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 Value View and Career Decision-Marking Self-Efficacy of Beauty Major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144 - 153  

표영희 (오산대학교 뷰티&코스메틱계열) ,  윤미연 (동남보건대학 뷰티케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뷰티관련 학과에서 보다 질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화되고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뷰티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가치관과의 구조적인 상관관계를 설문수집과 통계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뷰티관련 대학의 뷰티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직업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결정과 구직결정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있어 구조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occupation value of beauty major students by questionnaire colle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공 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 이를 토대로 뷰티전공 학생들의 진로전략 수립 및 상담 활용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뷰티전공 학생들이 전문적인 자질과 더불어 자부심을 위한 긍정적인 가치관과 함께 요구 되어지는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가치관과의 구조적인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공만족도는 직업가치관에 대하여 β=.
  • 05에서 독립변수, 매개변수 모두 진로결정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독립변수의 β값도 가설 2에 비하여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직업가치관의 전공 만족도와 진로결정 사이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 연구 가설 2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 가설 3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 가설 4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는 어떤 단계인가? 현대인은 자연적·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구조나 제도, 습관, 사회의 지적(知的) 능력의 변화, 또는 사회적 기대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회적 행동의 반복적인 결과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구조적인 사회 다변화 및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대학생은 기존 성인 세대와 청년 세대를 넘나드는 과도기적인 중간단계로 인체의 발달 과정상에서의 다양한 변화와 더불어 건강하고 유능한 사회인으로 준비되고 발달해 나아가야 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을 가지고 있다[1]. 더욱이 요즘과 같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진로결정이나 취업, 사회적 성취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많은 심리적 갈등과 혼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전공만족 도와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핵심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대학생의 발달과업은? 현대인은 자연적·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구조나 제도, 습관, 사회의 지적(知的) 능력의 변화, 또는 사회적 기대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회적 행동의 반복적인 결과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구조적인 사회 다변화 및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대학생은 기존 성인 세대와 청년 세대를 넘나드는 과도기적인 중간단계로 인체의 발달 과정상에서의 다양한 변화와 더불어 건강하고 유능한 사회인으로 준비되고 발달해 나아가야 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을 가지고 있다[1]. 더욱이 요즘과 같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진로결정이나 취업, 사회적 성취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많은 심리적 갈등과 혼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전공만족 도와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핵심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 K. Jung. (2005).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test tool for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Evaluation of Korean Education, 18(3), 155-181. 

  2. Y. J. Han. (2014).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 and their Work Valuers of university students. Kyungsung University, Busan. 

  3. H. S. Ha. (2000).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S. C. Jang. (2003). Typology of university student' career decision and analysis of related personal and cognitive variables. Konkuk University, Seoul. 

  5. J. A. Choe. (2015).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otives for Choosing Beauty Art Major and Career Values on Their Cla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Seokyeong University, Seoul. 

  6. G. Y. Song & T. Y. Lee. (2009). Analysis of difference of occupational valu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jors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1), 399-406. 

  7. G. H. An & Y. H. Lee. (1998). A Study on the Types of Work Values of the Junior College. Journal of Korea vocational education, 17(1), 1-17. 

  8. J. O. Crites. (1969). Vocationak psychokogy. New York: Mcgraw-Hill. 

  9. K. M. Tayler & N. Betz.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10. N. E. Betz & G. Hackett. (2006). Career self-efficacy theory: back to the fut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 3-11. 

  11. S. K. Park. (2013).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12. K. S. Kwak. (2015) The effect of image and self-image consistency of airline crew on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Korea University, Seoul. 

  13. S. K. Park. (2013).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14. S. A. Sim. (2013). Study on major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Focusing on 4-year college students by division. Sungkxul University, Gyeonggido. 

  15. M. J. Sim & H. S. Oh. (2012).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Korea Journal of Contents, 12(6), 328-2337. 

  16. S. J. Han. (2013).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559-566. 

  17. S. T. Moon & M. H. Bak. (2013). Exploring the structural mode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employability. Jurn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5(4), 79-104. 

  18.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19. E. K.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career development. Ewha Women University, Seoul. 

  20. B. R. Lee. (2012). Effect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students in agriculture specialized high school on the career decision levels. Sunchon University, Jeollad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