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1, 2020년, pp.305 - 327
이용재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욱 (경성대학교 도서관)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to reinforce academic library's research support services for professors and research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development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nd analysed the plans for supporting research activities, and also an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학문이란 무엇인가? | 대학은 학문을 하는 곳이다. 학문(學問)이란 배우고 묻는다는 뜻으로, 이는 대학에서 교수와 학생이 만나 가르치고 배우고 묻고 답한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이러한 의미의 연장선에서 현대 사회에서 대학의 사명과 역할로 연구, 교육, 봉사를 들 수 있다. | |
연구자 맞춤형(1:1서비스)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 * 교수 전담사서 배치와 1:1 온라인 연구지원 웹 운영을 통한 단계별 맞춤 서비스 * 학과전담 연구지원 서비스: 선행연구조사, 참고문헌 스타일 제작, 논문작성 Basic 강의 및 연구에 필요한 자료 조사 및 상담 * 의학도서관 연구지원 서비스: 정기 및 출장교육, 교실별 가이드, 표절도 분석, 의학 연구 동향, 1:1 연구 컨설팅 * 원고 편집 서비스: 연구 중심어 추천, 참고문헌 스타일 편집, 영문교정 기관 연계 등 | |
연구분석서비스란 무엇인가? | 연구분석서비스는 분야별 등재지를 비롯한 학술지 및 수록 논문, 인용횟수 확인 등 학술지 평가 및 투고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나아가 해당 연구기관(대학)에서 생산한 연구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자 정보 및 성과정보(학술지 투고논문, 연구 결과물) 등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연구활동 지원 및 연구설계 지원 서비스이다. 교육부의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에서 <과제 4. |
Kwack, Chul-Wan. 2018. "A Study on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381-400.
교육부 홈페이지. [인용 2020. 2. 10].
Kim, Soojung.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4): 27-57.
Kim, Young-Seok et al. 2019. 2019 Statistical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ies.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Um, Young-Ai and Du-Yi Lee. 2006. "A Study on the Services for Research of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4): 161-180.
연구윤리정보센터 홈페이지. [인용 2020. 2. 10].
Lee, Yong-Jae. 2002. The Present Stage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rough Subject Approach. Seoul: Hanul.
Lee, Yong-Jae. 2003.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ning of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3): 51-66.
Lee, Yong-Jae and Ji-Wook Lee. 2019a. A Study on Development Plans of Academic Libraries and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2019 KERIS Issue Report).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Lee, Eung-Bong. 2010. "The Modeling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Lecture and Research Activities for Faculties-Based Web 2.0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157-180.
Lee, Jongwook et al. 2019. Determinants of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on National Research Competitiveness.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Borrego, Angel and Lluis Anglada. 2018. "Research Support Services in Spanish Academic Libraries: An Analysis of Their Strategic Plans and of an Opinion Survey Administered to Their Directors." MDPI publications, 6(4): 1-10.
Si, Li. et al. 2019.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Support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The Electronic Library, 37(2): 281-30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