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빙랩을 활용한 지역혁신과 산학협력 촉진방안
A Study on the Promotion of Regional Innovation and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Using Living Lab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121 - 127  

김영미 (상명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 산업의 혁신과 공공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상생 개념을 적용한 동반 성장이 필요하다. 지역상생은 본질적으로 지역 간 균형 또는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보완적 협력을 통해 동반 성장을 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 차원의 산학협력 현황을 중심으로 리빙랩을 활용한 사례를 도출하고 이의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자율적으로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 경쟁력 확보 차원의 연계 효과를 제고 하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역의 현안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기제인 리빙랩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실효성 있는 접근이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지역의 발전을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상생 협력을 위한 협력체제 구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수단이 연계되어야 한다. 지역의 대학과 기업 및 지자체가 함께 하는 협력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리빙랩을 활용한 문제해결 사례는 그 의의가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novation in local industries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s require, among other things, shared growth with the concept of regional co-prosperity. Regional co-prosperity is essentially aimed at bridging regional balance or regional gaps, which means a relationship that can achieve shared g...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 기반의 기업과 대학의 상생협력의 의의를 중심으로 함의를 파악한다. 나아가 리빙랩을 활용한 지역문제의 도출 및 해결기제를 강화하여 지역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쟁점을 중심으로 접근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다.
  • 지역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지자체의 역할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지역 간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특히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의 상실감이 커짐에 따라 지역혁신주체들을 중심으로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 기반의 기업과 대학의 상생협력의 의의를 중심으로 함의를 파악한다. 나아가 리빙랩을 활용한 지역문제의 도출 및 해결기제를 강화하여 지역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쟁점을 중심으로 접근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별 지속적인 상생협력을 위해서는 어떠한 체계가 필요한가? 최근 자치단체는 자율적으로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 경쟁력 확보 차원의 연계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지속적인 상생협력을 위해서는 정부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상생협력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제와 지역 발전적 관점에서 상호보완적 기능분담 및 협력 시스템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지역균형발전은 오랜 기간 걸쳐 지속되어 온 주제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성장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현실적 과업이기도 하다.
새로운 혁신모델로써 리빙랩이 가진 강점과 한국적 환경에서의 정책적 함의는 우엇인가? 특히 혁신정책에서 ICT 활용의 강화와 함께 사용자의 수요와 개발 성과의 확산, 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접근법을 강조하고 있다. 리빙랩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ICT인프라를 활용하여 직접 개발 활동 및 혁신주체 간 연계, 사용자 경험 활용이 용이하다는 점을 강점으로 꼽는다. 무엇보다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과학기술·ICT기반 서비스 개발을 수행하는 리빙랩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혁신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도 신기술 기반의 리빙랩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가 있었고, 최근에는 스마트 도시재생, 지역의 경쟁력 강화라는 여러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지역사회의 역할 강화, 협업구조, R&D 프로세스 등의 설계에 있어 사용자 참여와 숙의가 강조된다[15-18].
지역혁신은 무엇인가? 지역혁신은 새로운 환경 변화 속에서 지역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기술 혁신과 연계하여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다. 지역혁신은 국가 혁신의 개념을 지역에 적용한 것으로 한 지역의 공간적 범위에서 기술혁신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는 종합적이고 집합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6]. 지역혁신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 .D. Hong. (2002).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Role Model of National Industrial Universities, KAPA, The Presentation of the Fall Conference. 1-18. 

  2. K. S. Lee, K. S. Kwon & Y. P. Chun. (2005). An Empirical Study on Regional Innovation Governance in a Local Government: the Case of Pohang City, KPAR, 39(4), 39-62. 

  3. S. C. Ko. (2004). Regional Innovation Theory and Strategy, Seoul:Daeyoung publish. 

  4. J. W. Yoo. (2003). Korean Local Political Theory, Seoul:Bakyungsa. 

  5. Y. P. Chun. (2003). Building a Governance Model for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Policy Participation Level of Public-Public NGOs, KJPS, 41(1), 47-71. 

  6. J. E. Sung, K. Y. Han, W. J. Song & M. S. Kim. (2019). Current Status and Tasks of Campus Living Labs as a New Model for Innov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26(2), 171-195. 

  7. H. I. Jin, J. Y. Kang, D. S. Choi & M. S. Lee. (2020). The effect of Living-Lab project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NEETs, Innovation Studies, Korea Society of Innovation, 15(1), 251-272. 

  8. H. T. Leem. (2019). Nature and Sources of Business Values in Digital Social Innovation,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KIICE, 23(8), 950-958. 

  9. A. S. Halibas, R.O. Sibayan & R. L. R. Maata. (2017). The Penta Helix Model of Innovation in Oman: An HEI Perspective,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Management, Informing Science Institute, 12. 159-174. 

  10. J. A. Ok. (2019.4). a meeting of people and regions: Living Lab Solves Regional Problems.Issue & Analysis, GRI, 367. https://www.gri.re.kr/%ec%9d%b8%ed%8f%ac%ea%b7% b8%eb%9e%98%ed%94%bd%ec%8a%a4/?brno13261&p rno6505. 

  11. H. S. Shon, (2018), A study and case study of Living Lab. Journal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Public Administration, KSUPA, 144-155. 

  12. J. E. Sung & M. S. Kim. (2018). Living Labs as a Model for University Innovation, Journal of Engeering Educational Research, KSEE, 18(1), 118-127. 

  13. H. J. Kim & M. A. Jung. (2017). Policies for Urban Innovation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 Innovation Districts and Data-Driven Smart Citi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EPI. 

  14. H.Etzkowitz & L. Leydesdorff. (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 109-123. 

  15. Y. M. Kim. (2019). Digital-Based Regional Innov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motion Plan, Korea's Balanced Development in 2019 a policy fair Presentation Paper. 1-23. 

  16. Y. M. Kim. (2018). Power to change the city! Find in companies and universities. Local Information Magazine, KLID,(11-12). 66-69. 

  17. Y. M. Kim. (2019). In the Regional Information Begin again Government Innovation, Local Information Magazine, KLID,(11-12). 52-55. 

  18. Y.M.Kim.(2017). Paradigm Change and Strategy of Government Servic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 Focused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Seoul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SDPM, 15(2), 59-65. 

  19. T. Y. Kim, W. S. Seol, Y. I. Lee & H. J. Ko. (2019). Research for activation of new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SDPM, 17(12), 77-82. 

  20. M. Harbers, P. Waart & E. Visser. (2015). Value Sensitive Design of Smart Cities, Conference Paper, (8). 

  21. A. Kleibrink & S.Schmidt.(2015). Communities of Practice as New Actors: Innovation Labs Inside and Outside Government. in Open Innovation Yearbook 2015. European Commission. (53). 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