 캠페인과의 연계를 모색(Julia Bryan-Wilson 2014,147)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1970년대 영국의 여성 노동자들이 받은 불평등한 대우를 비판할 뿐 아니라, 노동자들의 권위를 높이고 처우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 이런 역사적 상황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영국에서 활동한 메리 켈리(Mary Kelly)와 케이 헌트(Kay Hunt), 마가렛 해리슨(Margaret Harrison)이 여성들의 노동 현실과 노동 과정의 변화, 동일임금법(Equal Pay Act)1) 시행 등을 조사해 이를 기록화한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2)를 살펴보고자 한다.
  • 작가는 관련 기록을 소장했을 만한 아카이브를 찾아 관련 기업, 협력업체 간의 부동산 소유와 이동 관계를 추[Women & Work]적(김진아 2006, 56-57)해 소수가 지배하고 있는 뉴욕의 부동산 상황을 알려 비판하고자 했다.
  • 작가들은 여성의 노동문제를 사회적 메시지로 전달하기 위해 기록을 수집하고, 정보를 활용해 아카이빙했으며, 이를 단순히 자료로서 공개한 것을 넘어 전시라는 매체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작가들이 활용한 방법론은 기록학에서의 기록 생산 및 수집 과정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가설 설정

  • 먼저, 이 전시를 위해 협업한 작가들의 면면을 정리할 것이다. 메리 켈리는 1970년대 초 히스토리 그룹(History Group)이란 여성주의 단체에 가입했는데, 이 그룹에서 더 이론적인 의식의 발흥을 목적으로 마르크스, 프로이트, 알튀세의 저작을 읽으면서 이들의 텍스트가 ‘자신들의 개인 삶과 작업에 끼친 영향’을 검토(양효실 2016, 106-107)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대의 많은 예술가들은 작품을 어떤 매체로 활용하였는가? 하 워드 진은 “인류의 역사에서 사회적 변화를 위해서는 예술이 필요”하고, 예술은 “사회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그들이 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고, 그들을 하나로 단결시킨다”고 언급했다(하워드 진 2008, 111). 그의 말처럼 당대의 많은 예술가들이 작품에 언어적 장치나 노골적인 메시지를 개입시켜 부조리와 전쟁, 환경, 여성, 인권, 지역적 이슈 등 사회적 발언을 위한 매체로 활용했다.
저항미술이란 무엇인가? 예술계는 인간과 인간이 개입된 사건 사이의 실제적 관계를 드러내 보이면서 대중의 의식을 각성시킬 수 있는 증언, 고발, 비판의 미술, 이른바 저항미술이 설득력을 얻으며 활기를 띠었고, 70년대의 호황기를 거쳐 80년대에도 비주류로서 그 명맥을 유지했다(안영현·김지혜2005, 234). 예술계의 활동과 관련해 하워드 진의 2004년 인터뷰 내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성 예술가들은 어떤 작업에 착수했는가? 특히 여성 예술가들은 여성으로서 어디에서 전시할 것인가, 작업할 공간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라 는 단순한 쟁점에서부터 정치적·미학적 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를 제기했다. 여성들은 여성의 경험을 가치 있게 할 수 있는 예술 형태를 찾았 고, 1970년대 초에는 여성의 개인적인 경험을 미술실천에 의식적으로 끼워 넣는 작업에 착수(휘트니 채드윅 2006, 441)하기도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2. 구미영. 2008. 해외의 성별 임금격차 시정 사례연구. 여성연구. 99(4). 

  3. 김주현. 2013. 포스트예술 시대의 미학과 비평 -예술행동과 일상의 문화정치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24(2). 

  4. 김준기. 2018. 한국 사회예술 연구 : 공공미술 너머 행동주의예술과 공동체예술을 향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예술학전공 박사학위논문. 

  5. 박주희. 2014. 아키비스트의 시대적 요청 : 실천적 아키비스트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기록관리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6. 안영현.김지혜. 2005. 프랑스 68운동과 미술의 변화: 미술의 대중화와 저항미술의 부상. 프랑스문화예술연구. 13. 

  7. 양효실. 2016. 여성주의적 개입의 한 사례 - 메리 켈리의 /. 미학. 82(4). 

  8.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9. 이경래.이광석.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10.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11. 잉그리트 길혀홀타이. 2009. 68혁명, 세계를 뒤흔든 상상력 : 1968 시간여행. 창비. 

  12. 전형배. 2010. 동일가치노동의 평가 -영국의 선례와 시사점-. 법조협회. 59(5). 

  13. 전혜숙. 2008. 미술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1968년: 개념미술의 등장을 중심으로. 미국사연구. 28. 

  14. 하워드 진. 2009. 하워드 진, 역사의 힘. 위즈덤하우스. 

  15. 하워드 진. 2008, 하워드 진, 세상을 어떻게 통찰할 것인가. 랜덤하우스코리아. 

  16.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역사비평사. 

  17. 휘트니 채드윅. 2006. 여성, 미술, 사회 - 중세부터 현대까지 여성 미술의 역사. 시공사.시공아트. 

  18. Allan Spear. 1984. Politics and the Professions. The Midwestern Archivist. 9(2). 

  19. Danto Arthur C. After the End of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이성훈.김광우 역. 2004. 미술의 종말 이후. 미술문화.) 

  20. Elizabeth cowie. 2011. Recording reality, desiring the real.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 Hans Haacke. 2016. Working conditions : the writings of Hans Haacke. The MIT Press. 

  22. Jane G. Gonzales. 2013. ART AND THE ANTI-VIETNAM WAR MOVEMENT. The Degree Master of Arts in Sociology. San Diego State University. 

  23. John A. Walker. 2001. Left Shift : radical art in 170s Britain. I.B.Tauris Publishers. 

  24. Julia Bryan-Wilson. 2014. Miens of Production. Artforum International. 5. 

  25. Kay Hunt.Mary Kelly.Magaret Harrison. 1975.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 South London Art Gallery. 

  26. Lamm Kimberly. 2018. Addressing the other woma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7. Laura Mulvey. 1976. EXHIBITION reviews_POST PARTUM DOCUMENT. Spare Rib. 

  28. Ronald Fraser. 1988. 1968: A Student Generation in Revolt. Chatto & Windus (안효상 역. 2002. 1968년의 목소리 :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박종철출판사.) 

  29. Rosalind Delmar. 1975. Women & Work . Spare Rib. 40. 

  30. Rosalind Delmar. 1997.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 SOCIAL PROCESS/COLLABORATIVE ACTION : MARY KELLY 1970-1975. Charles H. Scott Gallery. 

  31. Ursula de la Mare. 2008. Necessity and Rage: The Factory Women's Strikes in Bermondsey, 1911. 66. 

  32. Artforum(https://www.artforum.com) 

  33. Margaret Harrison(http://margaret-harrison.com) 

  34. Mary Kelly(http://www.marykellyartist.com) 

  35. REcreativeUK (http://recreativeuk.com) 

  36. South London Gallery (https://www.southlondongallery.org) 

  37. Studio International(https://www.studiointernational.com) 

  38. Tate (https://www.tate.org.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