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이 지각한 거부·제재 양육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reject on the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anxie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261 - 269  

김연수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수정 (가톨릭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제재 양육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의 공격성 및 사회불안과 어떤 직접적, 간접적 연계성을 보이는 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267명(남 117명, 여 150명)과 그 담임교사로 설정하였다. 거부·제재 양육과 사회불안은 아동의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아동의 담임교사들의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 변인들이 학교적응과 지니는 직간접적인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거부·제재 양육은 공격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학교적응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거부·제재 양육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이 지각한 거부·제재 양육은 아동 후기 학교 적응에 직접적으로 관여될 뿐 아니라 공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their social anxiety,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267 children(male 117, female 150) and 10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d. Each child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ercepti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 후기 내에도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거부‧제재 양육이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실증연구로서, 이전에는 단편적으로 탐색 되어 온 관련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 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 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학교 장면에서의 변인 뿐 아니라 가정환경 변인 및 개인차 변인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아울러 이 시기 동안의 학교적응은 이후의 발달단계, 즉 청소년기 동안의 학교 적응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흐름을 고려하여 학교적응에서 어려움이 보고되는 대표적 이행기 중 하나인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을 부모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아동이 지각한 부모 의 거부‧제재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불안 및 공격성, 그 리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학교적응 관련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최지영 등[26]이 지적한 바와 같이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모두를 자기보고방식으로 측 정하는 경우 모든 측정치에 대해서 일관되게 부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거부‧제재 지각, 사회불안은 아동의 자기보고를 통해,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교사의 관찰을 통해 수집하여 변인 간 관련성을 보다 명확하게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참여 아동의 담임에게 해당 아동 개개인의 이름을 상단에 적은 다음, 그 개별 아동의 공격성에 관한 문항들에 대해서 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
  • 이러한 통합적 탐색을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 서 아동의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담임교사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자기보고측정치를 통해 진행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적응의 정의는? 학교적응은 아동이 학교에 관심을 가지며 학교생활에서 안락함을 느끼고, 수업 및 학업에의 적응, 교사 및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 등 전반적인 학교생활 영역에서 성 공하는 것으로서[1] 이러한 각 영역의 성공은 이후 교육적 진전의 중요한 전조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2,3]. 최근에는 발달정신병리학적 측면에서 문제의 악화를 방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변인 규명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학교적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4-6].
가정환경 특성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상기한 바와 같이 아동의 행동적 정서적 문제 등의 사 회적 적응을 포함한 학교적응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부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태도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부모가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가질수록, 아동과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할수록 아동의 학교적응수준은 높은 경향이 있었다 [15-20]. 반면 어머니의 지나친 관심과 통제적․거부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왔다[4,16,21]. 이와 관련하여 최근 김수정 등[4]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변인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거부・제재 양육의 특징은? 이와 관련하여 최근 김수정 등[4]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변인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거부・제재 양육은 아동에 대한 불만, 부정적 평가 및 비난, 부정적 감정표현, 적대적인 훈육, 무시/비하, 억압, 잔소리, 불신 등과 같은 행동이 포함되는 양육행동인데, 이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거부‧제재 양육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G. W. Ladd, B. J. Kochenderfer & C. C. Colemam.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2. Y. Yi & E. Jun. (2019).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mother's employment, home environment,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3(1), 101-121. 

  3. G. W. Ladd & W. Troop-Gordon. (2003). The role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Child Development, 74(5), 1344-1367. 

  4. S. Kim, Y. Jeong & H. Park. (2018).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Confli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1(4), 21-41. 

  5. Y. Oh & H. Moon. (2013).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Child's Internet Immersion,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6), 559-569. 

  6. C, J. Chang & H. W. Yang.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parents-child relationship, children's depress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Studies on Korean Youth, 18(2), 5-29. 

  7. M. Garton & I. Morrison. (2000). Concluding comments. Transfer and transition: The next step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4), 443-449. 

  8. D. Stipek, R. Feiler, R, Byler, S. Milburn & J. Salmon. (1998). Good beginnings: What difference does the program make in preparing young children for school?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9, 41-66. 

  9. N. Kim & J,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Role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1), 763-789. 

  10. M. R. Reyes, M. A. Brackett, S. E. Rivers, M. White & P. Salovey. (2012). Classroom emotional climate,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3), 700-712. 

  11. H. Kim. (2015). A Study on the Teacher Student Relationship, Student's Ego 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Life of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22(1), 49-71. 

  12. H. Bae & C. Huh. (2019).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to First Grade according to Latent Profiles of Home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3(1), 75-99. 

  13. S. Kim, S. Lee, Y. Koo & K. Lee. (2016).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3(4), 139-154. 

  14. S. Choi & M. Yoo. (2019).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Longitudinal Changes in Late Childhoo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6(1), 1-15. 

  15. S. Park & C. Yoon. (2013).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6th and 9th grade Korean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147-169. 

  16. M. Ki & M. Ki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cused on 4th,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9, 585-612. 

  17. S. Kim. (2011). Change in Aggressi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 Effects of Early Protective Factors: focusing on 4th grade to 8th grade.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9(1), 39-66. 

  18. M. Min. (2018).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3(4), 101-126. 

  19. A. E. Awoyemi & D. O. Dombo. (2016).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of secondary school adolescents in Bayelsa state, Nigeria. IFE PsychologIA: An International Journal, 24(2), 10-16. 

  20. E. M, Hakvoort, H. M. Bos, F. Van Balen & J. M. Hermanns. (2010).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school-aged children in intact familie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2), 182-201. 

  21. W. A. Arrindell, M. G. T. Kwee, G. Methorst, J. Van Der Edne, E. Pole & B. J. M. Moritis. (1989).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of agoraphobic and socially phobic inpatient.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5, 526-535. 

  22. M. Kim. (2003).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child rearing behaviors and their behavior problem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3. L. R. Alink et al. (2009). Maternal sensitivity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discipline and aggression in early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18(1), 99-120. 

  24. A. Skinner et al. (2014). Neighborhood danger, parental monitoring, harsh parenting, and child aggression in nine countries. Societies, 4(1), 45-67. 

  25. S. Kim & Y. Jeong (2019). Exploring Rumination in childhood: On Parental Conflict, Parenting Style, and Social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6(2), 59-76. 

  26. J. Choi, K. Moon, H. Ahn, K. Hong, J. Kim, E. Choi & J. Park. (2018). Differences in Self-reported and Peer nominated Aggression Groups in Schoo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27(3), 29-51. 

  27. Y. Park & O. Chung. (1996).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7(1), 189-212. 

  28. A. Raine et al. (2006). The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Differential correlates of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adolescent boys. Aggressive Behavior: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on Aggression, 32(2), 159-171. 

  29. A. M. LaGreca. (1998). Manual for the social anxiety scal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iami, FL: Athhor. 

  30. H. Moon & K. Oh (2002).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429-443. 

  31. J. Lee. (2000). A Study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Communication Types of a Classroom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32. S. Hong. (201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3. S. Kim & K. Kwak. (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of Grade 1 and 2 according to Parental Income: Parenting Efficacy, Self Concepts, and Prosocial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3), 85-105. 

  34. M. B. Stein, J. R. Walker & D. R. Forde. (1996). Public speaking fears in a community sample: Prevalence impact on functioning and diagnostic classif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3, 169-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