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에서의 협력과 호혜성 메커니즘 연구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클래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operation and reciprocity mechanism in MMORPG games -focused on 'World of Warcraft: Classic'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0 no.5, 2020년, pp.65 - 76  

최영우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유승호 (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MMORPG 'World of Warcraft: Classic'의 게임 구조 분석을 통하여 협력과 호혜성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탐구했다. MMORPG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게임 장르이다. 이는 협력 메커니즘이 잘 드러나는 장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본 논문은 진화 심리학과 인류학, 사회 심리학을 기반으로 협력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저들을 참여 관찰했다. 인스턴스 던전, 명확한 역할 구분, 아이템, 아이템 귀속, 루팅, 커뮤니티 사이트, 유저 상태창을 분석하여 고정성, 지연된 상호 이득성, 공정성, 전시성이라는 협력 메커니즘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MMORPG에서 어떤 게임의 구조가 호혜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했으며 게임 기획에서 협력 설계의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d cooperation and reciprocity mechanism by analyzing game mechanics of MMORPG 'World of Warcraft: Classic'. MMORPG is the genre of game where social interaction vigorously occurs. This study figured out the structure of cooperation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thropology and ...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게임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려면 사회적 상호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게임이 설계되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MORPG에서 나타나는 협력 메커니즘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이란? 협력(collaboration)은 공통 또는 상호 이득을 위해 같이 일하거나 행동하는 과정을 일컫는다[10]. 협력은 관리 방식, 집행, 자율성, 상호 관계, 호혜성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협력은 어떠한 것을 기반으로 작동하는가? 협력(collaboration)은 공통 또는 상호 이득을 위해 같이 일하거나 행동하는 과정을 일컫는다[10]. 협력은 관리 방식, 집행, 자율성, 상호 관계, 호혜성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특히, 협력에서 호혜성(reciprocity)은 중요하며 도덕적 규범의 역할을 한다[11].
호혜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호혜성은 자원 교환행위로 주는 사람은 다시 받고 싶어 하고 받은 사람은 다시 주고 싶어 하는 것을 말한다. 이 행위는 도덕적 의무감과 같은 인간 심리에서 비롯된다[12]. 이는 도덕적 의무감, 규범과 같이 법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들이 자발적인 집단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2019 Content Industry Statistics,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0. 

  2. Dong-Eun Lee, "A Study of Cooperative Mechanism in Social Game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 12(4), pp. 3-12, 2012. 

  3. Jeong-Hyun Jeong and Seoung-Ho Ryu, "A Study on Collaboration Mechanism in Online FPS Game - Focused on the Reciprocal View -",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34(1), pp. 49-106. 2017. 

  4. Reeves, B. and Nass, C.,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Cambridge, UK: CSLI Publications 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 Bowles, S., "The Moral Economy: Why Good Incentives Are No Substitute for Good Citizens", Yong-Jin Park, Heureumchulpan, 2020. 

  6. N. Yee, "The Psychology of Massively Multi-User Online Role-Playing Games", CSCW, Vol. 34, pp. 187-207, 2006. 

  7. Jung-Hyun Kwon, "Study for Immersion and addiction's effect on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MMORPG) user's loyalty", Graduate School of Service Business Administration, 2009. 

  8. Hyun-Jin Do and Jai-Yeol Son,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Game Users on Continuance Intention: Focusing o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Journal of Korea Internet Electrornic Commerce Association, Vol. 19(6), pp. 57-74, 2020. 

  9. Putnam, R. D, "Bowling Alone. Simon & Schuster", Seung-hyeon Jeong, Paperroad, 2009. 

  10. Kohn, A., "No contest: The case against competi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11. Thomson, A. M. and Perry, J. L, "Collaboration processes: Inside the black box",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 20-32, 2006. 

  12. Homans, G. C, "Social behavior as exchan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63(6), pp. 597-606, 1958. 

  13. Malinowski, Bronislaw,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Do-Hyeon Kim, Chaeksesang, 2010. 

  14. Axelrod, R. M,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asic books", Gyeong-Sik Lee, Systema, 2009. 

  15. Trivers, R. L, "The evolution of reciprocal altruism". Quarterly review of biology, Vol. 46, pp. 35-57, 1971. 

  16. Sahlins, M, "Stone age economics", Chung-Hwan Park, Hanul Publishing Group, 2014. 

  17. Tajfel, H. and Bilig, M. G. and Bundy, R. P. and Flament, C. "Social categorization and intergroup behavior",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1, pp. 149-178, 1971. 

  18. Yamagishi, T. and Jin, N., and Kiyonari, T. "Bounded generalized reciprocity: Ingroup boasting and ingroup favoritism". Advances in Group Processes, Vol. 16, pp. 161-197, 1999. 

  19. Hayashi, N. and Ostrom, E. and Walker, J. and Yamagishi, T., "Reciprocity, trust, and the illusion of control: Across-societal study", Rationality and Society, Vol. 11(1), pp. 27-46, 1999. 

  20. Watabe, M. and Terai, S. and Hayashi, N. and Yamagishi, T., "Cooperation in the one-shot prisoner's dilemma based on expectations of reciprocity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Japanes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6(2), pp. 183-196, 1996. 

  21. John A. V., "Extending the theory of Bounded Generalized Reciprocity: An explanation of the social benefits of cooperative video game pla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48, pp. 481-491, 2015. 

  22. Clark K. and Sefton M., "The Sequential Prisoner's Dilemma: Evidence on Reciprocation", The economic journal, Vol. 111, pp. 51-68, 2001. 

  23. Spradley, P. J., Participant Observation, Jae-Yeong Shin, Cengage Learning, 2006. 

  24. Nardi, B. and Harris, J., "Strangers and Friends: Collaborative Play in World of Warcraft", CSCW '06: Proceedings of the 2006 2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149-158, 2006. 

  25. Yamagishi, T. and Kiyonari, T., "The Group as the Container of Generalized Reciprocit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 63, pp. 116-132, 2000. 

  26. Da-Won Lee and Seoung-Ho Ryu, "The Evolution of Collaboration in Game Play",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020. 

  27. Collins, R., "Interaction Ritual Chains", Su-Mi Jin, Hanul Publishing Group, 2009. 

  28. McCall, C. and Blascovich, J., "How, When, and Why to Use Digital Experimental Virtual Environments to Study Social Behavior."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 3, pp. 744-758, 2009. 

  29. Sivunen, A. and Hakonen. M., "Review of Virtual Environment Studies on Social and Group Phenomena." Small Group Research Vol. 42, 405-457, 2011. 

  30. Swinth, R, K., and Blascovich, J.,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Others: Human-Human and Human-Computer Social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In Presented at the the 5th annual international workshop on PRESENCE. Porto: Portugal,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