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성 측정도구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ew Version of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1, 2020년, pp.132 - 146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최소영 ,  김진숙 (우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version of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N-SAS)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total of 59 preliminary items for the N-SAS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wo rounds of experts' content validation, cognitive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에서 속성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한편 국내에서 개발된 영성관련 측정도구로는 대학생용 영성척도 [19],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20], 영적 요구 측정도구[21] 등 6개 도구를 찾아볼 수 있었다. 6개 측정도구 모두 영성의 차원을 구분하 지 않았고 대학생용 영성척도는 인지요인, 행동요인 및 정서요인[19] 으로 속성을 제시하였고,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도 초월성, 삶의 의미, 자비심, 내적자원, 자각 및 연결성[20]으로 속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개발된 영성관련 측정도구는 영성의 다차원성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속성도 다양하여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영성의 수평적 차원과 수직적 차원을 포괄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21세기에 들어서서 영성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SAS)를 개발한 Howden [12]은 영성을 삶의 의미와 목적, 내적 자 원, 상호관계성, 초월성을 통합함으로써 나타나는 존재의 차원으로 정의하였다. 반면에 21세기에 들어서서 영성은 “인간 삶의 핵심적 원 동력으로 생명의 생기를 불어 넣어주며 사랑, 열정, 영감으로 표현되 어 세상과 사람들을 동기화시키고 이를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정의 되기도 한다[13]. 그런데 Rodgers [14]에 의하면 개념은 하나의 특정 맥락과 시간의 흐름 안에서 계속적인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되 는 의미가 점차적으로 모호해지기거나 역사적 사건에 영향을 받아 변형된다.
영성사정도구(N-SAS)의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을 측정하는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영성사정도구(N-SAS)는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의 2 개 차원을 지닌 다차원적 영성 개념을 측정하는 것으로 4개 속성의 4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직적 차원은 절대자(신)와 관계 속성 (19개 문항), 수평적 차원은 자기초월 속성(10개 문항), 삶의 의미와 자아통합 속성(10개 문항), 타인·이웃·자연과 관계 속성(5개 문항)으 로 확정하였다. 측정은 ‘모르겠다’는 0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 렇지 않다’ 2점, ‘그렇다’ 3점, ‘매우 그렇다’ 4점의 5점 Likert 척도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Ramezani M, Ahmadi F, Mohammadi E, Kazemnejad A. Spiritual care in nursing: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4;61(2):211-219. https://doi.org/10.1111/inr.12099 

  2. Callister LC, Bond AE, Matsumura G, Mangum S. Threading spirituality throughout nursing education.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4;18(3):160-166. https://doi.org/10.1097/00004650-200405000-00008 

  3. Burkhart L, Hogan N. An experiential theory of spiritual care in nursing practic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8;18(7):928-938. https://doi.org/10.1177/1049732308318027 

  4. Timmins F, Caldeira S. Understand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in nursing. Nursing Standard. 2017;31(22):50-57. https://doi.org/10.7748/ns.2017.e10311 

  5. Ko IS, Choi SY, Kim J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2):242-256. https://doi.org/10.4040/jkan.2017.47.2.242 

  6. Gall TL, Malette J, Guirguis-Younger M.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A diversity of definitions. Journal of Spirituality in Mental Health. 2011;13(3):158-181. https://doi.org/10.1080/19349637.2011.593404 

  7.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145-1155. https://doi.org/10.4040/jkan.2000.30.5.1145 

  8. Park HJ. Spirituality of measuring tool development and the spirituality of catholic social welfare workers. Journal of Woori Theology. 2003;2:196-223. 

  9. Kim SG.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2010;15:45-79. 

  10. Ellison CW. Spiritual well-being: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1983;11(4): 330-338. https://doi.org/10.1177/009164718301100406 

  11. Sessanna L, Finnell D, Jezewski MA. Spirituality in nursing and health-related literatur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07;25(4):252-262. https://doi.org/10.1177/0898010107303890 

  12. Howden JW.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dissertation]. Denton (TX):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p. 1-310. 

  13. Villagomeza LR. Spiritual distress in adult cancer patients: Toward conceptual clarity. Holistic Nursing Practice. 2005;19(6):285-294. https://doi.org/10.1097/00004650-200511000-00010 

  14. Rodgers BL. Concept analysis: An evolutionary view.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77-102. 

  15. Peterman AH, Fitchett G, Brady MJ, Hernandez L, Cella D. Measuring spiritual well-being in people with cancer: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spiritual well-being scale (FACIT-Sp).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2;24(1):49-58.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1_06 

  16. Delaney C. The spirituality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a holistic instrument to assess the human spiritual dimension.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05;23(2):145-167. https://doi.org/10.1177/0898010105276180 

  17. King M, Jones L, Barnes K, Low J, Walker C, Wilkinson S, et al. Measuring spiritual belie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a beliefs and values scale. Psychological Medicine. 2006;36(3):417-425. https://doi.org/10.1017/S003329170500629X 

  18. Galanter M, Dermatis H, Bunt G, Williams C, Trujillo M, Steinke P. Assessment of spirituality and its relevance to addiction treatment.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2007;33(3):257-264. https://doi.org/10.1016/j.jsat.2006.06.014 

  19. Cho SB, Kim SH. Development of a spiritualit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2;13(2):877-890. https://doi.org/10.15703/kjc.13.2.201204.877 

  20. Lee KY, Kim CH, Kim DW.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3;15(4):711-728. 

  21. Yong JS, Kim J, Han SS, Puchalski C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assessing spiritual needs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08;24(4):240-246. https://doi.org/10.1177/082585970802400403 

  22. Comrey AL, Lee HB.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2nd ed. New York: Psychology Press; 2013. p. 217 

  23. Hinkin T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998;1(1):104-121. https://doi.org/10.1177/109442819800100106 

  24. Oh PJ, Chun HS, So WS.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Asian Oncology Nursing. 2001;1(2):168-179. 

  25. Groves RM, Fowler FJ, Couper MP, Lepkowski JM, Singer E, Tourangeau R. Survey Methodology.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011. p. 263-265. 

  26. Lee CY. Advanced nurising statistics. Paju: Soomunsa; 2016. p. 231-264. 

  27. O’Connor BP. SPSS and SAS program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using parallel analysis and Velicer’s MAP test.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000;32(3):396-402. 

  28. Yu JP.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150-372. 

  29.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7;30(4):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