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동향 고찰: KCI등재지를 중심으로
An Study on Privacy Policy Research Trend: Focused on KCI Publishe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81 - 89  

복준영 (신구대학교 스마트사무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2011년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2020년 1월 데이터 3법의 법제화로 인해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지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KCI에 등재된 146편을 연구주제, 연구성격, 연구방법 등의 분류유목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하여 해외 사례비교 연구 및 금융과 핀테크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을 다룬 비중이 높았으며, 기술적으로 보안과 해킹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도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형사적 대안으로 규제 정책을 강화시키는 연구도 활발하였으나 대부분은 규제강화에 중심을 두어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적 측면에서의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정보 활용에 앞서 무분별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정보 활용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Korean privacy policy was legalized in 2011, the related academical researches have been lasted in various fields. Upcoming so-called 3 data laws would be implemented, it is meaningful to review privacy policy studies for explor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total of ...

Keyword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안전, 기술적보완, 정책적 가이드라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지만 본격적인 디지털 환경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할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및 정책에 따른 지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향후 데이터 3법 후속법안 마련을 비롯한 효율적인 디지털 정보의 활용을 추구하는 본원적 가치를 제고하는 측면에서 미래의 향후과제를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최근까지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개인 정보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학술연구(2011-2019년)동 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관련 연구의 체계적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있어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개인정보보호법이 발효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등재 학술지에 보고된 개인정보보호, 프라이버시 보호를 다룬 연구들 중에서 개인정보보호정책으로 제안되거나 정책적 시사점 제의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방법 및 대상별 연구주제별 논문의 구성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학술연구(2011-2019년)동 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관련 연구의 체계적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있어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개인정보보호법이 발효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등재 학술지에 보고된 개인정보보호, 프라이버시 보호를 다룬 연구들 중에서 개인정보보호정책으로 제안되거나 정책적 시사점 제의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방법 및 대상별 연구주제별 논문의 구성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 9월부터 적용된 개인정보보호법 이후 최근까지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주요 연구주제는 무엇이었으며, 둘째, 주요 연구대상과 방법들, 셋째, 연구성격 및 시사점들은 무엇이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의 핵심주제 중의 하나인 보호정책에 관한 학술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내용분석 방법은 주로 조사대상에 대한 직접 적인 접근이 어렵거나 실증적 자료에 대한 보충적 연구가 필요한 경우,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가 너무 방대할 경우 등의 고찰연구에 주로 활용된다[5,8].
  •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학술 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코딩점수가 일치하는 항목을 계산하는 방법인 Holsti 신뢰계수방법을 사용하였다[10]. 전체 146편의 논문을 분석유목 기준에 맞추어 각각 분류를 하고 유목별 분류가 코더 간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파악하였 다. 계산 결과, 91%의 코더 간 신뢰도가 도출되었다.
  • 3%)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는 주로 연역적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의 근간이 되는 법률과 공공데이터를 시계열로 분석하고 해외정책의 유사사례를 비교하는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정책에 따른 법률 판례를 국내 실정에 적용, 비교 해석하거나 국내 미 적용된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정책적 측면, 관리적 측면, 운영적 측면 등으로 분류하여 탐색한 뒤 정책의 효율성과 실효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기존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들은 분석한 연구들에 관한 시사점을 별도로 분석하지 않았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차별성을 위해 시사점분석을 추가로 제시하고자 한다.
  • 개인정보보호정책을 주제로 한 연구는 2011년 9월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된 지 10년이 되는 동시에 산업계에 큰 변화를 기대하는 2020년 1월 데이터 3법 제정으로 인해 학술적, 실무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주제로 다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 호법이 시행된 이후부터 최근까지 보고된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관한 연구(2011-2019)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 로써 향후 데이터 3법의 후속정책 및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달 성을 위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KCI에 등재되어 원문보기가 가능한 연구논문 146편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존 연구동향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게재현황, 연구주제, 연구성격, 연구방법 등 분류유목을 기준으로 내용분석방법 으로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된 2011년 9월 이후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보고된 개인정보보호정책에 관한 751편의 학술적 연구 중, KCI 등재 및 원문읽기가 가능한 146편을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의 정책적 의미를 내용분석을 기반으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류유 목의 기준을 세분화하고 구체적인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분류유목 기준이 일반화되어있지 않아 연구자의 주관적 분류기준을 일부 조정하여 활용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은 무엇인가? 2020년 1월 9일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의 법제화로 모든 산업에서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안전한 기술적 처리(비식별화)를 끝내면 가명·익명 정보를 산업적 연구, 상업적 통계 목적으로 개인동의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은 개인정보 관련 내용을 모두 개인정보보호법 으로 이관하며 신용정보법 개정안은 상업 통계 작성, 연구, 공익적 기록 보존 등을 위해 가명 정보를 신용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이용·제공이 핵심이다 1) .
전통적 관점의 프라이버시와 비교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에서의 프라이버시는 어떤 논의가 필요한가? 전통적인 관점에서 프라이버시는 기본적 인권 으로 다양한 차원에서 정의되고 논의된 반면, 최근의 연구 동향에서는 주로 온라인상의 개인정보보호라는 정보 차원의 프라이버시를 주로 논의하고 있기 때문이다[13]. 즉 실명이 아닌 가명·익명정보의 제한적 활용, 2015년 이후부터 꾸준히 논의된 빅 데이터내의 개인정보허용범 위와 수준, 특히, 출입국관리소에 보관되어 있는 약 9천 만건의 안면인식 데이터와 2022년까지 순차적 공개 가능한 40만 건의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의 개인정보 활용및 이에 따른 사이버 보안 등 논의의 확대가 필요하다 [14]. 또한 정책의 개발과 개선은 국민의 직접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규칙의 제정과 운영을 포함하기 때문에 정책분야에서는 법학, 사회과학, 및 공학 등의 계열 간, 학제 간 융합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14].
국내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은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가? 국내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은 ‘생존하는 개인을 식별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일체의 정보로, 해당 정보만 으로는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1]. 2011년 9월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기 이전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해서는 공공부문 특히 행정기관만을 대상으로 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이 있었으며 금융기관 등 민간부문의 개인 정보보호 규정은 아예 없었고, 자율규제라는 명목으로 적정한 취급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 머물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M. Jeon & T. S. Shon. (2016). Research on Institutional and Technical Improvement Regarding on the Collection and Application of Non-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6(6), 1583-1592.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6.1583 

  2. K. Y. Byun, S. Y. Lee & S. H. Kim. (2016). Trends of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in Korea: Research topic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1), 121-145.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33912 

  3. Sheldon, Pauline J. (1991). An authorship analysis of tourism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3), 473-48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16073839190053E 

  4. J. Y. Bok. (2019). 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Facility Management: Focused on the KCI Journals(2008-2018), Journal of Korea Facility Management Association, 14(1), 35-4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82891 

  5. K. Y. Chung, S. Y. Lee & Y. J. Seo. (2005). A Study of Trends in the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A Content Analysis of 10-year Issues from 1993-2003,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4(2), 191-204 http://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2483916 

  6. M. K. Kim & B. K. Kim. (2014). 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Korean Wave(Hallyu) Tourism: Focused on the KCI Journals(2003-2012),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3(3), 1-1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84686 

  7. W. S. Seo & J. A. Baek. (2009), Analysis of the Academic Research Trend of Destination Image,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8(2), 299-309 http://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2484240 

  8. C. K. Hwan (2003).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15(1), 11-29 http://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0931083 

  9. K. Y. Chung, S. Y. Lee & Y. J. Seo. (2005). A Study of Trends in the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A Content Analysis of 10-year Issues from 1993-2003,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4(2), 192-204.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83916 

  10. Holsti, O.R.(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 Addison-Wesley. 

  11. B. K. Chae. (2002). Social Science Methodology. Seoul: SeYeong. Publishing. 

  12. A. Charnes, W. W.Cooper & E.Rhodes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377221778901388 

  13. S. Y. Lee, S. W. Kim & H. S. Lee. (2019), A Study on the Privacy Awareness through Bigdata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49-58 http://dx.doi.org/10.14400/JDC.2019.17.10.049 

  14. D. Y. Lim & S. C. Yoo. (2018). Systematization and Proposal of Future Policy Tasks for the Proper Use of Facial Recognition Digital Signage - Focused on Consumer Privacy and Industry Promo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20(4), 180-230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56851&languageko_KR 

  15. W. Mun. (2013). Protection of Privacy : From myth to norm. A Policy Reports for the Improvement of Legal Protection System in Personal Information.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16073839190053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