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461 - 467  

강혜자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9명의 대학생들에게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을 한 결과,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에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잇점이 부각되었고, 생활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낮추고 주관안녕을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 제고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27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was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ed of concerning lif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단순히 내외통제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을 다루었지만,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면, 내적통제자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문제해결적 대처를 함으로써 스트레스의 지연이 아닌, 스트레스의 실제적 제거나 감소의 결과를 내고 따라서 외적통제자들보다 주관안녕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처방식이 주관안 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들은 있지만, 특정 유형의 대처를 하게 하는 내적 성향으로서의 내외통제가 중요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 간의 관계에서 내외통제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다룬 연구는 미흡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다루어보려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 및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가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관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 다룬 네 개의 변인들 간에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다.
  • 이러한 연구들[1, 2, 15]을 참고하면, 개인적 특성이나 성향이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 반응 및 주관안녕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가 스트레스와 주관안녕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andura[16]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목표산출에 필요한 행동과정을 조직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기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
  • 달리 해석하자면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스트레스를 덜 지각하고 수행노력을 많이 함으로써 실제수행을 높이고 이로 인해 주관안녕이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 있음이 시사된다. 선행연구에서는(예, [1])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이라는 정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삶의 만족)을 포괄하는 주관안녕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요컨대, 상술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또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가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행복의 심리적 지표라 할 수 있는 주관안녕(subjective well- being: SWB, 혹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가 매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stress)의 발생원인은? 스트레스(stress)는 한 개인이 지각하는 능력이 상황의 요구에 충분히 따라가지 못할 때 발생한다[3]. 그런데 스트레스 연구자들은 스트레스를 정의하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크게 세 가지로 구분이 된다.
귀인(attribution)의 정의 또한 개인의 성향인 내외통제도 스트레스 및 주관안녕과 유관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들은 특정 사건이나 자신에게 발생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고자 하는데, 이를 귀인(attribution)이라 한다. 이러한 귀인의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이 내외통제이다.
스트레스의 영향에 개인차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스트레스의 영향에 있어서 개인차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인차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self-efficacy)[1]과 내외통제(locus of control)[2]라는 변인을 상정할 수 있다.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행복의 심리적 지표라 할 수 있는 주관안녕(subjective well- being: SWB, 혹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가 매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S. Lee & S. Y. Lee.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4), 239-248. 

  2. J. K. Lee, Y. S. Jang & P. R. Jung.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1, 468-469. 

  3. H. K. Jang & S. K. Kang. (1996). Stress and mental health. Hakjisa: Seoul. 

  4. R. S. Lazarus & J. B. Cohen. (1977). Environmental stress. Plenum, New York. 

  5. H. Selye. (1956). Stress and Psychiatr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5), 423-427. 

  6.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7. J. Y. Park & J. K. Kim. (2014).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university student's suicide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pathway of family and friend's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 167-189. 

  8. V. R. Wilburm & D. E. Smith.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ce, 40(157), 33-46. 

  9. H. J. Kang. (2012). Procrastin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Discourse 201, 15(1), 67-92. 

  10. N. M. Kim & S. S. Kim. (2013).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2), 1125-1144. 

  11. O. H. Lee. (2012).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9(1), 29-57. 

  12. N. E. Kim.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13(4), 1-19. 

  13. M. Shi, X. Wang, Y. Bian & L. Wang. (2015).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BMC Medical Education. 15(16), 1-7. 

  14. C. Segrin, A. Hanzal, C. Donnerstein., M. Taylor, & T. Domschke. (2007). Social skil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tress. Anxiety, Stress, & Coping, 20(3), 321-329. 

  15. H. Kang. (2018).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A. Bandur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17. J. H. HA & H. I. Jo.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perfectionism, stress, the ways of stress coping, self-efficacy, colleg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7(2), 595-611. 

  18. J. B. Rotter.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1), 300-303. 

  19. K. M. Chang. (1984). The study on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concepts of normal adolesc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 K. K. Chon, K. H. Kim, & J. S. Lee.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21.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2. H. Y. Hong. (1995).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J. H. Cha, J. J. Kong & C. S. Kim(1973). Construction of the locus of control scale. Research Note, 2, 263-271. 

  24. D. Watson, L. A. Clark & A. Tellegen.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25. J. S. Lee. (1991).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extrovert and neuroticism on subjective well-being.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6.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 S. Griffin.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7. Y. J. Lyu. (1996). Effects of personality and the level of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