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도 분류자 직종에 따른 중증도 분류 결과의 차이 비교
Comparison of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results by Triage Classifier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4, 2020년, pp.98 - 103  

허영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오미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김세형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한소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박윤숙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결과가 분류를 시행한 주체의 직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의 응급의료기관으로 내원한 환자 자료 중, 국가응급진료정보망으로 전송된 자료 총 10,960,359건을 분석하였다. 분류자 직종은 전문의, 전공의, 인턴, 일반의, 간호사, 응급구조사였다. 최초 중증도 분류와 최종 중증도 분류 결과의 일치율은 일반의가 98.9%로 가장 높았고, 인턴이 80.2%로 가장 낮았다. 과대 분류에서는 일반의가 0.6%로 가장 낮았고, 인턴은 16.0%로 가장 높았다. 또한 과소 분류는 전문의와 응급구조사가 0.4%로 가장 낮았고, 인턴이 3.8%로 가장 높았다. 중증도 분류 결과는 직종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중증도 분류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직종별, 숙련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져서는 안 된다. 때문에 정확한 중증도 분류를 위한 분류자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triage classifier differ according to the occupations. We analyzed a total of 10,960,359 cases of data sent to the NEDIS from January 1st, 2016 to December 31th, 2017. The triage classifier were M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환자의 최초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분류의 정확도는 분류자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증도 분류를 시행한 분류자의 직종에 따라 중증도 분류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The final KTAS levels are classified as higher than the initial KTAS levels(under-triage).
  • : The final KTAS levels are classified as lower than the initial KTAS levels(over-triage).
  • : The final and initial KTAS levels are classified as the same(consistenc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도 분류 시행으로 나타나는 영향은?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들에게 적절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함은 의료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중증도 분류의 오류는 환자의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7, 8]. 그러므로 환자의 최초 상태에 따라 중증도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분류의 정확도는 분류자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중증도 분류의 목적은? 중증도 분류의 목적은 모든 환자를 한 번에 치료할 수 있는 자원이 충분하지 않을 때, 가장 긴급한 치료를 필요로 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환자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함이다[5].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는 자가 이수해야 되는 교육은? 또한 2018년 12월부터는 전국의 모든 응급의료기관에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도록 하는 법률이 개정되어 현재 시행 중에 있으며, 이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 제18조의3에 따라 응급실 전담 의사, 간호사, 1급 응급구조사가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는 자들은 대한응급의학회에서 주관하는 중증도 분류 관련 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응급환자의 중증도 분류는 의료자원의 적절한 분배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이를 위해 응급환자 도착과 동시에 빠른 시간 안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tr.do 

  2. P. M. Mullins, M. Goyal & J. M. Pines. (2013). National growth i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from emergency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from 2002 to 2009.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5), 479-486. DOI : 10.1111/acem.12134 

  3. R. D. Hardern. (1999). Critical appraisal of papers describing triage system. Academic Emergency Medicin, 6(11), 1166-1171. DOI : 10.1111/j.1553-2712.1999.tb00121.x 

  4. D. Travers. (1999). Triage: How long does it take? How long should it tak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5(3), 238-240. DOI : 10.1016/S0099-1767(99)70213-8 

  5. R. Abdelwahab, H. Yang & H. G. Teka. (2017). A quality improvement study of the emergency centre triage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in northern Ethiopia. Af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7(4), 160-166. DOI : 10.1016/j.afjem.2017.05.009 

  6. S. W. Jung, M. J. Kang, B. H. Song, J. H. Jang & J. N. Choi. (2017). Comparison of medical costs by KTAS result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2017-20-023. 

  7. B. Y. Koh, M. C. Kwak & H. N. Sin. (1999). A study on the performance activities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field training.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3(1), 55-64. 

  8. J. B. Park & T. H. Lim. (201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8(6), 547-551. 

  9. L. H. Lee et al. (2019). Over-triage occurs when considering the patient's pain in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PLOS ONE, 14(5). DOI : 10.1371/journal.pone.0216519 

  10. J. S. Hinson et al. (2018). Accuracy of emergency department triage using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and independent predictors of under-triage and over-triage in Brazil: a 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1(1), 1-10. DOI : 10.1186/s12245-017-0161-8 

  11. B. Forman, S. Forsgren & E. D. Carlstrom. (2012). Nurses working with Manchester triage - The impact of experience on patient security.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5(20), 100-107. DOI : 10.1016/j.aenj.2012.0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