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플레이에서 협력의 진화
The Evolution of Collaboration in Game Play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0 no.2, 2020년, pp.101 - 112  

이다원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유승호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버워치>를 통해 고수준의 플레이어가 되는 과정에서 게임 내 협력을 위한 희생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경쟁전 점수대에서는 칭찬카드가 공격형-딜러와 지원형-힐러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원형에게 많은 칭찬카드가 부여되었다. 둘째, 플레이어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힐러로부터 딜러에게로 칭찬카드가 더 많이 부여되었다. 셋째, 고점수대의 플레이어들이 힐러역할을 자발적으로 맡음으로써 '자애로운 역할'을 자임하며 팀의 규범을 선도했고 결과적으로 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할 갈등의 위험을 분산했다. 이로부터 점수대가 높을수록 협력이 강해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into how to carry out sacrifices for intra-game cooperation in becoming a high-level play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players behave is dependent on their resources(scores). Second, the higher the player's score, the more praise cards were given to dealers. Third,...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격형 유저가 게임을 풀어나가고 게임에서의 승리의 가능성을 거의 다 장악하고 있지만 A그룹과는 달리 ‘선호’하는 역할군을 못한다해도기꺼이 ‘비선호’ 역할군을 자처하며 승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혜적 행위에 기반한 협력을 보고자 오버워치의 ‘칭찬카드 시스템’을 분석해 결과를 도출해보았다.
  • 팀 내의 협력이 강할수록 희생을 의무로 생각하며 대가를 강요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한다면 게임 내에서도 ’선물증여‘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인간의 협력행동이 팀의 단합을 통한 팀의 번영-즉 지속적인 승리-에 필수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버워치를 통해 그러한 협력의 생성과 진화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오버워치 게임은 팀플레이이면서도 팀 내에서 주도자와 조력자의 역할을 분담하면서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드러낼 수 있는 플레이가 있으면서, 동시에 팀을 위해 위험을 줄이려는 노력들을 하는 플레이어에 대해 칭찬카드를 통해 구성원 간의 인정을 교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개인과 개인 간의 협력이 팀 내에서 발생하고 진화하는 메커니즘[3]을 보는데 적합한 게임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수준의 플레이어가 되는 과정에서 게임 내 협력을 위한 희생이 어떻게 수행되는가? 본 연구는 를 통해 고수준의 플레이어가 되는 과정에서 게임 내 협력을 위한 희생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경쟁전 점수대에서는 칭찬카드가 공격형-딜러와 지원형-힐러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원형에게 많은 칭찬카드가 부여되었다. 둘째, 플레이어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힐러로부터 딜러에게로 칭찬카드가 더 많이 부여되었다. 셋째, 고점수대의 플레이어들이 힐러역할을 자발적으로 맡음으로써 '자애로운 역할'을 자임하며 팀의 규범을 선도했고 결과적으로 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할 갈등의 위험을 분산했다. 이로부터 점수대가 높을수록 협력이 강해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how to carry out sacrifices for intra-game cooperation in becoming a high-level play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오버워치는 어떤 게임인가? 오버워치는 6명의 플레이어가 한 팀이 되어 각 플레이어 캐릭터의 능력과 무기를 가지고 다른 팀과 배틀을 통해 승리를 이끄는 FPS게임이다. 역할 놀이 시스템을 통해 플레이어들은 공격형 영웅이나 지원형 영웅등과 같은 역할을 맡게 되고 이러한 행위 내에서 협력행위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행위를 엿볼 수 있다[4].
칭찬카드 시스템은 무엇인가? 또한 오버워치에 고유한 칭찬카드 시스템이란 같은 세션의 게임을 플레이 한 다른 유저들에게 칭찬카드를 주는 것으로 게임이 끝난 후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베스트 플레이어나 본인이 주고 싶은 사람에게 주는 칭찬의 표시이다. 물론 칭찬카드를 주는 것엔 강제성이 없으며 주지 않아도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arcel Mauss, "The Gift Theory". Jung-Ah Ryu. Han Gil sa, 2002. 

  2. Jae-Hyuk Lee, "The Hau of Gift:Realation Capital in Gift Econom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1. 

  3. Yong-Keun Son, "Noblesse Oblige", Han Yang Law Review, Vol.21, p.167-176, 2007. 

  4. Jeong-Hyun Jeong, "A study on Collaboration Mechanism in Online FPS Game-Focused on the Reciprocal View-",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34, No.1,2017. 

  5. Young-Ha Park, "A Study on moral educational validity of praising and its adaptation", Doctoral Dissertation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6. Blanchard, K., "Whale Done!", Cheon-Je Jo, Book21, 2003. 

  7. Hyun Seo and Kyung-Hee Seo, "A qualitative study analyzing the types and functions of praises made to kindergarten children-Focused on the objects and functions-" ,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Vol.14, No.3, pp329-367, 2015. 

  8. Byron Reeves and Clifford Nass,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and Places, 1996. 

  9. Hye-Young Kim, Hye-Mi Lee and Seoung-Ho Ryu, "A Study about Need foe Approval of Adolescent Game Users : Focu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17. 

  10. Kwan-Hyun Yeo, "A Study on the Foe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y". Seoul Studies, Vol.16, No.1, pp17-40, 2015 

  11. Hyun-Jeong Park, Junok Kim and Yoon-Hee Son, "The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Trend of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ce and its Predictors", Vol.16. No.4, pp105-127. 2015. 

  12. Yong-Keun Son, "Noblesse Oblige", Han Yang Law Review, Vol.21, pp167-176, 2007. 

  13. Sang-Gil Lee, "On Pierre Bourdieu's Sociological Engagement and Media Practic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pp147-188, 2005. 

  14. Daniel Rigney, "The Metaphorical Society: An Invitation to Social Theory", Hyung-Shin Park, Hanul Academy, pp248-249, 2018. 

  15. Lee, Jun Myong, Na, Jung Hwan, Doh, Young Yim,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Characteristics and Trolling Behavior: Focused on , Korea Game Society, pp63-71(9 pages),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