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습활동 지원 개선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데이터 큐레이션 연구
A Study on Data Cur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1, 2020년, pp.175 - 195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활동 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큐레이션이라는 개념에 대한 정리와 대학도서관, 교수학습 정보 데이터 큐레이션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정리하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전통적 연장선에서 대학도서관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활용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로 데이터 큐레이션은 데이터의 활용에 더욱 방점을 찍어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하고 대학도서관은 모기관인 대학의 교육서비스에 기여하는 가시적인 효과를 위해서도 교수학습활동 자료의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을 통한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를 위해 다섯 단계의 교수학습 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시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ata curation service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university libraries. To this end, the concept of data curation has been summarized, and how to understand information services and teaching-learning information data curation of university...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재원(2013)은 대학 연구자들이 생산한 우수한 학술연구 생산물을 기관 리포지터리에 등록함으로써 이용이 활성화되고 그 결과가 피인용횟수 Impact Factor의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의 기관 리포지터리가 대학 연구경쟁력 평가에 긍정적임을 알리고 있으며 신은자(2017)는 카이스트의 KOASAS, 서울대학교의 S-Space, 포항공대의 OASIS(Open Access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와 같은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를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 가운데 리포지터리 구축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곳은 소수에 불과하며 리포지터리의 숫자도 많지 않을 뿐 더러 축적된 자료도 충분하지 않았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가시성을 중심으로 평가한 결과 국내 리포지터리의 세계 순위가 낮음을 확인하면서 국내 대학 리포지터리의 세계적 영향력은 한계에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 먼저 데이터 큐레이션의 개념을 확인하고자 했다. 많은 연구들에서 데이터 큐레이션은 디지털 큐레이션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하지만 혼동돼 사용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인위적으로 데이터 큐레이션 개념을 디지털 큐레이션과 명확히 잘라 구분하려고는 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의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와 이를 위한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을 강조하며 대학도서관이 교수학습 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한 제언을 담은 연구이다. 큐레이션의 생애주기 관점에서 봤을 때 본 연구의 초점은 보존 중심의 활동들이다.
  •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션의 개념과 대학도 서관에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필요성을 확인하고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데이터의 사회적 영향력 및 잠재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빅 데이터 시대의 이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자신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찾아내는게 점점 더 어려워진다는 현실을 정보전문가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관심의 초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서관과 같은 정보센터에는 중요한 이슈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정한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보다 편리하고 쉬운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서비스로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 또한 신영란, 정연경(2012)과 같이 디지털 큐레이션과 데이터 큐레이션을 독자적으로 정의하는 학자도 존재한다. 이 연구는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 개선방안을 위한 자신들의 연구에서 디지털 아카이빙과 디지털 큐레이션의 차이를 확인했다. 이들에 따르면 디지털 큐레이션은 디지털 자원의 보존 및 관리 뿐 아니라 생산 단계부터 포괄적인 활용까지의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기에 수집에 집중하는 디지털 아 카이빙과 다르며, 데이터 큐레이션은 데이터 사용을 관리하는 활동으로 생산시점에서부터 데이터의 정보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에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으로 개념화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의 하위 범주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앞서 언급한 연구들과는 조금 다른 방향의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로 조용훈과 서은경의 연구(2016)를 거론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경우 대학 기록관에 초점을 두어 대학기록관의 기록 관리에 있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중요한 학과 기록을 용이하게 수집∙보존함으로써 개방적 접근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인데 이를 위해 학과기록 생산자가 생산한 전자기록을 축적하여 다양한 이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학과 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경우 기록관 이 수집하는 학과 기록의 범위는 행정문서, 사료 등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 대학도서관 교수학습정보 데이터 큐레이션을 위한 기관 리포지터리와는 그 성격을 달리한다고 보여진다.
  • 이러한 문제는 도서관과 같은 정보센터에는 중요한 이슈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정한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보다 편리하고 쉬운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서비스로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데이터 큐레이션의 개념과 대학도서관에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중 교수 학습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이 그 해답을 제시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기관 리포지터리를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생산된 각종 성과물을 학술연구지원 및 교수학습 활동의 지원을 위해 기관 내외의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다소 광의적으로 내려진 정의를 받아들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큐레이션의 개념에 대하여 “디지털 정보자원의 수집과 보존을 전제로 데이터의 생애주기에 따라 발견하고 정리 하여 지속적인 분석과 재평가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활동”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 이에 앞서 정의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기관 리포지터리를 연구성과물에만 한정하거나 기록관리를 위한 행정문서 “수집” 기반의 정의에서 벗어나 데이터의 기획과 활용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며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생산된 각종 성과물을 연구지원 및 교수학습 활동의 지원을 위해 기관 내외의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기록관의 기능 및 역할에서 제시되는 행정문서, 사료 등을 포함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구축과는 일정정도의 차별성을 확실히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ou의 연구에서,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란? 이 연구에서 Chou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도서관에서 계속적으로 운영해왔던 데이터 서비스로 간주하고 기존에 제공되던 데이터 서비스와의 차별성은 데이터 세트에 대한 특별한 관리, 조직, 보관, 배포가 필요한 “advanced level”의 데이터 서비스라는 점에 있다고 하였다. 이는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는 정보기술의 사회적 발전에 따라 진화 되어가는 도서관 데이터 서비스의 하나로 해석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런 의미에서 도서관 정보서비스 측면에서는 아주 새로운 서비스 하나를 도입한다는 것으로 해석하기보다 기존에 전통적으로 도서관이 해왔고, 해야 하는 정보서비스가 사회 정보기술의 발전과 발맞춰 진화된 모습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대학도서관의 역할은? ALA(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대학도서관은 교육, 학습, 연구지원 및 정보리터러시 등 창의적인 복합 정보공간 및 디지털 학술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ALA 2016). 이는 대학도서관이 대학 학생, 교수, 교직원 등 해당 기관의 구성원에게 교육, 학습 및 연구지원을 위한 다양한 자원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학생, 교수들의 성공을 좌우하는 구성원의 역량 강화와 그들의 진로에 성공적인 지원을 위한 기술적인 공간 지원과 더불어 디지털 학술 센터를 통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함을 명시하고 있는 것이다.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해진 배경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된 이후 학계와 산업계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가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이다. 빅데이터 시대의 문제는 이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자신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찾아내는게 점점 더 어려워진다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이용자의 현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는 도서관과 같은 정보센터에는 중요한 이슈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특정한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보다 편리하고 쉬운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서비스로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이해성, 권준희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Mihyang. 2010.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Information Science. 

  2. Kim, Jihyun. 2016. "A Study on Policy Components of Data Access and Use Controls in Research Data Reposito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213-239. 

  3. 김희란, 정영미. 2010. 대학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 학술발표회, 193-202. 

  4. 배정희. 2015. 리포지터리를 위한 기술확산 통합모델 설계 및 수용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 전공. 

  5. 백종명, 이은지. 2013. 국내 기관 리포지터리 콘텐츠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83-87. 

  6. Seo, Man-Deok. 2016.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the Academic Library on College Education and Research Performan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43-277. 

  7. Shin, Young-Ran and Chung, Yeon-Kyoung.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12(3): 94-115. 

  8. Shin, Eun-Ja. 2017. "Global Impact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 South Korean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197-218. 

  9. Ahn, Young-Hee and Park, Ok-Wha. 2009. "Digital Cur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311-326. 

  10. 윤진아. 2015.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1. Lee, Na-Ra and Chung, Eun-Kyung. 2012. "Toward User-Oriented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3(2): 85-101. 

  12. 이수연, 윤지혜. 2016. 데이터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71-76. 

  13. Lee, You-Kyoung and Chung, Eun-Kyung. 2015. "An Investigation on Core Competencies of Data Curato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3): 129-150. 

  14. Lee, Eun-Ju. 2016. "The Uses of DSpace Metadata Elements i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465-487. 

  15. Lee, Jaewon.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n the University's Research Competi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49-72. 

  16. 이정미, 박영우. 2017. 대학의 인문학 진흥을 위한 도서관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17. Lee, Jeong-Mee. 2019.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1): 159-179. 

  18. 이해성, 권준희. 2013.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화 데이터 큐레이션에 대한 연구.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124-127. 

  19. 이혜영. 2014. 외국 대학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동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회, 67-85. 

  20. Jo, Yong-Hun and Seo, Eun-Kyoung. 2016. "Building a Digital Repository Platform for Academic Department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16(3): 209-233. 

  21. 진보라, 정영미. 2016. 데이터 큐레이션 정책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91-103. 

  22. Jin, Bo Ra and Youn, You Ra. 2017.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Data Curation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 767-776. 

  23. Han, Na-eun Kim, Sunghee. 2014. "Comparative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Foreig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93-116. 

  24.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The State of America's Libraries 2016: A Report from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Kathy S. Rosa, ed. 2016. 

  25. Chou, C. C. L. 2017. "50 Years of Social Science Data Services: A Case Study from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International Journal of Librarianship, 2(1): 42-52. 

  26. Harris-Pierce, R. L. and Quan Liu, Y. 2012. "Is data curation education a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chools in North America adequate?" New Library World, 113(11/12): 598-613. 

  27. Heidorn(2011) Heidorn, P. B. 2011. "The emerging role of libraries in data curation and e-scienc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7-8): 662-672. 

  28. Kim, Y., Addom, B. K. and Stanton, J. M. 2011. "Education for eScience professionals: Integrating data curation and cyberinfrastruc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6(1): 125-138. 

  29. Macdonald, S. and Martinez-Uribe, L. 2010. "Collaboration to data curation: Harnessing institutional expertise."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16(S1): 4-16. 

  30. Martinez-Uribe, L. and Macdonald, S. 2008. "A new role for the academic librarian: data curation." Profesional de la Informacion, 17(3). 

  31. Renear, A. H., Teffeau, L. C., Hswe, P., Dolan, M., Palmer, C. L., Cragin, M. H. and Unsworth, J. M. 2009. "Extending an LIS data curation curriculum to include Humanities data." Proceedings of DigCCurr. 2009. Digital Curation: Practice, Promise and Prospects, 191. 

  32. Sheldon, M. 2013. Analysis of current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pdf] Available at: 

  33. Walters, T. O. 2009. "Data curation program development in US universities: Th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ex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4(3): 8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