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학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과 감사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Happy Life in Adult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and Gratitud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93 - 100  

김은미 (건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감사가 어떤 관련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89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감사, 행복한 삶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종속변인인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한편 매개변인인 성격강점과 감사는 유의미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한 삶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하지만 성격강점과 감사를 매개한다면 행복한 삶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haracter strength, and gratitude as a factor influencing the happy life of adults. Subjects were 89 adults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PSS 23.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for data analy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성인기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성격강점 그리고 감사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미래의 직업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의 과정들을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성인기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지나온 삶에 대한 반추와 남아 있는 미래에 대한 계획을 준비하는 성인기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성인기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이 가진 성격강점과 감사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에 관심을 갖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효능감과 행복한 삶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격강점, 감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한편, 권선중 등은 5요인 성격 중에 우호성과 관계가 있는 요인을 감사성향으로 보고, 감사가 개인이 자신의 안녕감에 기여하는 타인에 대한 반응으로서, 개인의 안녕에 기여하는 친사회적인 행동을 한다고 설명하였다[26]. 또한 이들은 감사 성향이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고 어려움에 직면해서 잘 버티며 사회적 상황에서 예민한 반응을 덜 보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27].
  • 가설 2. 성격강점과 감사는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행복한 삶에 영향을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이러한 측면에서 성인기의 삶의 질과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진로발달과 진로선택이 중요하다[2]. 아울러 성인기는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삶에 대한 통찰을 시도하는 시기로서, 성인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역량 개발과 훈련을 통한 기술 개발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람들은 직업에 대한 유연성과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직업은 시장의 변동에 맞추어 변화하기 때문에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역량 개발과 훈련을 통한 기술 개발의 노력이 필요하다[1]. 중년에도 자신의 경력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해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성격강점과 감사와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이유는? 이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감사의 매개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종속변인인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으며, 성격강점과 감사와의 관계는 유의미 하였다. 이는 성격강점과 감사모두 긍정적인 특성으로 관련이 되기 때문에 성격강점이 감사로 이어진다는 것은 기존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매개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성격강점과는 유의미하였으나 감사와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 H. Shin et al. (2013). Developmental Pychology. Seoul: Hakjisa. 

  2. S. J. Lim. (2015).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on Career R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0(3), 349-363. 

  3. C. C. Healy & K. C. Reilly. (1989). Career Needs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for Services and Theory.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0, 541-545. 

  4. M. G. Haviland, & J. E. Mahaffy(1985). The use of My Vocational Situation with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6, 169-170. 

  5. D. E. Super. (1984). Career and life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pp. 192-234). San francisco: Jossey-Bass. 

  6.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man. DOI : 10.5860/CHOICE.35-1826 

  7. M. F. Barabra & A. L. Darrell(1998).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 35-43. 

  8. H. J. Lee & K. M. Kim. (2010).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2), 623-640. DOI : 10.15703/kjc.11.2.201006.623 

  9. Y. J. Choi & E. J. Sohn. (2016). The Effects of Spouse Support and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1(4), 587-606. DOI : 10.18205/kpa.2016.21.4.008 

  10. J. Y. Kim & K H. Lee. (2014).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Journal, 27(3), 1-25. 

  11. N. E. Betz & G. Hackett. (2006). Career self-efficacy theory: back to the fut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1), 2-11. DOI : 10.1177/1069072705281347 

  12. K. M. Taylor & N. E. Betz(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DOI : 10.1016/0001-8791(83)90006-4 

  13. S. Y. Cho & M. R. Moon. (2006).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Counseling Program for Nontraditional Students. The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8(4), 731-748. 

  14. Y. K. Kim. (2008). The Effect of University Freshmen's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Making Level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4), 1191-1210. 

  15. Y. S. Park & U. C. Kim. (2009).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ult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Achievement, Success of Children, Emo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3), 467-495. DOI : 10.18205/kpa.2009.14.3.009 

  16. J. Y. Kim. (2019). Character Strengths by Age Groups: Comparisons of Character Strengths Among Korean Age Group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4(3), 607-630. 

  17. N. Park, C. Peterson & M. E. P. Seligman.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DOI : 10.1521/jscp.23.5.603.50748 

  18. D. W. Chan. (2009). The Hierarchy of Strengths: Their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6), 867-875. DOI : 10.1016/j.tate.2009.01.010 

  19. S. M. Yoon & H. C. Shin. (2012). Character Strengths: Their Relationships with Happiness among Middle-aged Women at Korean Metropolitan Area. The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1), 27-49. 

  20. R. A. Emmons. (2004). Gratitude. In C. Peterson, & M. E. P. Seligman(Eds.), Character Strength and Virtues(pp. 553-568). Oxford University Press. 

  21. P. C. Watkins. (2004).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pp. 167-19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K. H. Eim. (2010b). Latest Trends and Tasks in Gratitud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and evaluation. 2(1), 47-60. 

  23. K. M. Kim & J. H. Kim. (2011).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atitude Experience based on the Ground Theory. The Kor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3), 739-759. 939663 

  24. H. S. Noh & H. S. Shin. (2008).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5(2), 147-168. 

  25. S. J. Kwon, K. H. Kim & H. S. Lee. (200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177-190. 

  26. S. J. Kwon & K. H. Kim(200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1), 269-287. DOI : 10.17315/kjhp.2007.12.1.014 

  27. S. Son & K. H. Suh. (2014).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2). 619-635. DOI : 10.17315/kjhp.2014.19.2.010 

  28. B. L. Fredrickson. (2004). The Broaden-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359, 1367-1377. DOI : 10.1098/rstb.2004.1512 

  29. S. Lyubomirsky, L. A. King & E. Diener.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1. DOI: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30. R. A., Emmons & C. A. Crumpler. (2000).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Appraising the Evidenc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1), 56-69. DOI : 10.1521/jscp.2000.19.1.56 

  31. J. H. Noh. (2005). Why should I be Thankful?: The Effects of Gratitude on Well-being under the Stress.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DOI : 10.15842/kjcp.2011.30.1.009 

  32. P. C. Watkins, K. Woodward, T. Stone & R. L. Kolts.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1, 431-452. DOI : 10.2224/sbp.2003.31.5.431 

  33. E. K.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career development. Doctoral dissertation. EHWA University. Seoul. 

  34. Y. R. Moon, H. Y. Won, S. H. Beak & S. Y. Ann. (2008).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s Described by their Parents in Korea. 

  35. S. J. Song. (2016).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Empathy on Happines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6. M. S. Kim, H. W. Kim, K. H. Cha, J. Y. Lim & Y. S. Han. (2003).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h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415-442. 

  37. A. F. Hayes. (2013).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51(3), 335-3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