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of Corporate Organization Memb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187 - 198  

송찬섭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노연숙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다정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선규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조직환경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이 조직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조직의 기업가정신이 개인·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의 매개효과를 파악코져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지역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이 개인·집단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은 개인·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고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기업전략수립 방향과 조직차원의 관리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centl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o improve organizational creativity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firmed its effe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가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강력한 예측변수는 무엇인가? 경영자와 같은 리더에 국한하지 않고 구성원 전체적인 인식이 중요하므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포함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은 경영자의 새로운 모험적인 의지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 성공적으로 기업가의 모험심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2,3]. 이는 기업가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강력한 예측변수이다[2,4].
Boston Consulting Group은 미래사회의 인적 자원은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가? 기술의 진보는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발전된 기술에 따라 조직 또한 개편되며, 이러한 결과로 인해 새로운 인재와 조직 형태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Boston Consulting Group은 미래사회의 인적 자원은 새롭게 변화하는 역할과 환경에 적응하는 유연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학제 간 학습이 필요하고, 로봇이나 기계에 대한 이해와 같은 하드스킬(Hard Skill)을 활용하여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할 수 있는 지식 활용에 대한 소프트스킬(Soft Skill)이 중요한 역량이라 하였다. 즉, 인재를 바라보는데 있어 기존과는 다른 역량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조직도 변화에 구체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시대적 요구로 인해 조직의 기업가정신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기업가정신은 “위험(risk)이 존재하는 신사업을 발굴하여 운영하며, 창의적이고 모험적인 성향이고, 현실적으로 자원의 제약 및 위험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인 역량을 발휘하여 창업, 기업의 지속적 성장, 신사업 및 신시장을 개척하여 계속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1]. 기업가정신은 새로운 사업 영역을 발견과 혁신의 중요한 동인으로, 특히 제조업에서 혁신적인 기술 및 제품이 기업의 생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우리나라에서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G. T. Lumpkin & G. G. Dess. (1996). Enrich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A Reply to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 Pioneer Advantage". JSTOR. 

  2. N. G. Boyd & G. S. Vozikis. (1994).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ac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4), 63-77. 

  3. N. F. Krueger Jr & D. V Brazeal. (1994).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91-104. 

  4. B. Bird. (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42-453. 

  5. J. A. Schumpeter. (1934). Theorie de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 Dunker & Humblot, Leipzig.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translated by R. Opi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6. B. Ronen & D. Trietsch. (1988).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urchasing Management of Large Projects: Special Focus Article. Operations Research, 36(6), 882-890. 

  7. B. Antoncic & R. D. Hisrich. (2001). Intrapreneurship: Construct refinement and cross-cultural valid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6(5), 495-527. 

  8. Y. H. Koh & C. S. Song.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R&D capac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of administrative position -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orien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0), 187-197 DOI : 10.14400/JDC.2019.17.10.187 

  9. D. F. Kuratko. (2007).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he 21st century: Guest editor's perspective.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3(4), 1-11. 

  10. D. Miller. (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 770-791. 

  11. J. G. Covin & D. P. Slevin. (1991).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6(1), 7-26. 

  12. R. W. Weisberg.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John Wiley & Sons. 

  13. T. M. Amabile. (1997).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1), 39-58. 

  14. J. W. Getzels & P. W. Jackson. (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Explorations with gifted students. 

  15. J. V Singh. (1986). Performance, slack, and risk taking in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9(3), 562-585. 

  16. T. M. Amabile. (1998). How to kill creativity (Vol. 87). MA :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Boston. 

  17. R. M. Hogarth. (1987). Judgement and choice: The psychology of decision. 

  18. F. Barron & D. M. Harrington.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1), 439-476. 

  19. R. J. Sternberg & T. I. Lubart.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Free Press. 

  20. T. M. Amabile.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21. R. W. Woodman, J. E. Sawyer, & R. W. Griffin.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22. T. M. Amabile, S. G. Barsade, J. S. Mueller, & B. M. Staw. (2005). Affect and creativity at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3), 367-403. 

  23. D. Leonard-Barton & W. C. Swap. (1999). When sparks fly: Igniting creativity in groups. Harvard Business Press. 

  24. T. M. Amabile.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 

  25. J. J. Sosik, S. S. Kahai, & B. J. Avolio. (199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imensions of creativity: Motivating idea generation in computer-mediated group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11-121. 

  26. S. Shane & N. Nicolaou. (2015). Creative personality,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he tendency to start businesses: A study of their genetic predisposi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0(3), 407-419. 

  27. J. N. Arnold, R. Saldova, U. M. A. Hamid, & P. M. Rudd. (2008). Evaluation of the serum N-linked glycome for the diagnosis of cancer and chronic inflammation. Proteomics, 8(16), 3284-3293. 

  28. T. B. Ward. (2004). Cognition,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9(2), 173-188. 

  29. C. C. Chen, P. G. Greene & A. Crick. (1998). Do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distinguish entrepreneurs from manage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2(4). 295-316. DOI : 10.1016/S0883-9026(97)00029-3 

  30.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31. J. Florin, R. Karri & N. Rossiter. (2007). Fostering entrepreneurial drive in business education: An attitudinal approach.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31(1), 17-42. 

  32. S. L. Mueller & S. Goic. (2003). East-West differences i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ransition econom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1(4), 613-632. 

  33. H. Zhao, S. E. Seibert & G. E. Hills. (2005).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6), 1265. 

  34. A. Bandura. (1999). Moral disengagement in the perpetration of inhumanit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3(3), 193-209. 

  35. A. Gibb & P. Hannon. (2006). Towards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4(1), 73-110. 

  36. S. Shane, E. A. Locke, & C. J. Collins. (2003). Entrepreneurial motiv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3(2), 257-279. 

  37. C. Howorth, S. M. Smith, & C. Parkinson. (2012). Social learning and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11(3), 371-389. 

  38. J. G. Covin & D. P. Slevin. (198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1(3), 628-639. 

  39. D. I. Jung, S. B. Ehrlich, A. F. De Noble, & K. B. Baik. (2001).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ts relationship to entrepreneurial ac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US and Korea. Management International, 6(1), 41. 

  40. D. P. Forbes. (2005). Are some entrepreneurs more overconfident than other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0(5), 623-640. 

  41. T. M. Amabile, R. Conti, H. Coon, J. Lazenby, & M. Herron.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42. O. Janssen.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3), 287-302. 

  43. J. I. Choi, (1995). A Study on Determinants of Group Creativity.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4. H. S. Kim,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ity diagnostic measurement too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4), 269-303. 

  45. T. M. Amabile, K. G. Hill, B. A. Hennessey, & E. M. Tighe.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 

  46. T. M. Amabile, R. Burnside, & S. S. Gryskiewicz. (1995). User's guide for KEYS: Assessing the climate for creativity. 

  47. B. M. Byrne.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Psychology Press. 

  48. K. G. Joreskog & D. Sorbom. (1993).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49. B. C. Han, Y. W. Cho, C. S. Song, E. K. Kim, & S. K. Lee. (2018).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Entrepreneurship, Absorptive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87-197. DOI : 10.14400/JDC.2018.16.10.187 

  50. Y. H. Cho, B. C. Han, E.-K. Kim, C. S. Song, & S. K. Lee. (2018).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ivation i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bsorption Capacity and Creative Product in th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243-256. DOI : 10.14400/JDC.2018.16.12.2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