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전반기의 두장류(豆醬類)에 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Jang (Fermented Soybean Sauce)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5 no.1, 2020년, pp.1 - 13  

한복려 (궁중음식문화재단) ,  김귀영 (궁중음식문화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ategorized and made considerations of the fermented soybean pastes into Meju, Chungjang, Si, mixed Jang, and other Jang in accordance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s described in the fermented soybean paste section of Sangayorok (1450's), Suunjapbang (1540's) and Gyemiseo (1554). These ar...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 시대 전반기로 갈수록 장에 관한 기록이 많은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 그러나 1600년도후반 경북 영양 장계향(張桂香, 1598~1680)이 저술한 한글 조리서 「Eumsikdimibang (음식디미방)」 (Jang GH (張桂香) 1670)에는 장의 제조법에 관한 내용이 없다. 이와 같이 조선 시대 전반기로 거슬러 올라 갈수록 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고 기록으로 많이 남겼음은 일찍부터 장이 우리의 식생활에 차지하는 비중이 중요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시대 부터 이미 발효식품을 가공 저장했음을 짐작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 민족이 언제부터 장을 만들어 먹었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콩의 원산지가 만주이며, 중국의 「삼국지(三國志)」·위지·동이전·고구려조에 고구려 사람들이 ‘善藏釀 (선장양)’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발효식품을 잘 만든다는 뜻이다. 어떤 종류의 발효식품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안악 고분 벽화에 발효식품을 갈무리한 듯한 우물가의 독이 보인다.이것으로 보아 우리 민족은 고구려시대 부터 이미 발효식품을 가공 저장하였음을 짐작 할 수 있다(Lee 1984).
우리 전통장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 민족의 전통장은 콩을 주원료로 메주를 쑤어 곰팡이를 띄운 후 소금물에 담가 발효, 숙성, 저장하는 과정에서 콩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독특한 감칠맛을 형성한다. 우리 음식의 맛내기는 바로 이러한 장의 맛이 가장 기본적인 조미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n YG. 2016. A Study on Making Meju for Traditional Jang. Korean J. Food. Nutr. 29(5):670-676 

  2. Ann YG, Moon YJ, 2015. A Study on Traditional Jeupjang (Succulent Jang). Korean J. Food. Nutr. 28(5):835-848 

  3. Ann YG, Woo N. 2012. A Study on the Classified Jang in Goryeo and Chosun Dynasty Period. Korean J Food Nutr. 25(3):460-482 

  4. Choi YJ, Cho Sh, Kim EM, Chung RW, Won SI, Cha GH, Kim HS, Lee HJ. 2007. Investigation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 Sci., 23(1):107-123 

  5. Ga SH (賈思). 530s. Jeminyosul (濟民要術). In: Yoon SS, Yoon SK, Cho HJ, LEE HJ, Ann MS, Seo HK, Yoon DI, Lim HS. editor. 1993. Mineumsa Publishers. Seoul. Korea. pp 146. 

  6. Gyemiseo (癸未書). 1554. Korea. 

  7. Han BR. 2003. Sangayorok: Analysis of author and published dates. Korean J. Agricul. History Associ. 2(1):13-29 

  8. Han BR, Han BJ. 2013. Koreans' Jang (한국인의 장). Gyomoon Publishers. Gyounggido. Korea. pp 1 

  9. Han BR, Kim GY. 2018. A Study on the Food 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Gyemiseo (癸未書). J. Korean Soc. Food Cult. 33(4):307-321 

  10. Jang GH (張桂香). 1670s. Umsikdimibang (飮食知味方). Korea 

  11. Jang JH. 2001.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Korean Food IV (한국음식대관 4권) Hollym International Corp., Seoul. Korea. pp 21-25 

  12. Jeon SU (全循義). 1450s. Sangayorok (山家要錄). Korea 

  13. Jeon SU (全循義). 1450s. Sangayorok (山家要錄). In: Han BR. editor. 2019.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Publishers. Seoul. Korea. pp 81-90, 102-105 

  14. Jo JH (조자호). 1939. Joseonyoribeop (朝鮮料理法). Kwanghanserrim. Seoul. Korea 

  15. Jung HY (丁學游). 1843. Nonggaweollyeongga (農家月令歌). Korea 

  16. Kim IG, Lee JW, Park CY. 2015. Geogapilyoung. transtation and annotatioon (居家必用 譯註). World Institute of Kimchi. Kyangju. Korea. pp189-203 

  17. Kim SM, Lee CJ. 2004. A Study on Manufacturing of Korean Sauce Described in Jeungbosallimgyeongj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175-186 

  18. Kim Y (金綏). 1540s. Suunjapbang (需雲雜方). Korea 

  19. Kim Y (金綏). 1540s. Suunjapbang (需雲雜方). In: Kim CS editor. 2015. Gulhagari publishers. Kyounggido. Korea. 

  20. Lee SW. 1984. Korean Food and Culture History. Gyomoon Publishers. Gyounggido. Korea. pp 145-151 

  21. Lee YG. 1924. Chosunmoossangsinsikyorijebeop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Yeongchangseorim. Seoul. pp 6-26 

  22. Park CY, Kwon YM. 2017. A Study on the Kimchi Recip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Juchochimjeobang. J Korean Soc. Food Cult. 32(5):333-360 

  23. Pinghugak Lee (憑虛閣 李氏). 1809. Kyuhapchongseo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1975. Bojinje Co., Kyounggido. Korea. pp 33-39 

  24. Pinghugak Lee (憑虛閣 李氏). 1809. Kyuhapchongseo (閨閤叢書). In: Lee MS editor. 1988. Girinwon Publishers. Seoul. Korea. pp 48-49 

  25. Shin KS. 2015. Study of Jang through Cluinary Books of Qing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30(3):249-266 

  26. Yoo JL (柳重臨). 1766. Jeungbosal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In: Lee GJ et al. editor. 2003. Shingyang Publishers. Kyounggido. Korea. pp 155-199 

  27. Yoon SS, Yoon SK, Cho HJ, Lee HG, Ahn MS, Ahn SJ, Suh HK, Yoon DI, Lim HS. 1991. A Study on the Cooking and Processing Methods Presented in Cheminyosul-Jangs-. J. Korean Soc. Food Cult. 6(2):141-146 

  28. Institute for the Tradional of Korean Classic (한국고전번역원). http://db.itkc.or.kr/dir/item?itemIdGO#/dir/, [accessed 2019.06.01.] 

  29. National Central Libarary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korcis/search/detailcode.php?controlnoOUB2005010330 [accessed 2019.06.01.] 

  30. Wiki dictionary.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 [accessed 2019.06.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