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양상에 따른 우울 및 자녀의 학교준비도,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
Trajectories of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its Relationship to Depression and Children' School Readiness, Self-esteem, and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344 - 352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녀 출생 후 5년 동안의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존재할 수 있는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2008년)부터 5차년도(2012년), 7차년도(2014년)부터 10차년도(2017년)의 1,243명의 자료를 성장혼합모형분석, 다집단 성장 모형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 양상은 저수준 저변화, 중수준 상향, 상수준 무변화의 3개 잠재계층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에 따라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을 확인한 결과, 상수준무변화 집단의 어머니는 5년 동안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패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계층에 따라 취학 전 유아 시기의 학교준비도 4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4개 하위 요인 모두 저수준 저변화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대체로 저수준 저변화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이 어머니 자신뿐 아니라 취학 전 유아 시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갈등 해결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in the changing pattern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to explore its relationship with the changing patterns of mothers' depression, school readiness, self-esteem, and happiness of their children five years after their birth.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어떤 변화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변화 양상에 따라 심리적 특성 중 하나인 우울의 변화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궤적에 기초한 잠재계층집단에 따라 유치원 시기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시기의 자녀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따라 자녀의 취학 전 유아 시기의 학교준비도, 초등 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이 어머니 자신뿐 아니라 취학 전 유아 시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갈등 해결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존재할 수 있는 변화 유형에 기초한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출생 후 5년 동안의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존재할 수 있는 변화 유형에 기초한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출생 후 5년 동안의 어머니 우울의 변화 패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대한 잠재계층에 따라 취학 전 유아 시기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학교준비도의 4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변화 유형에 대한 이해는 변화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어떤 변화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변화 양상에 따라 심리적 특성 중 하나인 우울의 변화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궤적에 기초한 잠재계층집단에 따라 유치원 시기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시기의 자녀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어머니의 우울이 자녀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원인 중 하나는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높을 때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17-18].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 중 하나는 부부갈등이다[9-10]. 이는 결혼 생활 과정에 유발되는 긴장과 스트레스가 우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 재인용].
선행연구와 본 연구 간 차이점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와 본 연구 간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집단을 중심으로 부부갈등의 특성에 대한 횡단 및 종단적 접근을 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에 존재할 수 있는 변화 유형을 탐색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우울 간 관련성을 살펴본 많은 연구들이 횡단적 접근을 한 것과 달리, 부부갈등의 변화 유형에 따라 우울의 변화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는 차이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시기에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부부갈등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부부갈등은 자녀 발달 과정의 위험 요인이다[1]. 부부 갈등은 다양한 연령 자녀의 심리적 특성, 문제행동, 학업능력, 학교적응 등의 적응 문제와 관련성이 있다[2-5]. 부부갈등은 자녀의 인지, 정서, 행동 발달 특성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모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태도를 매개로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연구들이 주로 부부갈등과 관련된 횡단 연구를 진행한 것과 달리 최근에는 부부갈등과 관련된 종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부모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종단적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변화궤적이 자녀의 발달 특성과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 Porter, W. J. Dyer, "Does marital conflict predict infants' physiological regulation? A short-term prospective study", Vol.31, No.4, pp.475-484, 2017. DOI: http://dx.doi.org/10.1037/fam0000295 

  2. J. H. Park, J. S. Park,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Testing the mediating process of sibling relationship",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Vol.30, No.2, pp.1-18, 2017. 

  3. W. H. Kim, D. H. Le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and self-control,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1, No.4, pp.1767-1782, 2010. DOI: http://dx.doi.org/10.15703/kjc.11.4.201012.1767 

  4. E. J. Song, J. Y. Le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s on youth depression-With the mediation of parentific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1, No.1, pp.335-354, 2010. DOI: http://dx.doi.org/10.15703/kjc.11.1.201003.335 

  5. E. Vaez, R. Indran, A. Abdollahi, R. Juhari, M. Mansor, "How marital relations affect child behavior: Review of recent research", Vulnerable Children and Youth Studies, Vol.10, pp.1-16, 2015. DOI: http://dx.doi.org/10.1080/17450128.2015.1112454 

  6. P. D. Ki, "A developmental trajectory of marital conflict during the first five years after giving birth: Its effect on child's behaviors", Family and Culture, Vol.30, No.1, pp.27-57. DOI: http://dx.doi.org/10.21478/family.30.1.201803.002 

  7. K. L. Coln, S. S. Jordan, S. H. Mercer, "A unified model exploring parenting practices as mediators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Vol.44, No.3, pp.419-429, 2013. DOI: http://dx.doi.org/10.1007/s10578-012-0336-8 

  8. P. T. Davies, E. M. Cummings,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16, No.3, pp.387-411, 1994.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387 

  9. S. A. Lim,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sympt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17, pp.51-71, 2019. 

  10. Y. S. Kim, J. S. Park, Y. H. Kim,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ing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depression o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15, No.1, pp.135-155, 2018. 

  11. J. N. Chung,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depress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4, No.5, pp.101-115, 2018. DOI: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5.101 

  12. S. R. Park, B. R. No, H. J. Park, S. H. Yi,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ffective parenting, and family flexibility on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 An analysis of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using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APIM)",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1, No.1, pp.51-79, 2017. 

  13. J. N. Chung, "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their child's social competenc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6, No.4, pp.283-296, 2017.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7.26.4.283 

  14. H. J. Le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maternal depression and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al negative emotionality",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Vol.31, No.2, pp.230-258, 2012. 

  15. S. H. Lee,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18, No.2, pp.117-127, 2018. DOI: http://dx.doi.org/10.21213/kjcec.2018.18.2.117 

  16. J. M. Maruyama, M. Pastor-valero, I. S. Santos, T. N. Munhoz, F. C. Barros, A. M. Manitto,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trajectories on offspring socioemotional competences at age 11: 2004 Pelotas Birth Cohor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53, pp.8-17, 2019. DOI: https://doi.org/10.1016/j.jad.2019.03.072 

  17. J. H. Sung, C. K. Kim, "The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mother's depression on infant's anxiety/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2, No.1, pp.99-123, 2018. DOI: https://doi.org/10.5718/kcep.2018.12.1.99 

  18. J. Y. Park, Y. H. Choi, R. R. Hwang, N. S.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the sociability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22, No.1, pp.1-19, 2019. DOI: https://doi.org/10.17641/KAPT.22.1.1 

  19. H. M. Kim, E. S. Joo, "Moderating effects of focusing mann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depression of married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Vol.10, No.2, pp.53-68, 2018. 

  20. H. S. Park, "An study on the school readiness and related variable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6, No.4, pp.137-157, 2012. 

  21. J. A. Lee, J. E. Park, H. M. Chung, S. H. Yi, "The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scholastic competence: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7, No.4, pp.453-477, 2017.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7.37.4.019 

  22. J. W. Lee, I. K. Cho,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ir childre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arenting", The Journal of Play Therapy, Vol.23, No.1, pp.15-30, 2019. DOI: http://dx.doi.org/10.32821/JPT.23.1.2 

  23. M. H. Min,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ources, parent-child interaction, academic skills, and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2, No.5, pp.1-19, 2017. DOI: https://doi.org/10.20437/KOAECE22-5-01 

  24. J. W. Kim, J. H. Kim,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ttitudes of upbring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children's self-esteem and career awarenes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4, No.1, pp.111-132, 2018. DOI: https://doi.org/10.29113/skpaer.2018.24.1.111 

  25. H. J. Kim, S. H. Ho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26, No.1, pp.413-429, 2015. DOI: https://doi.org/10.20972/kjee.26.1.201503.413 

  26. D. G. Seong, C. K. Kim,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on children's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s with 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6, No.4, pp.129-142, 2015. DOI: https://doi.org/10.5723/KJCS.2015.36.4.129 

  27. A. R. Choi, Y. S. Le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life stress of children in response to the 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mother and the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6, No.1, pp.337-351, 2015. DOI: https://doi.org/10.15703/kjc.16.1.201502.337 

  28. http://panel.kicce.re.kr 

  29. S. H. Baek, H. W. Chu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changing community spirit as determined by means of growth mixture modeling", Studies on Korean Youth, Vol.28, No.1, pp.151-182, 2017. DOI: http://dx.doi.org/10.14816/sky.2017.28.1.151 

  30. S. H. Goodman, M. H. Rouse, A. M. Connell, M. R. Broth, C. M. Hall, D. Heyward,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Child & Family Psychology Review, Vol.14, No.1, pp.1-27, 2011. DOI: http://dx.doi.org/10.1007/s10567-010-008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