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in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347 - 356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임희수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성인 중 연구에 동의한 1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결과 치매 지식 정도는 8.17점(12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7.14.점(10점), 치매예방에 대한 교육요구도 정도는 4.56점(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변수와 각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치매교육요구도는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치매교육에 대한 관심정도에서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예방교육 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고 치매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치매의 조기발견과 예방행위에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성인을 위한 치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개별적인 중재전략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needs of preventive education for dementia in adult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ementia in adults. It collected data from 127 adu...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 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성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지식 정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치매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요구도는 무엇인가? 교육요구도는 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내용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요구도 분석을 통해 대상 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이다[14]. 실제로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으로 어떤 교육내용을 요구하는 지 대상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공되고 있는 교육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치매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치매는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인지기능이 떨어지고 일상생활수행 능력이 저하되며, 사회적, 직업적 기능이 저하되므로 직업 및 사회활동, 대인관계에 제한을 받게 될뿐만 아니라[5,6], 가족에게 정신적 고통과 사회·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게 된다.
치매 질환의 심각성과 지속적인 특징은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최근 핵가족화의 확산,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사회적 현상으로 인하여 장시간에 걸친 치매가족의 부양은 부담감을 증가시키게 된다[7]. 또한 질환의 특성상 심각 성과 지속적인 특징으로 가족의 신체적, 경제적 부담을 경험하고 우울증, 의욕저하 등의 심리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7]. 이러한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의 문제로 인해 가족을 ‘보이지 않는 제 2의 환자 (invisible second patients)’라고 하기도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Global Trends of Dementia Policy 2019, NIDR-1901-0027. 

  2.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ADI). (2018). World Alzheimer Report 2018. 

  3.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6). Nationwide Survey on the Dementia Epidemiology of Korea. No. 11-1352000-002053-01.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5. L. J. Fitten. (2006). Management of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s in dementia,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0(5), 409. 

  6. M. S. Yoo, Y. S. Kim & K. S. Kim. (2010). A study abou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urden and coping ability for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J Korea Gerontol Soc, 30(4), 1117-1127. 

  7. J. M. Kim, I. S. Shin & J. S. Yoon. (2001). Determinants of care burden of caregiver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6), 1106-1113. 

  8. H. Brodaty & M. Donkin. (2009).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1(2), 217-228. 

  9. Ministry of Health-Welfare (2015). Research on Establishing the Third Comprehensive Plan of National Dementia Management(20162020). Research report. Report No. 11-1352000-001553-01 

  10. S. J. Ko & S. H. Shin. (2013).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Dyadic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2), 276-286. 

  11. E. J. Kim & J. Y. Jung. (2015).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1), 107-117. 

  12. K. A. Kim, K. A. Kim & M. R. Sung. (2011). A study on the level of dementia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care worker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6, 23-51. 

  13. Y. W. Lee, S. M. Woo, O. R. Kim, S. Y. Lee & H. B. Im. (2009). Relationships between dementia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low income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6), 617-627. 

  14. G. D. Borich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15. R. M. Crum, J. C. Anthony, S. S. Bassett & M. F. Folstein. (1993).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ama, 269(18), 2386-2391. 

  16. E. M. Zelinski & M. J. Gilewski. (2003). Effects of demographic and health variables on Rasch scaled cognitive score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5(3), 435-464. 

  17. E. M. Zelinski, E. Crimmins, S. Reynolds & T. Seeman. (1998). Do medical conditions affect cognition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17(6), 504. 

  18.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11). Survey on Dementia Awareness by the citizens of Seoul. Research report. Seoul Metropolitan: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19. M. McManus & P. Devine(2011). Dementia: public knowledge and attitudes, ARK Research Update 77, Belfast: ARK 

  20.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09).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report.. 

  21. H. J. Seo, D. Y. Lee & M. R. Sung. (2015). Public knowledge about dementia in South Korea: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7(3), 463-469. https://doi.org/10.1017/S1041610214001896 

  22. I. J. Cho. (2019). Lifestyle Behaviors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2), 455-468. 

  23. M. G. Isaac, M. M. Isaac, N. Farina & N. Tabet. (2017).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in adolescent students, Journal of Mental Health, 26(5), 419-425. DOI: 10.1080/09638237.2016.1207234 

  24.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15). Survey on Dementia Awareness by the citizens of Seoul. Research report. Seoul Metropolitan: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26. K. M. Kim & Y. O. Yang. (2016).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f the Elderly Lived in the Urban-Rural Complex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485-492. https://doi.org/10.5762/KAIS.2016.17.1.485 

  27. M. S. Kwon & J. H. Lee. (2017). Analysis of Knowledge, Attitude and Service Requirements about Dementia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 177-185. 

  28. J. H. Kim. (2007). Attitudes Toward General Elders and Elders with Dementia Among Baccalaureate Ju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601-610. 

  29. J. E. Yoo. (2019). Recent Changes and Challenges in National Dementia Policy in Korea. Health-Welfare Policy Forum, 276, 6-18. 

  30. K. A. Kim, K. A. Kim & M. R. Sung. (2011). A study on the level of dementia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care worker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6, 23-51. 

  31. E. H. Hwang, B. K. Kim & H. R. Kim. (2013). A Study on Dementia-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6(2), 133-140. DOI: https://doi.org/10.7587/kjrehn.2013.133 

  32. H. J. Kim & D. Y. Jung. (2015). A Study of Cognitive Impairment,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Dement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5(3), 731-743. 

  33. S. R. Kim, K. A. Sargent-Cox & K. J. Anstey. (2015). A qualitative study of older and middle-aged adul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and dementia risk reduc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7), 1694. doi:http://dx.doi.org/10.1111/jan.12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