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S기반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NCS확산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221 - 231  

최연숙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직무능력은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스킬이나 기술 외에도 조직의 구성원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NCS기반 교육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ompetency is defin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common skills required to be a member of an organization,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necessary to perform the task, in addition to the skills necessary to perform the task in the fiel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업계와의 연계성이 높은 실무지향적 전공을 중심으로 한 NCS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와 체계에 대한 사례연구나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수 백 개에 이르는 다양한 대학의 학과와 전공의 요구를 대변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 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차별적 가치를 주장할 수 있다. 또한 NCS기반교육·훈련과 정에 대한 정책 방향을 국가가 이끌어가기는 하지만, 교육 기관의 교육?훈련프로그램과 산업현장을 적절히 연결해 줄 수 있는 인프라와 이를 주도적으로 관리해야 할 주체가 존재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시사점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NCS 기반 교육과정 관련 연구결과를 입술이라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 과정 확산의 방향과 당위성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성적 분석을 시도하였지만, 실증자료가 뒷받침하지 못했다는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밖에 없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NCS기반 교육훈련 프로그 램과 이와 유사한 개념의 역량기반교육(competency -based education)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핵심요인, 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 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차별적 가치를 주장할 수 있다. 또한 NCS기반교육·훈련과 정에 대한 정책 방향을 국가가 이끌어가기는 하지만, 교육 기관의 교육?훈련프로그램과 산업현장을 적절히 연결해 줄 수 있는 인프라와 이를 주도적으로 관리해야 할 주체가 존재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시사점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국가가 주도적으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여러 국가가 주도적으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이유는, 우선 산업현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교육기관이 산업 현장의 요구와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경제와 산업 및 기술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직무능력표준을 국가 주도로 개발하고 공유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직업교육·훈련 및 자격제도를 혁신 화하고 개인이 전문지식과 기술변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효율적으로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4].
직무능력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직무능력은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스킬이나 기술 외에도 조직의 구성원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NCS기반 교육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직무능력의 표준화 정책의 개발이 언제 시작되었는가? 이런 상황을 일부나마 극복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은 2008년부터 평생학습 및 국가 간 인력이동 촉진을 위해 European Qualification Framework, 즉 국가역량체계라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산업현장의 인적자원 개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을 중심으로 2013년부터 국가주도의 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Competency는 능력 또는 역량으로 흔히 번역되지만 NCS 체제하에서는 직무능력으로 번역되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M. S. Noh. (2018). International Comparison of Youth Employment Rate and Policy Implications.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 

  2. S. Lester & J. Religa. (2017). Competence and occupational standards: observations from six European countries. Education+Training, 59(2), 201-214. 

  3. H. N. Moon, D. Y. Kim, J. Y. Kim, M. W. Lee & J. H. Hyun. (2016). Trend Analysis of Policy related to NCS System in Major Countries, KRIVET. 

  4. D. K. Kim & C. B. Kim. (2015). Interactive Evaluation Model for Gab Analysis of NCS Competence Element and Curriculum Using R and Shiny. Journal of KIIT, 13(10), 171-179. 

  5. S. J. Kang & M. A. Jeon. (2015).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NCS-based Job Qualifications, and Jobseekers' Understanding on Them.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5(2), 130-152. 

  6. J. Mitchell, J. (2015). Electronic documentation: Assessment of newly graduated nurses' competency and confidence level. Online Journal of Nursing Informatics, 19(2). http://www.researchgate.net. 

  7. J. Gervais. (2016).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1(2), 98-106. 

  8. P. A. Book. (2014). All hands on deck: Ten lessons from early adopter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oulder, CO: WICHE Cooperative for Educational Technologies (WCET). 

  9. D. Riesman. (1979). Society's demands for competence. In G. Grant, P. Elbow, T. Ewens, Z. Gamson, W. Kohli, W. Neumann, V. Olesen & D. Riesman (Eds.), On competence: 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pp. 18.6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Inc. 

  10. M. A. Albanese, G. Mejicano, M. W. Anderson & L. Gruppen (2008).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agony and the ecstasy.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5, 439-454. 

  11. S. M. Johnstone & L. Soares. (2014). Principles for develop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Change, 46(2), 12-19. 

  12. https://www.ncs.go.kr 

  13. Y. J. Lim & D. M. Son. (2016).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Korea throughou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Education, 41(2), 48-68. 

  14. E. M. Choi, H. J. Lee, O. N. Kim & Y. H. Choi. (2015).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229-238. 

  15. H. K. Shin.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tional Competencies Related to Coffee-Related Private Certificates on Job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tention - Survey For Coffee-Related Industry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9-21. 

  16. S. H. Min. (2015). A Case Study on the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ecretar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4(2), 53-74. 

  17. M. S. Gee, H. K. Noh & Y. M. Han. (2014).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Automotive Maintenance. Transactions of the KSME C: Industrial Technology and Innovation, 2(2), 81-87. 

  18. K. H. Kim, H. S. Ha & E. S. Woo. (2015). An Introduction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Lodging Service Categor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0(3), 1-20. 

  19. S. H. Suh & S. Y. Lee. (2015). A Study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1), 46-60. 

  20. J. H. Jeon.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Based on the Human ICT K University.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9, 35-61. 

  21. Y. H. You & J. W. Kim. (2014).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Design NCS with the Application of BIM Design. Korea Science & Art Forum, 17, 281-292. 

  22. H. J. Jun & K. H. Cho. (2018). A Proposal on Reorganizing the NCS System of Accounting and Auditing Duty according to KQF. Korean Accounting Research, 23(1), 237-260. 

  23. J. Y. Ahn & C. J. Lee. (2018).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al Research, 37(2), 1010-127.. 

  24. K. M. Park. (2018).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NCS-base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43(1), 134-157. 

  25. W. Y. Yun & W. I. Jung. (2017).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and Improving Proposals of NCS-based Curriculum for Tax & Accounting Department in Colleges. Korean Accounting Journal, 26(6), 337-363. 

  26. S. Y. Lim, Y. H. Park, J. Y. Kim, H. J. Woo, M. S. Lim & W. C. Kim. (2018).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NCS Core Competency Tests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Self-development Skill, Organizational Skill and Resources-management Skil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al Research, 37(2), 1-18. 

  27. J. W. Lee & J. Y. Kim. (2016).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NCS Vocational Competenc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al Research, 35(5), 75-96. 

  28. J. H. Choo, T. H. Yoon & M. G. Hwang. (2018). Applying National Inability Standard (NCS) for Developing Customized Curriculum in Sports Industry. The Korea Journal of Sport, 16(2), 325-334. 

  29. Y. H. Choi & S. J. Shon.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ograming of NCS-Based Hotelier Training. Journal of Hotel & Resort, 17(3), 105-118. 

  30. K. E. Kim, J. R. Kim & H. J. Woo. (2017).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s, human resource manager on NCS basic job skil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4), 12-20. 

  31. J. M. Im. (2017).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dustry for Strengthening NCS Field Job: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Beauty Desig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8(6), 841-855. 

  32. Y. D. Lee & G. B. Jung. (2018). A Study on the Direc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Based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8(2), 97-1150 

  33. C. J. Lee. (2018). Analysis of Competence and Demands of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regarding Competence to Organize, Operate NCS-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43(1), 58-75. 

  34. J. H. Choo. (2018). Exploring the Necessity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National Office Capacity Standards (NCS) Applic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 16(4), 45-54. 

  35. J. S. Kim & K. Y. Kim. (2018). Exploratory Research on Future Tasks of NCS based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7(1), 237-265. 

  36. J. S. Kim. (2017). A Polic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 and Challenges. Korea Labor Institute. 

  37. S. J. Jeong, M. H. Woo & S. J. Kang. (2016). A Meta-Analysis on the Employment Effect Sizes of Vocational Training Courses Apply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5), 51-74. 

  38. H. C. Song. (2017).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N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151-156. 

  39. Y. S. kim & S. J. Jang. (2018).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NCS Learning Module in Accounting Field on the Job Ability of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1(3), 115-136. 

  40. H. J. Lee & G. J. Kwon. (2018). Analysis of Relevance between Accounting.Tax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pply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Koren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79, 127-147. 

  41. M. J. Kim & K. H. Lee. (2018). The Influence of Learner-centered Teaching & Learning Method using NCS Learning Modules on Competency for Office Administration : Focused on Specialized High School in Chungnam Province.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2(2), 1-31. 

  42. H. S. Lee. (2017). A study on the certification curriculum in NCS food and beverage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2(1), 85-105. 

  43. B. K. Jang & J. Y. Kim. (2015). The Effect of NCS-based Career Development System and the Vocational Training System on Corporate Performance.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4(2), 19-41. 

  44. J. H. Choi, S. J. Nam & J. M. Lee. (2018). A Study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6(2), 1-26. 

  45. S. Y. Park, H. Park & H. K. Ha. (2018). Adequacy analysis of the logistics curriculum based on NCS using the factor analysis. Korea Logistics Review, 28(2), 21-36. 

  46. O. K. Kwon, T. Y. Park & J. M. Byun. (2018). Study on the Usefulness of NCS Based Applied Music Education-Focused on Perception by Teachers. Culture and Convergence, 40(4), 785-810. 

  47. G. J. Lee.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f the NCS-based Education of Cabin Crew Emphasizing Self-effica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5), 983-994. 

  48. S. Lee. (2016). Outcome Analysis on Diffusion of NCS Appli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49. D. S. Choi. (2015). Key Issue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Learning Modules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HRD Revie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50. J. R. Hackman & G. Oldham. (1980). Work Redesign, Reading, MA:Addison-Wesley. 

  51. S. M. Johnstone & L. Soares. (2014) Principles for Develop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46(2), 12-19. 

  52. S. T. Park, J. D. Lee & T. U. Kim.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ig Data Convergence-based NCS Homepage : focusing on the Use of Splun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107-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