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어패럴 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변수 요인의 통시적 연결구조 분석 -패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Diachronic Network Analysis on Variable Factors for enhancing the Values of Apparel Industry in South Korea -Focused on Fashion Newspaper Artic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551 - 564  

김장현 (중앙대학교 패션전공) ,  이지연 (여주대학교 패션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패션 산업은 국가 산업 발전에 일조하는 하나의 핵심 분야로 성장해왔지만,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저성장 시대의 도래, 소비경향의 변화 등의 영향으로 마이너스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패션 신문 기사를 토대로 한국의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화 요인 및 어패럴 기업들의 경영 환경 변화 요인과 관련된 핵심 텍스트들을 연결망 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통시적인 관점에서 그 양상을 탐구해보고 한국 패션 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함의점을 논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친 정치·경제적 측면의 제언점으로 정부가 새로운 정책의 제시나 패션 산업과 연계된 지정학적 사안 또는 정세 변화에 대하여 보다 실질적인 측면의 소통을 통하여 정치적 영향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둘째, 한국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친 사회·문화적 측면의 제언점으로 미래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타 분야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전략 체계 구축을 통하여 기업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여야만 한다. 셋째, 한국 어패럴 산업의 경영 환경 변화의 제언점으로 한국 어패럴 기업들은 기업의 이익보다는 상생하여 서로 함께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의식의 중요성을 인지해야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ashion industry in Korea has grown into a core sector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dustries, but it has shown negative growth due to the advent of a low-growth era.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re texts related to variable factors affecting the apparel industry in Korea (a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산업의 현황에 대해 보다 전문적이며 심층적인 보도를 하고 있는 국내 패션 신문들을 매개로 하여 한국의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화 요인 및 어패럴 기업들의 경영 환경 변화 요인과 관련된 기사문을 토대로 연도별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핵심 텍스트들을 추출, 최근 5년간 통시적인 관점에서 연결망 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그 양상을 탐구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패션 산업 및 패션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일련의 함의점을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문 기사문을 토대로 패션산업 환경 변화에 대한 흐름, 기업의 경영 환경의 변화, 국제 정세 및 사회‧문화적 경향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 요인들이 한국 패션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패션 산업의 가치 제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방향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패션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요소까지도 추정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용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다시 말해서, 신문은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공적인 매체로 해당 시기의 주요한 이슈에 대해 폭넓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장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분야의 사실 기술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영역의 다양한 모습과 실천을 반영[5]하고, 향후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해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문 기사에서 다양한 정보들의 공급 수단은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특히, 텍스트는 동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언어, 문화, 사회적 특성이나 소비자의 잠재적 의식이 반영된 트렌드를 표출하는 대표적인 도구[6]이며, 사회현상을 의미 있게 구조화한 상징적 지표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신문들을 매개로 하여 한국의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화 요인 및 어패럴 기업들의 경영 환경 변화 요인과 관련된 기사문을 토대로 연도별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핵심 텍스트들을 추출, 최근 5년간 통시적인 관점에서 연결망 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그 양상을 탐구해보고 패션 산업 및 패션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일련의 함의점을 논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다시 말해서, 어패럴 기업들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가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시, 기업의 이윤과 성장, 발전 또한 함께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급변화하는 현대의 환경 변화 속에서 한국 어패럴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줄 수 있으리라 판단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산업의 현황에 대해 보다 전문적이며 심층적인 보도를 하고 있는 국내 패션 신문들을 매개로 하여 한국의 어패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화 요인 및 어패럴 기업들의 경영 환경 변화 요인과 관련된 기사문을 토대로 연도별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핵심 텍스트들을 추출, 최근 5년간 통시적인 관점에서 연결망 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그 양상을 탐구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패션 산업 및 패션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일련의 함의점을 논하고자 한다.
  • 즉, 어패럴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R&D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과투자를 통하여 어패럴 산업 전반의 분위기를 선도하여야 하며, 새로운 기술력 증진을 위해 기업 산하의 연구소뿐만 아니라 각 대학교의 연구진들과의 협업을 통한 시스템의 구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학계에서도 융합적인 마인드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 육성에 매진해야만 4차 산업의 변화 속에서 한국 어패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산업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특징 정의 할수 있는가 ? 패션 산업[20-21]은 광의적인 개념으로 의류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되는 일련의 구조적 체계를 지칭한다. 세부적으로는 의류나 패션 액세서리 제작에 필요한 직물 및 원료를 공급하는 파이버 산업과 텍스타일 산업, 생산제품을 판매하는 유통 산업, 상품 기획과 의류 제품을 생산하여 최종적으로 상품화시키는 어패럴 산업[20-21]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패션 산업은 이상에서 언급된 각각의 세부 산업들의 상호‧연계적인 사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패션 산업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어패럴 산업은 전체 사슬 구조의 운영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0].
의란 ? 의란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3대 필수요건 중 하나로, 의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산업은 국민문화의 척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패션 산업[20-21]은 광의적인 개념으로 의류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되는 일련의 구조적 체계를 지칭한다.
신문의 의미는 ? 신문이란 “사회에서 발생한 사건의 사실이나 해설을 널리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한 정기 간행물”[30]을 의미하는 것으로, 새로 형성된 시사적 내용이나 사회생활의 현상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의 높은 관심사와 의견을 반영된 뉴스를 끊임없이 새로운 관점에서 제공함으로써 변화된 사회상의 패러다임을 보여준다[31-32]. 또한, 여러 매체 중에서도 신문은 오락 기능에 중점을 둔 라디오나 텔레비전과 달리,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으며, 휴대성, 기록성, 반복성, 그리고 보관성이 강해 대중들에게 보다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H. Kim, J. Y. Lee, "Diachronic network analysis on variable factors for enhancing the values of apparel industry in South Korea",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on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AIS, Jeju, Korea, June 2019. 

  2. K. R. Im, KOFOTI, 43trillion, fashion market breadth in this year [Internet]. Apparelnews [cited 2017 November 13], Available From: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68 318 (accessed Feb. 13, 2019) 

  3. M. J. Noh, Get the recession, fashion have a weak point of cost-effectiveness [Internet]. Thescoop [cited 2016 March 9], Available From: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 no19388(accessed Feb. 13, 2019) 

  4.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mpilation committee, The data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p.1-3482, Korea Dictionary Research Official, 1998. 

  5. D. Riffe, S. Lacy, F. G. Fico, 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pp.1-242, Lawrence Erlbaum, 2005. 

  6. S. H. Yang, B. Y. Kim, "Exploratory study on corporate CSV :Semantic network on newspapers text, focusing on healing and culture marketing",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39, No.4, pp.27-38, 2015. DOI: http://dx.doi.org/10.17086//JTS.2015.39.1.27 

  7. M. R. Kang,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textile industr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Chiness textile industries,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p.1-71, 2015. 

  8. B. R. Joo, "Research on the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of global Korean fashion brands :Focusing on SWOT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inroa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3, No.1, pp.107-128, 2013. 

  9. K. S. Ch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global textile & fashion market &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3, No.3, pp.151-165, 2013. DOI: http://dx.doi.org/10.7233/jksc.2013.63.3.151 

  10. Y. J. Cho, Y. R. Lee, "Influential factors of foreign market entry of Korean fashion fi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No.12, pp.1768-1777, 2006. 

  11. H. S. An, H. Y. Syn, I. S. Lee, "An analysis of New York Times articles on Korean fashion :Focusing on the articles since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21, No.2, pp.323-333, 2015. 

  12. J. S. Eum, Y. S. Yoo,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f Korean fashion in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6, No.1, pp.27-35, 2012. DOI: http://dx.doi.org/10.5850/JKSCT.2012.36.1.27 

  13. S. H. Lee, K. W. Cho, "A study on th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daily newspape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8, No.4, pp.45-59, 2004. 

  14. S. E. Park, A study on analysis of fashion articles in specialized textile newspapers :Centering around the Korea textile news,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pp.1-83, 2003. 

  15. J. S. Park, Y. R. Lee, "Exploring fashion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8, No.5, pp.611-626, 2015. DOI: http://dx.doi.org/10.5850/JKSCT.2014.38.5.611 

  16. H. An, M. Park,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ashion design based on big data text analysis :Focus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emotional te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42, No.3, pp.428-437, 2018. DOI: http://dx.doi.org/10.5850/JKSCT.2018.42.3.428 

  17. J. W. Eom, Y. J. Won,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of ROK military supply :Network efficiency by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5, pp.47-55, 201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9.20.5.47 

  18. J. H. Hong, J. Jang, Y. H. Cho, "Diachronic network analysis of South Korea's presidential speeches on the economy: from 1948 to 2008",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25, No.1, pp.53-93, 2014. 

  19. J. H. Ryu, S. H. Choi, G. Y. Cho, New industry analysis textbook, p.1-554, KISVE, 2019. 

  20. J. S. Chun, Apparel products for business of fashion, pp.1-273, Kyomunsa, 2005. 

  21. H. J. Lee, An introduction to fashion merchandising, pp.1-296, Kyohakyungusa, 1994. 

  22. K. H. Kim,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s of Korea clothing fashion industr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p.1-86, 1997. 

  23. J. H. Choi, Fashion marketing, p.1-323, Kyungchunsa, 2008. 

  24. Y. S. Kwon, A study on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pparel fashion industr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p.1-112, 1995. 

  25. S. W. Lee, The dispersion of value chain and the networks of apparel industry in Guro-Gasan, Seou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1-146, 2014. 

  26. H. J. Lee,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through comparison of fashion industry development process between Korea and Japa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5, No.4, pp.351-362, 2003. 

  27. H. J. Lee, M. Y. Kim, Fashion industry and information, pp.1-367, Kyohakyungusa, 2008. 

  28. I. H. Jung, A case study on brand identity of SPA fashion brand and collaboratio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p.1-147, 2012. 

  29. S. Y. Joo, J. S. Ha,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leader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40, No.3, pp. 506-515, 2016. DOI: http://dx.doi.org/10.5850/JKSCT.2016.40.3.506 

  30.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ewspaper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ited n. d.], Available From: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72518&viewTypeconfirm(Accessed Apr. 19, 2019) 

  31. T. H. Kim, S. B. Lee, The power of newspaper, pp.1-195, Communicationbooks, 2006. 

  32. T. S. Oh, H. D. Kang, J. H. Cho, Media and information society, pp.1-433, Nanam Publishing co., 2004. 

  33. S. C. Lee, The understanding of newspaper, pp.1-412, Parkyoungsa, 1997. 

  34. Korea press research institute, Specialized Newspapers in Korea: Survey of Special weekly newspapers, pp.1-324, Korea Press Research Institute, 1991. 

  35. J. C. Lee, The theory of journalism, pp.1-495, Ijin Publishing co., 2000. 

  36. A. E. Park, S. K. Park, "Discourse about education fo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from newspaper with text network", The Journal of Humanities, Vol.42, No.-, pp. 241-265, 2016. 

  37.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etwork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ited n. d.], Available From: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92593(Accessed Apr. 19, 2019) 

  38.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entence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ited n. d.], Available From: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64490&viewTypeconfirm(Accessed Apr. 19, 2019) 

  39. H. S. An,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in fashion design using big data :Focused o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1-182, 2017. 

  40. M. K. Carley, "Extracting team mental models through textual analysi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No.1, pp.533-558, 1997. 

  41. J. Moody, "The structure of a social science collaboration network :Disciplinary Cohesion from 1963 to 1999",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9, No.2, pp.213-238, 2004. 

  42. J. H. Han, J. K. Na, C. B. Kim, "A study of ICT technology convergenc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by using the patent information :Focusing on Kyongbuk area company", The Journal of Intellectural Property, Vol.10, No.3, pp.203-238, 2015. 

  43. H. J. Lee, D. I. Lee, J. H. Lee, "Development of franchise education progra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2, pp. 105-128, 2010. 

  44. S. S. Lee, Methodology of network analysis, pp.1-370, Nonhyung,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