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leep time an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263 - 272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에 참여한 40-64세 여성 1,617명으로,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 9시간 미만인 여성에 비해 5시간 미만인 여성에서 자살생각이 3.6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면시간과 우울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자살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에 적절한 수면시간 유지를 위한 중재전략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며,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인 중년 여성은 우선적인 중재 대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leep time an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7 women aged 4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 년도(2017)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 9시간 미만인 여성에 비해 주말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인 여성에서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보정한 후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므로, 중년 여성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에 대해 논의한 후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 생각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년 여성의 우울 및 자살 예방과 관리를 위한 중재를 제공함에 있어 수면시간을 중재 요인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년 여성의 우울 및 자살 예방과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중년 여성의 우울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갱년기 증상[15], 건강상태 [4], 스트레스[4,5,16], 사회적지지[5,16] 등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중년 여성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며[14], 청소년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주관적 체형인지와 수면시간[3], 스트레스, 건강수준, 교육수준, 흡연, 및 음주[17], 결혼상태와 자녀 연령[18] 등을 보고하고 있다.
갱년기 이후 여성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증상은? 여성의 경우 중년기에 폐경과 갱년기를 경험하게 되는 데, 폐경 이행기에서부터 폐경 후기에 걸쳐 나타나는 신체적, 정서적 증상들은 중년 여성으로 하여금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경험하게 한다[4,5]. 이로 인해 중년 여성은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할 수 있는데, 특히 갱년기 이후 여성에서 가장 많이 우울증으로 이행하기 때문에[6], 우울은 중년 여성의 중요한 건강문제로 인식되고 있다[5,7,8]. 중년 여성의 우울 관련 선행연구에서 중년 여성은 중년 남성에 비해 중등도 이상의 우울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남을 보고하면서 중년기의 우울이 노인기까지 지속되지 않도록 중년기부터 조기에 정신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였고[9], 중년 여성의 우울은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건강문제로 이에 대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고 대책 마련 또한 시급한 상황임을 보고하고 있다[7].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 생각의 연관성은? 또한 우울 및 자살생각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이러한 요인들 이외에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련성도 보고하고 있으나[11,19],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해 파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수면은 피로 회복과 항상성 유지뿐 아니라 낮 동안 경험하였던 불쾌한 감정들을 꿈과 정보 처리를 통해 조절하게 하므로[20], 짧거나 긴 수면시간을 가지는 경우 우울 및 자살생각이 증가할 수 있다[21]. 중년 여성의 경우 폐경이 진행되는 폐경기 동안 수면장애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 B. Bosworth et al. (2001). Depressive symptoms, menopausal status, and climacteric symptoms in women in midlife. Psychosomatic Medicine, 63(4), 603-608. DOI : 10.1097/00006842-200107000-00013 

  2. S. Yang et al. (2016).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5th ed). Seoul: Hyunmoonsa. 

  3. Y. R. Chin, H. Y. Lee & E. S. So. (2011).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6(4), 429-39. DOI : 10.1007/s00038-011-0245-9 

  4. E. K. Han. (2018).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women in the postmenopausal: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59-67. DOI : 10.22156/CS4SMB.2018.8.1.059 

  5. J. N. Sohn. (2018).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Focused on quality of life on menopause.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3(2), 148-157. DOI : 10.21032/jhis.2018.43.2.148 

  6. M. Azizi, E. Fooladi, M. Masoumi, T. G. Orimi, F. Elyasi & S. R. Davis. (2018).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risk factors in midlife women in the Middle East: A systematic review. Climacteric :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Menopause Society, 21(1), 13-21. DOI : 10.1080/13697137.2017.1406908 

  7. Y. H. Kim & A. L. Kim. (2019). Effect of mid-life crisis on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ego-ident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6(1), 150-159. DOI : 10.21086/ksles.2019.02.26.1.150 

  8. K. A. Shin. (2018). Effect of the cinema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511-522. DOI : 10.14400/JDC.2018.16.10.511 

  9. Y. J. Lee. (2018).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An analysis of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49-559. DOI : 10.15207/JKCS.2018.9.10.549 

  10. G. C. Hung, C. L. Kwok, P. S. Yip, D. Gunnell & Y. Y. Chen. (2015). Predicting suicide in older adults: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in Taipei City, Taiwa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72(1), 165-17. DOI : 10.1016/j.jad.2014.09.037 

  11. E. H. Hwang & M. H. Park.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time and suicidal ideation in adults over the age of 20.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420-427. DOI : 10.5392/JKCA.2016.16.05.420 

  12.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9. DOI : 10.22156/CS4SMB.2018.8.2.001 

  13. K. Suominen, E. Isometsa, J. Suokas, J. Haukka, K. Achte & J. Lonnqvist. (2004). Completed suicide after a suicide attempt: A 37-year follow-up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1), 562-563. DOI : 10.1176/appi.ajp.161.3.562 

  14. H. M. Park & H. S. Lee. (2013). Influencing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the Korean middle ag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4), 323-329. 

  15. S. J. Kim & S. Y. K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76-87. DOI : 10.4069/kjwhn.2013.19.3.176 

  16. Y. K. Oh & S. Y. Hwang. (2017). A path analysis on the effect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579-588. DOI : 10.14400/JDC.2017.15.10.579 

  17. E. Park. (2014). Suicide ideation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by gender.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9(3), 161-175. DOI : 10.5393/JAMCH.2014.39.3.161 

  18. T. Forkmann, E. Brahler, S. Gauggel & H. Glaesmer. (2012).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German general popul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5), 401-405. DOI : 10.1097/NMD.0b013e31825322cf 

  19. S. S. Bea. (2018). Relationships between sleep duration and depression or suicidal thought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4), 219-228. DOI : 10.12811/kshsm.2018.12.4.219 

  20. S. S. Lee, B. N. Kim, S. Park & M. H. Park. (2017).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patters of middle school student in Seou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56(2), 78-83. DOI : 10.4306/jknpa.2017.56.2.78 

  21. N. F. Watson et al. (2014). Sleep dur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 gene-environment interaction. Sleep, 37(2), 351-358. DOI : 10.5665/sleep.3412 

  22. F. C. Baker, L. Lampio, T. Saaresranta & P. Polo-Kantola. (2018). Sleep and sleep disorders in the menopausal transition. Sleep Medicine Clinics, 13(3), 443-456. DOI: 10.1016/j.jsmc.2018.04.011 

  23. J. L. Shaver & N. F. Woods. (2015). Sleep and menopause: A narrative review. Menopause, 22(8), 899-915. DOI : 10.1097/GME.0000000000000499 

  24. D. Ameratunga, J. Goldin & M. Hickey. (2012). Sleep disturbance in menopause.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42(7), 742-747. DOI : 10.1111/j.1445-5994.2012.02723.x 

  25. Q. Xu & C. P. Lang. (2014).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leep disturbance and menopau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opause, 21(12), 1301-1318. DOI : 10.1097/GME.0000000000000240 

  26.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2018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7. M. G. Lima, M. B. A. Barros, M. F. Ceolim, E. Zancanella & T. Az M. O. Cardoso. (2018). Sleep duration,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well-being: A population-based study. Levista de Saude Publica, 52, 82. DOI : 10.11606/S1518-8787.2018052000602 

  28. H. S. Lee, C. Kim & D. Lee. (2016).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1), 1-10. DOI : 10.15384/kjhp.2016.16.1.1 

  29. K. Yu. (2012).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and anxie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 9(2), 31-44. 

  30. C. Park & J. Lee. (2010). Differential gender effects of family disorganization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0(1), 142-169. 

  31. H. J. Chae & M. J. Kim. (2019). Health behavior, health service us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5(3), 299-314. DOI : 10.4069/kjwhn.2019.25.3.299 

  32. M. K. Choi. (2013).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health status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3), 25-34. DOI : 10.14367/kjhep.2013.30.3.025 

  33. J. E. Kim, H. Chung & Y. Nam. (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for policy improvement: Focusing on Gyeonggi province with secondary data analys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3(3), 463-488. 

  34. H. Lee, W. Chung, S. Lim & E. Han. (2018). Association of a combination between actual body mass index status and perceived body image with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in Korean men and women: The Fifth and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8(1), 3-14. DOI : 10.4332/KJHPA.2018.28.1.3 

  35. E. Lee. (2017).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perception and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6), 3331-3343. 

  36. E. Shin. (2018).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depression or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Anxiety and Mood, 14(1), 21-27. DOI : 10.24986/anxmod.2018.14.1.21 

  37. C. Augner. (2011). Associations of subjective sleep quality with depression score, anxiety, physical symptoms and sleep onset latency in student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2), 115-117. 

  38. W. R. Pigeon, M. Pinquart & K. Conner. (2012). Meta-analysis of sleep disturbance and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3(9), 1160-1167. DOI : 10.4088/JCP.11r07586 

  39. H. Blasco-Fontecilla et al. (2011). Short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suicidal behavior: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3(1), 239-246. DOI : 10.1016/j.jad.2011.04.003 

  40. M. R. Nadorff, S. Nazem & A. Fiske. (2011). Insomnia symptoms, nightmares, and suicidal ideation in a college student sample. Sleep, 34(1), 93-98. DOI : 10.1093/sleep/34.1.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