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NS Post Records in Self-History Composition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4, 2020년, pp.63 - 92  

류한조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NS 게시물 기록은 개인기록의 일부이나 그 본질적 특성에 대해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간 기술적인 특성에 주로 주목하였으며 정체성이나 온라인 공간을 고려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는 SNS 게시물이 온라인 정체성을 반영한 기록이며 온라인 및 온라인과 관련된 사건을 재현하는데 SNS 게시물 기록이 의미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자기역사의 관점에서 개인이 겪은 사건을 서사적 자아 관점에서 자기역사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SNS 게시물 기록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매체적 특성과 개인의 활용방식을 함께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NS post records were not studied by some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Until now, Studies on SNS post records have focused on research on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studies on identity and online space have been rare. This study argued that SNS postings are records that ...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멀티 페르소나(Multi-persona)란 무엇인가? 197). 많은 이들은 단일하고 일관된 자아가 존재한다고 생각했지만 개개인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여러 개의 가면을 그때그때 바꿔 쓰면서 정체성을 분리한다는 것이다. 단일한 자아가 존재하기 보다 다양한 자아가 결합한 것 자체가 자신이라는 주장이다.
기록의 관점에서 개인기록은 어떤 유형이 있었는가? 기록의 관점에서 개인기록은 일기나 메모, 편지가 주요한 유형이었으며 조직의 기록과 반되는 것 정도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한국기록학회 2008, “개인기록”).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조금 단순한 듯 보이기도 한다.
SNS 게시물 기록이 가지는 특성이 자기역사를 구성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은?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SNS 게시물 기록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역사를 구성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서사적 자아 개념이나 온라인 정체성 개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특히 사회적 발달단계에 따라 평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자기역사에 자아정체성의 변화를 담아 내는데 SNS 게시물이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난도 외. 2019. 트렌드 코리아 2020. 미래의창. 

  2. 다치바나 다카시, 이언숙 역. 2018. 자기역사를 쓴다는 것. 바다출판사. 

  3. 마셜 맥루언. 2011.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4. 미국정신분석학회, 이재훈 역. 2002. 정신분석용어사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5.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2016. 자아 연출의 사회학. 현암사. 

  6. 유승호. 2012. 당신은 소셜한가?. 삼성경제연구소. 

  7. 엘자 고다르, 선영아 역. 2018. 나는 셀피한다 고로 존재한다. 지식의 날개. 

  8. 에바 일루즈, 김정아 역. 2010. 감정 자본주의. 돌베개. 

  9. 정기도. 2000.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10. 폴 리쾨르, 김한식 역. 2004. 시간과 이야기 3 이야기된 시간. 문학과지성사. 

  11. Erikson, E. H. 송제훈 옮김. 2014.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12. Lev Manovich. 2017. Instagram and Contemporary Image. 

  13. Jerome Seymour Bruner, 강현석.김경수 역. 2010.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14. pmg 지식엔진연구소. 2017. 시사상식 사전. 박문각. 

  15. R. J. HAVIGHURST, 김재은 옮김. 1996. 발달과업과 교육. 배영사. 

  16. 김수환. 2012. 매개된 감정: SNS와 우리 시대의 감정구조. 기호학연구, 31, 9-35. 

  17. 김슬기. 2015. 디지털 개인기록 보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록관리학회지, 15(4), 77-98. 

  18. 김유석, 이승하. 2011. 서사적 정체성의 현대적 의의. 인문과학연구, 29, 29-49. 

  19. 김해원, 박동숙. 2013. 소셜네트워크 거주민으로 살아가기 : SNS 사용자경험에 관한 통시적 접근. 한국언론학보, 27(2), 287-315. 

  20. 류한조. 2019. 생애기억 아카이브를 이용한 노인의 자서전 : 쓰기 콘텐츠 기획 연구.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21. 박주석. 2011. 한국 기록사진의 개념 형성과 전개. 기록학연구, 27, 169-208. 

  22. 방진하. 2014. 맥킨타이어 '서사적 자아'(narrative self) 개념의 교육적 의미 탐색. 교육철학, 36(2), 71-99. 

  23. 신상규. 2011. SNS 시대의 자아 개념. 기호학연구, 30, 77-98. 

  24. 오명진. 2017.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기록학연구, 53, 79-117. 

  25. 이광경, 주영아. 2016. 노년기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프로그램 효과연구. 한국노년학, 36(2), 295-313. 

  26. 이미애. 2015. 일본 고령자의 평생교육으로서 개인사 창작활동의 의의. 일어일문학, 70(7), 457-470. 

  27. 전시자. 1989. 회상(reminiscence)에 대한 개념 분석. 한국간호학회지, 19(1), 92-98. 

  28. 정래필. 2016. 경험서사를 활용한 소설 창작교육의 내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24. 

  29. 정민승. 2000. 온라인에서의 자아정체성. 교육인류학연구, 3(3), 141-162. 

  30. 진영선, 김영경. 2010. 자전적 기억의 특성 분석과 적용 가능성의 탐색.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3(2), 207-229. 

  31. 최선녀. 2014.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자서전 쓰기 교육 : 미래 자서전 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국어연구, 8(5), 97-130. 

  32. 최영, 박성현. 2011.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2), 241-276. 

  33. 최유리, 임진희. 2016. 개인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나의 아카이브(My Archive)' 만들기. 기록학연구, 47, 5-49. 

  34.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연구팀. 2020.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결과 주요 내용. KISDI STAT Report, 20-01. 

  35. Butler, R. N.. 1963.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Psychiatry, 26. 

  36. Conway, M., Pleydell-Pearce, C.. 2000. The construction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self-memory system. Psychological Review, 107(2). 

  37. Eric Ketelaar. 2007. Archives in the Digital Age: New Uses for an Old Science. Archives & Social Studies, 1. 

  38. Garde-Hansen J.. 2009. MyMemories?: Personal Digital Archive Fever and Facebook. Save As … Digital Memories. Palgrave Macmillan. London. 

  39. Geoffrey Yeo. 2008. Concepts of Record (2): Prototypes and Boundary Objects. The American Archivist, 71(1). 

  40. Geoffrey Yeo. 2012. Bringing Things Together: Aggregate Records in a Digital Age. Archivaria, 74. 

  41. Mark Greene. 2009. The Power of Archives: Archivists' Values and Value in the Postmodern Age. American Archivist, 7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