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성센서를 이용한 여자핸드볼 선수들의 포지션별 움직임 분석
Movement Analysis of Women's Handball Players by Position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343 - 350  

박종철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윤경신 (두산핸드볼팀) ,  김지응 (상명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 선수를 대상으로 관성센서(IMU)를 활용하여 5개월 동안 국내 또는 국외 연습경기 총 16경기를 대상으로 움직임을 정량화하고 훈련의 효율성과 포지션별 움직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골키퍼를 제외한 15명의 필드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레이어로드는 Wing > Back > Pivot 순으로 나타났고 국외경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 방향전환은 Pivot이 저강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고강도는 Back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외경기의 저·중강도 방향전환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강도 가속과 감속은 Pivot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고강도 가속과 감속은 Back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경기에서 저·중강도 가속과 저·중·고강도 감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프는 Back이 중강도, Wing이 고강도 점프가 많이 나타났지만 경기 유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the Inertia Sensor Units(IMU) for the national women's handball team to quantify movements for a total of 16 domestic or international practice games over five months and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training and differences in movements by position. A total of 15 pl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의 연습경기 중 경쟁 상대에 따른 포지션별 움직임 분석을 통해 개인별 기준을 설정하고 훈련의 효율성 평가 및 훈련방안 설정 등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여자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관성센서를 활용해 포지션별 국내와 국외 경기에서의 움직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여자 핸드볼 선수들을 대상으로 관성센서를 활용해 포지션별 국내와 국외 경기에서의 움직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정량화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Player Load는 Wing > Back > Pivot 포지션 순으로 나타났고 국외경기에서 운동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layer Load란 무엇인가? Player Load는 호주 스포츠과학연구원 Australian Institute of Sport (AIS)에서 럭비 선수들의 힘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개발되었으며 팀 스포츠 선수들의 외부 물리적 로딩에 대한 가속도계 기반 측정이다. 순간 가속 변화율을 스케일링 계수로 나눈 값이며, 3개의 벡터(X, Y, Z 축)에서 순간 가속 변화율의 제곱근으로 표현되며 100으로 나눈 값이다(Fig. 2 참고).
가속의 특징은? 가속(Acceleration)은 공격과 수비상황에서 많이 나타나는 움직임으로 포지션과 강도에 따른 가속의 빈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Table 3은 경기 중 가속을 분석한 결과로 국외경기에서 Back은 Low 0.
스포츠경기에서 웨어러블기기의 활용방안은? 특히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는 선수의 지리적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움직임과 속도, 거리 등이 분석 가능하고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관성센서(IMU)를 활용해 경기 중 발생되는 물리적인 접촉(Contact) 및 충돌(Collision)의 정보까지 측정하여 보 다 다양한 데이터를 경기력향상을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2,9]. 현재 축구, 필드하키, 럭비와 같은 실외스포츠와 농구, 배구와 같은 실내스포츠에서 실시간으로 GPS, 인터넷, 휴대용 전자기기 등 다양한 IT장비를 활용하여 훈련 및 경기상황에서 선수들의 이동거리, 속력, 심박수, 운동량 등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며 선수교체, 전술변화의 타이밍을 조절하는데 지도자들이 활용하고 있으며[10], 경기가 끝난 이후에는 코치, 트레이너, 팀닥터 등 다양한 스탭들이 움직임 정보들을 바탕으로 선수들의 컨디션, 운동부하, 부상까지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 J. Aughey. (2011). Applications of GPS technologies to field s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6(3), 295-310. 

  2. C. L. Dellaserra, Y. Gao & L. Ransdell. (2014). Use of integrated technology in team sports: a review of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for athlete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8(2), 556-573. 

  3. B. Travassos, K. Davids, D. Araujo & T. P. Esteves. (2013). Performance analysis in team sports: Advances from an Ecological Dynamics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13(1), 83-95. 

  4. L. Luteberget. (2018). Physical demands in elite female team handball: Analyses of high intensity events in match and training data via inertial measurement units. 

  5. J. H. Hong. (2018).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Handball Player's Positioning Performance Assesment Instrumen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7(1), 511-521. 

  6. I. Zapartidis, T. Toganidis, I. Vareltzis, T. Christodoulidis, P. Kororos & D. Skoufas. (2009). Profile of young female handball players by playing position. Serbian Journal of Sports Sciences, 3(2), 53-60. 

  7. G. Sporis, D. Vuleta, D. Vuleta Jr & D. Milanovic. (2010). Fitness profiling in handball: phys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ite players. Collegium antropologicum, 34(3), 1009-1014. 

  8. C. Cummins, R. Orr, H. O'Connor & C. West. (2013).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and microtechnology sensors in team sports: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 43(10), 1025-1042. 

  9. R. Chambers, T. J. Gabbett, M. H. Cole & A. Beard. (2015). The use of wearable microsensors to quantify sport-specific movements. Sports medicine, 45(7), 1065-1081. 

  10. J. E. Kim, J. H. Song, J. C. Park & E. Y. Choi. (2019). Performance Analysis of Women's Field Hockey Using GP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461-468. 

  11. H. K. Choi, E. K. Kim, J. C. Park & T. K. Kim. (2019). Non-Contact Injury Risk in Lower Extremity depending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Variables among Female Field Hockey Play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273-281. 

  12. L. S. Luteberget & Spencer, M. (2017). High-intensity events in international women's team handball match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12(1), 56-61. 

  13. E. H. Wik, L. S. Luteberget & M. Spencer. (2016). Activity profiles in international women's team handball using Player Load.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12(7), 934-942. 

  14. L. S. Luteberget, B. R. Holme & M. Spencer. (2017). Reliability of wearable inertial measurement unit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in team handball.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ology and performance, 13(4), 467-473. 

  15. B. R. Holme. (2015). Wearable microsensor technology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demands in handball: a reliability study of inertial movement analysis and player load (Master's thesis). 

  16. N. B. Abdelkrim, A. Chaouachi, K. Chamari, K, M. Chtara & C. Castagna. (2010). Positional role and competitive-level differences in elite-level men's basketball player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4(5), 1346-1355. 

  17. L. S. Arrones, N. Torreno, B. Requena, E. S. De Villarreal, D. Casamichana, J. Carlos & D. M. I. BARBERO-ALVAREZ. (2014). Match-play activity profile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during official gam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load. J. Sports Med. Phys. Fitness, 55, 1417-1422. 

  18. Karcher, C., & Buchheit, M. (2014). On-court demands of elite handball, with special reference to playing positions. Sports medicine, 44(6), 797-814. 

  19. Sports Science Americas. (2020). Player Load. Catapult. https://support.catapultsports.com/hc/en-us/articles/ 360000574716-PlayerLoad 

  20. J. Belka, K. Hulka, M. Safar & R Weisser. (2016). External and internal load of playing positions of elite female handball players (U19) during competitive matches. Acta Gymnica, 46(1), 12-20. 

  21. J. C. Park, J. H. Moon & K. W. Kang. (2018).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 games between the Korean women's national hockey team and men's junior hockey team using movement patter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118(24), Special Issu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