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369 - 380  

고진희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개 광역시와 1개 도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 232명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Baron과 Kenny의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3단계 분석방법과 Sobel 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임상수행능력(r=.38, p=.011), 그릿과 재직의도(r=.32, p=.016), 임상수행능력과 재직의도(r=.33, p<.001)는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고,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3.14, p<.001).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재직의도를 높여주기 위해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수행을 적극 권장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ate the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nts were 232 nurses working at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 임상수행능력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 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 임상수행능력 및 재직의도 간의 융복합적 관계를 파악하고,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그릿이 신규간호사 재직의도의 영향변인인지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간호학 분야에서 심리학적 개념인 그릿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는데 기여하여, 결과적으로 융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규간호사가 전문직 간호업무를 습득하여 숙련된 간호사로 성장하기까지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신규간호사의 이직은 조직의 생산성 저하, 이직에 따른 비용손실, 대체인력의 채용과 훈련에 따른 비용을 발생시키고 환자의 안위를 위협하여 안전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7].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높은 이직은 간호서비스 차원뿐만 아니라 보건경제학적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는 것은 간호계의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으로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의 정의는? 간호사는 전인간호의 실현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 의료인이며 환자 치료과정의 최접점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므로 의료기관은 적정 수의 간호인력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 그러나 2016년 우리나라 간호사의 근속연수는 평균 5.
적정 수의 간호인력을 확보하는것이 중요한 이유는? 간호사는 전인간호의 실현을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 의료인이며 환자 치료과정의 최접점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므로 의료기관은 적정 수의 간호인력을 확보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 그러나 2016년 우리나라 간호사의 근속연수는 평균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M. Y. Kim. (2018). The effe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reliability with superiou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57-465. 

  2. OECD. (2019). Health Statistics 201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3. HNA.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4. E. J. Lee. (2017. 9. 25). Nurses, and nurses leave the medical field for medical reasons [Internet].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24/2017092401196.html 

  5. H. Ebrahimi, H. Hassankhani, R. Negarandeh, A. Azizi & M. Gillespie. (2016). Barriers to support for new graduated nurses in clinical settings: A qualitative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7, 184-186. Doi: 10.1016/j.nedt.2015.11.008 

  6. H. S. Laschinger, C. A. Wong & A. L. Garu. (2012).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newly graduated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bullying, burnout and retention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2012), 1266-1276. Doi: 10.1016/j.ijnurstu.2012.05.012 

  7. N. North, W. Leung, T. Ashton, E. Rasmussen, F. Hughes & M. Finlayson. (2012). Nurse turnover in New Zealand: costs and relationships with staffing practises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1(3), 419-428. Doi: 10.1111/j.1365-2834.2012.01371.x 

  8. L. S. Cowin. (2002). The effect of nurses'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Association, 32(5), 283-291. Doi: 10.1097/00005110-200205000-00008 

  9. M. Yu, K. J. Kang, S. J. Yu & M. S. Park. (2017).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of male nurses working health care institu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3), 280-289. 

  10. E. K. Kim, S. Y. Kim, M. S. Jung, J. K. Kim & S. J. You. (2018). Affecting factors of new nurse's intention to retention in hospitals. Korea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8(10), 322-322. 

  11. J. N. Jeon. (2018). Factors affecting the new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12. S. H. Moon. (2013). The effects of newly graduated nurses'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H. M. Son, E. H. Lee & K. S. Cho. (2017). Affecting factors of new nurse's intention to retention in hospital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4(3), 205-216. 

  14. R. Hussein, Y. Salamonson, W. Hu & B. Everett. (2018). Clinical supervision and ward orientation predict new graduate nurses' intention to work in critical care: Findings from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ustralian Critical Care, 32(2019), 397-402. Doi: 10.1016/j.aucc.2018.09.003 

  15. K. J. Jim & M. S. Yoo. (2018).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on intention to retentioin of new graduate nurs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ion, 48(9), 459-465. 

  16. C. Blanzola, R. Lindeman & M. L. King. (2004). Nurse internship pathway to clinical comfort, confidence and competency.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1), 27-37. 

  17. Y. S. Kim & K. Y. Park.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ompetence and field adaptation in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536-543. 

  18. S. K. Lee, S. N. Park & S. H. Jeong.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60-473. 

  19. S. Y. Lee, E. J. Oh & K. M. Sung. (2013).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68-176. 

  20. C. Y. Cheng, H. M. Tsai, C. H. Chang & S. R. Liou. (2014).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intention to leave: a longiutudinal study in Taiwa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 1-9. Doi: 10.1155/2014/748389 

  21.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r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Doi: 10.1037/0022-3514.92.6.1087 

  22. J. G. Kim & D. E. Park. (2017).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ory of implicit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Psychology, 31(1), 15-162. 

  23. J. A. Choi. (2018).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goal-self concordance, grit on academic related effor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1), 41-63. 

  24. A. Ion, A. Mindu & A. Gorbanescu. (2017). Grit in the workplace: hype or rip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1(1), 163-168. Doi: 10.1016/j.paid.2017.02.012 

  25. H. L. Jung & Y. M. Seo. (2019). The relationship among mindset, social support, and grit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5(1), 135-154. 

  26. C. R. Kraft & A. L. Duckworth. (2014).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 Colleage Record, 116(3), 1-27. 

  27. L. E. Winkler, E. P. Shulman, S. A. Beal & A. L. Duckworth.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6), 1-12. Doi: 10.3389/fpsyg.2014.00036 

  28. M. H. Park & S. H. Cho. (2019). Relationships among grit, job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stay of clinic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5(3), 285-293. 

  29. J. Y. Jeong et al. (2019). The influence of grit on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2), 181-190. 

  30. S. R. Lee & W. S. Young. (2013). What are the strong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deliberate practice and gri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3), 349-366. 

  31. W. S. Lee & T. H. Lee. (2016). A prediction model of role transition for graduated nurse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6(10), 278. 

  32. M. J. Kim. (2006). The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3.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10.1037/0022-3514.51.6.1173 

  34. M. E. Sobel.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ur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35. S. J. Kim, H. R. Ji, Y. J. Lim & N. Y. Kim. (2019). Survey on the intention to stay, field adaptation, and educational demands in new nurses and reemployment nurs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9(7), 506-517. 

  36. S. Y. Park, S. J. Lee & M. H. Hyun.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religious coping and gratitud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2), 449-460. 

  37. S. O. Choi & J. H. Kim. (2013).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42-152. 

  38. M. H. Sung & C. E. Young.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self- concept,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44-252. 

  39. M. S. Yoo, M. R. Jeong, K. J. Kim & Y. J. Lee. (2019).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 periods for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5), 489-498. 

  40. J. H. Park & M. H. Lee. (2017). Effects of a practical work-oriented education program on the ability of newly recruited nurses in execution of clinical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and turnover r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91-199. 

  41. H. J. Park. (2018).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r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ew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6(1), 45-56. 

  42. S. J. Shin, Y. W. Park, M. J. Kim, J. H. Kim & I. Y. Lee. (2019). Surve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new graduate nurses in hospitals: focusing on the preceptorship.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1(2), 112-122. 

  43. O. H. Cho & K. H. Hwang. (2014). The Influences between new nurses' nursing performance,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siliency and core self-evalu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view, 14(1), 291-301. 

  44. Duckworth, A. L.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America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45. C. Barrett & F. Myrick. (198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enced Nursing, 7(2), 364-371. Doi: 10.1046/j.1365-2648.1998.00511.x 

  46. K. Rimfeld, Y. Kovas, P. S. Dale & R. Plomin. (2016). True grit and genetics: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from personal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11(5), 780-789. 

  47. K. R. Von, E. Tsukayama & A. L. Duckworth.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Doi: 10.1080/17439760.2014.898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