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근막 동통증후군 중년여성에게 적용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 및 주위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on Shoulder Pain, Angle of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Body Composit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2, 2020년, pp.286 - 297  

김원종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허명행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yofascial pain syndrome on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and body composition around the shoulder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total of 72 women participated in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력밴드의 일종인 Thera-Band의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의 힘을 역이용하여 근육에 저항을 주어 근육의 등척성, 등장성 수축을 유발하는 동작을 직접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개발된 탄력밴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견갑근막 동통증후군 중년여성에게 시행함으로써, 대상자의 어깨 통증과 견관절 부위 가동범위의 개선 정도 및 견관절 주위 신체조성 중 근육 및 지방의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탄력밴드의 일종인 Thera-Band의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의 힘을 역이용하여 근육에 저항을 주어 근육의 등척성, 등장성 수축을 유발하는 동작을 직접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개발된 탄력밴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견갑근막 동통증후군 중년여성에게 시행함으로써, 대상자의 어깨 통증과 견관절 부위 가동범위의 개선 정도 및 견관절 주위 신체조성 중 근육 및 지방의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8주간의 탄력밴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중년여성의 어깨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 견관절 및 주위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연구이다(Figure 1).
  • 이 연구는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어깨 통증을 감소시키고, 견관절 가동범위 개선과 견관절 주위 신체조성 중 근육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8주간의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8주간의 저항운동 프로그램 적용은 대상자의 어깨 통증과 견관절 가동범위에 영향을 미쳐 실험처치 후 8주 동안 점진적으로 통증을 경감시켰으며 견관절 가동범위도 개선하였다.
  • 이 연구는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중년여성에게 탄력밴드를 이용한 8주간의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통증, 견관절 가동 범위 및 견관절 주위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연구로 중년여성 실험군 39명, 대조군 33명, 총 72명을 대상으로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어깨통증, 견관절 가동범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어깨 통증이 감소하고, 견관절 가동범위가 개선되었으며, 신체조성 중 견관절 근육량이 증가한 것으 로 보아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본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중년여성에게 탄력밴드를 이용한 8주간의 저항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 및 견관절 주위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한다.
  • 이 연구의 실험처치는 견갑근막 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40세에서 65세 사이에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개발된 탄력밴드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8주간 시행하는 것이다. 저항성 운동(Resistance exercise)이란 중량이 있는 기구나, 탄력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근육에 부하를 가중하여 근력을 강화하고 근섬유에 부착된 신경섬유들을 활성화하여 근육의 기능을 높이는 방법을 말한다[28].
  • 또한 4주간 등척성 운동[42]을 적용한 연구, 8주간 저근육 운동프로그램[44], 12주간 전신 저항운동 프로그램[45]에서 체중 부하 운동이 근육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볼 때, 저항운동은 2주부터 근육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본다. 특히 본 연구의 실험적 처치로 견관절 주위의 근육을 강화하여 견 갑근막 동통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었고, 그 결과를 전신 근육량보다는 견관절 주위 근육량을 측정 비교하였으므로 특정 부위 근육량 증가를 확인하여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면에서 매우 유효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시점별로도 2주에서부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8주간 지속적으로 근육량이 증가하였으며, 2주까지 증가된 근육량의 수치는 8주차에서 비슷한 수치로 근육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항운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저항운동은 근육의 감소를 예방하고 골격근의 양을 증가시켜 근력을 향상시키며, 근막동통증후군의 증상 완화와 치료 및 기능을 개선한다[20]. 힘의 저항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신장 운동과 근력 운동은 체중 부하 운동, 덤벨 등 다양하다.
근막 동통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근골격계 질환 중 근막 동통증후군은(Myofascial Pain Syndrome[MPS])은 섬유 다발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에 이상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 압박을 가하면 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말한다[7]. 근막동통증후군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는 목, 어깨, 등, 허리이며, 주로 승모근, 어깨 세모근, 견갑하근과 같은 견관절 주위 근육에빈번히 유발된다[8,9].
탄력밴드 운동이 견갑동통증후군 환자에게 적절한 운동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대상자의 내구성에 맞는 신장 및 근력 운동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보며[23], 이러한 맞춤형 운동이 근막동통증후군을 호소하는 대상자들의 근본적인 치료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준다고 판단된다.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으로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대상자 맞춤 운동을 하도록 하여 체지방과 근육량을 최적화하는 데 효과적이다[24,25]. 그러므로, 견갑동통증후군을 완화하기 위한 저항운동으로 탄력밴드 운동은 적절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Koh KB. Stress & psychosomatic medicine. 2nd ed. Seoul: Ilchokak; 2011. p. 1-506. 

  2. Statistics Korea. Life tables for Korea, 2016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7 [cited 2017 Dec 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8/6/index.board?bmoderead&bSeq&aSeq36618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3. Min ES.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7;11(4):199-207. https://doi.org/10.21184/jkeia.2017.06.11.4.199 

  4. Hong WK, Lim YR.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frequency on the blood lipid, blood pressure, musculoskeletal pai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8;27(3):1105-1114. 

  5. Kim MI, Kim MS, Joo JH. Women's medicine encyclopedia. Seoul: S&D; 2008. p. 1-257. 

  6. Sharan D. Myofascial pain syndrome: Diagnosis and management. Indian Journal of Rheumatology. 2014;9 Suppl 2:S22-S25. https://doi.org/10.1016/j.injr.2014.09.013 

  7. Travell JG, Simons DG.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83. p. 1-713. 

  8. Pott H, Baeumler P, Irnich D. Diagnosis of myofascial pain syndrome in chronic pain patients in daily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2018;11(4):259-260. https://doi.org/10.1016/j.jams.2018.08.193 

  9. Manolopoulos L, Vlastarakos PV, Georgiou L, Giotakis I, Loizos A, Nikolopoulos TP. Myofascial pain syndromes in the maxillofacial area: A common but underdiagnosed cause of head and neck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8;37(11):975-984. https://doi.org/10.1016/j.ijom.2008.04.023 

  10. Vernon H, Schneider M. Chiropractic management of myofascial trigger points and myofascial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009;32(1):14-24. https://doi.org/10.1016/j.jmpt.2008.06.012 

  11. Partanen JV, Ojala TA, Arokoski JP. Myofascial syndrome and pain: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Pathophysiology. 2010;17(1):19-28. 

  12. Kim JH, Hwang Bo Y, Hong ES, Ohn JH, Kim CH, Kim HW, et al. Investigation of sarcopenia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elderly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0;14(3):121-130. https://doi.org/10.4235/jkgs.2010.14.3.121 

  13. Crowley LV. Essentials of human disease. 1st Engl. Ed. Yoo JH, Park ES, Kim MG, Lee TJ, Kim SH, Lee SH, et al., translators. Seoul: Fornursebook; c2013. p. 1-549. 

  14. Frisoli A Jr, Chaves PH, Ingham SJ, Fried LP. Severe osteopenia and osteoporosis, sarcopenia, and frailty statu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y (WHAS) II. Bone. 2011;48(4):952-957. https://doi.org/10.1016/j.bone.2010.12.025 

  15.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3rd ed. Seoul: PanMun Education; 2015. p. 1-868. 

  16. Dail NW, Agnew TA, Floyd RT. Kinesiology for manual therapies with muscle cards. 1st Engl. Ed. Lee WH, Kim BW, Kim HD, Park JH, Bae WS, Lee GC, et al., translators. Seoul: Jungdam Media; c2013. p. 1-539. 

  17.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3rd ed. Seoul: Ryo Moon Gak.P.Co,; c2014. p. 1-1276. 

  18. Wilson JL. Travell and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ume 1. Upper half of body, second edition. Region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1999;24(4):378-379. 

  19. Simons DG, Travell JG, Simons L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1. Upper half of body. 2nd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8. p. 11-89. 

  20. Kosek DJ, Kim JS, Petrella JK, Cross JM, Bamman MM. Efficacy of 3 days/wk resistance training on myofiber hypertrophy and myogenic mechanisms in young vs. older adult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6;101(2):531-544. https://doi.org/10.1152/japplphysiol.01474.2005 

  21. Tiidus PM. Skeletal muscle damage and repair. 1st Engl. Ed. Lee JH, Kim JY, Park JH, Sung DJ, Song W, Lee HS, et al., translators. Seoul: Life Science; c2015. p. 1-274. 

  22. Wilson A. Effectiv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injury: Clinical ergonomics approach to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1st Engl. Ed. Goo BO, Kim HS, Nam KW, Park MC, Sim JM, Jung SJ, et al., translators. Seoul: Hyunmoon; c2010. p. 1-331. 

  23. Kim YG, Lim SK, Hong JG, Kim KH, Kim JG, Park JS, et al. Sports injury and rehabilitation. Seoul: Hanmibook; c2015. p. 1-267. 

  24. Kim SH. Effects of elastic-band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muscle mass and pai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2012;14(1):67-77. 

  25. Kim D. Effects of rhythm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arterial compliance in elderly femal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5):243-250.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43 

  26. Son IH. The effect of 12 weeks elastic band and sports massage therapy on ROM and muscular endurance pain scale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Ulsan; 2013. p. 1-52. 

  27. Lee KH. Sample size calculations with dropouts in clinical trial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008;15(3):353-365. https://doi.org/10.5351/CKSS.2008.15.3.353 

  28. Jones MW. Advances in pain research and therapy, volume 19. Deafferentation pain syndrome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Blaine S. Nashold, Jr. and Janice Ovelmen-Levitt, eds. 367 pages. $98.00. New York, NY: Raven Press, 1992. ISBN: 0-88167-823-6. Surgical Neurology. 1993;39(5):409. https://doi.org/10.1016/0090-3019(93)90210-R 

  29. Lim JW, Kwon YJ, Jang TW, Lee JH, Kim IS, Ryu SC, et al. The effect of a stretching exercise on myofascial pain syndrome patients in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0;22(4):307-315. https://doi.org/10.35371/kjoem.2010.22.4.307 

  30. Shiraishi Y. The orthopaedic medicine. 1st Japanese. Ed. Chung HJ, Chung JP, Lee G, Lee KR, Bae SJ, Kim HJ, et al., translators. Seoul: Medianbooks Publication; c2017. p. 1-304. 

  31. Bemben MG, Murphy RE. Age related neural adaptation following short term resistance training in women.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2001;41(3):291-299. 

  32. Hoch MC, Andreatta RD, Mullineaux DR, English RA, Medina McKeon JM, Mattacola CG, et al. Two-week joint mobilization intervention improves self-reported funct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thos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2012;30(11):1798-1804. https://doi.org/10.1002/jor.22150 

  33. Cohen J. Eta-squared and partial eta-squared in fixed factor ANOVA design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3;33(1):107-112. https://doi.org/10.1177/001316447303300111 

  34. Sim JO.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on range of motion, function and shoulder pain among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5):491-500. https://doi.org/10.7475/kjan.2016.28.5.491 

  35. Shin HS, Lee KS. Effects of combined resistance exercise on range of motion (ROM), grip strength and pain in middle-aged women with shoulder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06;15(1):569-577. 

  36. Lee D. Effects of Theraband exercise programs on strength, balance and propriocept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4;2(4):1-8. https://doi.org/10.15268/KSIM.2014.2.4.001 

  37. Yeo HN, Kim YK, Kang MA, Shin JS.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on pain, range of motion, and fear of falling in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2):266-275.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2.266 

  38. Avila JJ, Gutierres JA, Sheehy ME, Lofgren IE, Delmonico MJ. Effect of moderate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during weight loss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overweight older adul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0;109(3):517-525. https://doi.org/10.1007/s00421-010-1387-9 

  39.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Exercise physiology. 2nd ed. Seoul: Hanmibook; 2014. p. 1-334. 

  40.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for improving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2009).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010;29(2):98. https://doi.org/10.1111/j.1741-6612.2010.00435_1.x 

  41. Kim YJ, Yoon MN, Han SS. Effects of Thera-Band(R) resistance training including isometric exercise i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1;11(2):82-90. 

  42. Seo DI, So WY, Chang HK.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for improving the skeletal muscle.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2012;14(3):37-48. https://doi.org/10.15758/jkak.2012.14.3.37 

  43. Hong JY, Oak JS. Effects of 12 weeks aerobic.anaerobic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fitness, body composition, skeletal muscle index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3;22(1):30-38. 

  44. So WY, Song M, Cho BL, Park YH, Kim YS, Lim JY, et al.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4):1247-1259. 

  45. So WY, Jun TW, Seo DI, Chang H, Seo HK, Eom WS, et al. Effects of 12 weeks elastic b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d obes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8;17(3):132-140 

  46. Bao Y, Bing C, Hunter L, Jenkins JR, Wabitsch M, Trayhurn P. Zinc- ${\alpha}2$ -glycoprotein,a lipid mobilizing factor, is expressed and secreted by human (SGBS) adipocytes. FEBSLetters. 2005;579(1):41-47. https://doi.org/10.1016/j.febslet.2004.11.042 

  47. Kim HS. Effects of low caroic diet plus exercise on visceral fat in obesity women. Exercise Science. 2006;15(1):17-24. 

  48. Kim HS, Chung SM, Cho JH, Choi HS.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body fat distribution for obes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1;19(2):260-268. 

  49. Lee DH, Lee SH, An K, Moon JY, Kim SH, Choi YJ, et al. Effects of 6 weeks of lifestyle modification including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risk of metabolic parameters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1;20(3):147-159. 

  50. Lee HK, Lee YG, Lee BG, Lee KR, Kim KK, Kang HC, et al. Change of body composition in obese women with short-term low calory die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1):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